$\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부모의 양육 행위 유형: Q-방법론적 접근
Types of Child Rearing Behavior of Parents during Early Childhood: Q-Methodological Approach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4, 2013년, pp.486 - 496  

박선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child rearing among parent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child rearing type. Methods: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 양육 행위 유형을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특성과 구조를 파악하여 한국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 양육 행위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 양육 유형에 대한 주관적인 구조와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양육 행위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개별적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결과 최근 우리나라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 양육 행위는 4가지 유형으로 자애-존중형, 관심-준수형, 배려모범형, 온정-격려형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를 유형별 특성에 따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영·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에 대한 양육 행위의 구조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양육 행위를 이해하며, 이를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간호실무 적용에 지침으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 최초로 접하게 되는 환경으로 아동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Park, 2001). 아동은 출생 후 영·유아기 동안 가정 내에서 부모의 양육과 보호 속에서 자라면서 언어, 생활 습관, 가치관 등을 배우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는 어떠한 시기입니까? 영·유아기는 인성, 사회성, 인지능력과 같은 모든 발달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부모가 이 시기에 어떻게 양육했느냐에 따라 이후 자녀의 성격 및 인지 능력, 사회 적응력 등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영·유아 시기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로부터 보살핌을 받으며 급속한 언어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요구에 대한 표현이 보다 다양하고 뚜렷해지면서 어머니의 반응에 거부, 반항하는 능동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Laible, 2000).
Q 방법론의 장점은 무엇이며 무엇에 유용한 연구방법입니까? Q 방법론은 개인의 주관성의 구조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사한 속성을 유형화할 수 있고,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 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연구 방법이다. 따라서, 행위자의 관점을 중요시하는(Kim, 2008) Q 방법론을 이용하여 영·유아기 부모의 양육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양육 행위 유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젊은 부모들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구하는 방법은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다릅니까? 핵가족화의 보편화로 젊은 부모들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구하는 방법이 크게 달라졌다. 부모나 조부모로부터 자연스럽게 부모 역할을 모델링함으로써 자녀양육에 필요한 지식을 전수받던 과거와 달리, 요즘 영·유아기 부모들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인터넷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필요할 때마다 단편적인 지식을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Cho, & Jung, 2007). 따라서, 영·유아기 부모들이 양육에 보다 더 큰 책임을 가지고 올바른 양육 행위를 하도록 돕고, 영·유아의 건강을 유지·증진하며, 성장발달과 건강상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영·유아기 부모들의 구체적인 양육 행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redondo, E. M., Elder, J. P., Ayala, G. X., Campbell, N., Baquero, B., & Duerksen, S. (2006). Is parenting style related to children's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in Latino families? Health Education Research, 21(6), 862-871. http://dx.doi.org/10.1093/her/cyl110 

  2. Bang, K. S., Kwon, M. K., Choi, M. Y., Huh, B. Y., & Chung, S. J. (2012).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mothers of children in this age group and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2), 60-67.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2.60 

  3. Clark, K. E., & Ladd, G. W. (2000).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6(4), 485-498. 

  4. Dennis, K. E. (1986). Q methodology: Relevance and application to nursing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6-17. 

  5. Duffy, M. E. (1986). Primary prevention behaviors: The female-headed, one-parent famil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9(2), 115-122. 

  6. Gross, D.,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7(3), 207-215. 

  7. Han, J. A. (2010).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a and mothers'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a and mothers' low income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4(3), 355-384. 

  8. Han, K. J., Yi, Y. H., Sim, I. O., & Choi, Y. J. (2005). Dimensions and attributes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2), 167-178. 

  9. Hwang, Y. S. (2003).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home & school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0. Hyun, J. H. (2007). A review on the recent trend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7(1), 95-110. 

  11. Igoe, J. B., & Giordano, B. P. (1992).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Secrets of success. Pediatric Nursing, 18(1), 61-62, 66. 

  12. Kim, H. K. (1990). Understanding &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Seoul: Mass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13. Kim, H. K.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books. 

  14. Kim, H. M., & Doh, H. S.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56(6), 279-298. 

  15. Kim, S. J., Kang, K. A., Yun, J., & Kwon, O. J. (2007).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 todd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1), 21-32. 

  16. Kim, Y. E., Cho, B. H., & Jung, M. J. (2007).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2), 68-85. 

  17. Koh, M. S. (2010). Influence of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on family cohe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3), 195-202. http://dx.doi.org/10.4094/jkachn.2010. 16.3.195 

  18. Kwon, M., Bang, K., Kim, N., & Ahn, H. (2006).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 by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2), 170-179. 

  19. Laible, D. J. (2000). Parent-child conflict in the toddler years: Lessons in emotion, morality, and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Lincoln, NE. 

  20. Minjung Publishing Co. (Ed.) (2000) Minjung's essence Korean-English dictionary (4th ed.). Seoul: Author. 

  21. Moon, Y. S., & Han, J. S. (2002).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 caring behavior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5(2), 161-176. 

  22. Oh, J. A. (2000). Concept analysis of the childcare. Nursing Science, 12(2), 26-36. 

  23. Oh, J. A. (2006).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in employment mother's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368-376. 

  24. Park, J. H., & Rhee, U. H. (2001). Children's peer competence: Relationships to maternal parenting goals, parenting behavi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22(4), 1-15. 

  25. Park, K. J. (2001). Q-sort description on maternal behaviors of one-yearold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137-149. 

  26. Wake, M., Nicholson, J. M., Hardy, P., & Smith, K. (2007). Preschooler obesity and parenting styles of mothers and fathers: Australian national population study. Pediatrics, 120(6), e1520-e1527. http://dx.doi. org/10.1542/peds.2006-3707 

  27. Yang, M. S., & Kim, Y. E. (2012). A study on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3), 229-247. 

  28. Yune, H. S., & Oh, K. J. (2010).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among families in poverty: Focused on children's age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4), 673-6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