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Parenting Behavior of Primary Caregivers in Early Childhoo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5, 2015년, pp.650 - 660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arenting behavior of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Methods: An instrument was developed according to Devellis's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ho completed the mai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의의 구성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4개 하위요인이 기존 양육행위 측정도구와 달리 최근 한국 유아기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차별화된 점과 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DeVellis [20]이 제시한 도구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유아기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의 경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고찰과 사전 연구, 대상자 면담을 통해 구축된 유아기 주 양육자 양육행위 측정을 위한 개념적 기틀을 기반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후 최종 26개 문항의 유아기 주 양육자 양육행위 측정도구를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도구는 ‘애정적’, ‘방임적’, ‘교육적’, ‘충동적’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Likert 척도로서 측정의 목적은 양육행위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하위영역 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하위영역의 양육행위 경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 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한 검정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기틀과 도구 문항선정을 위해 국내외 선행 연구 고찰 뿐 아니라, 본 도구 개발을 위한 세 편의 사전 연구[5,21,22]를 통해 최근 한국의 유아기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 현상을 반영한 개념적 기틀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본 도구 또한 개념적 기틀에 부합한 요인인 긍정적, 부정적 양육행위의 4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돌보는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양육행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한편으로 위에서 제시한 양육행위 측정도구들은 주로 학령전기나 학령 후기[6,13-18]를 대상으로 개발되어, 유아기를 대상으로 한 양육행위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 경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를 개발함으로서, 자녀의 양육을 보다 합리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도구는 Likert의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대체로 그렇다’ 4점, ‘항상 그렇다’ 5점으로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내는 총화평정 척도이다. 측정의 목적은 양육행위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하위영역 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하위영역의 양육행위 경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는 어떤 시기인가? 아동기는 처음으로 외부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고 사회화의 기초를 형성하며 여러 가지 습관을 획득하는 시기이다. 아동에게 있어 부모는 최초로 맺는 인간관계이며,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은 아동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1].
부모의 양육행위란 무엇인가? 부모의 양육행위란 부모 또는 주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태도 및 행동으로 이러한 태도 및 행동에는 부모의 자녀 양육에 대한 신념, 가치 등이 반영된다[2]. 양육행위는 그 시대 및 사회가 지향하는 아동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형성되므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변화하는 속성이 있다[3].
본 논문에서는 양육행위를 어떤 도구로 측정하는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외현적 내현적 행동으로, 자녀의 성장 발달을 위해 기르고 가르치는 양태 또는 행동에 대한 경향성과 반응 양식을 의미한다[1].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애정, 방임, 교육, 충동 4개 차원으로 구성된 도구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유아기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 측정도구의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차원의 양육행위의 경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SS, Park YH. The relationship among rearing environment attachment and self-identity. The Journal of Human Studies. 2005;19:41-62. 

  2. Kang JH, Oh KJ.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reschoolers' age, temperament and parenting fo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2011;16(1):1-21. 

  3. Kim HK, Yoo MS.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layfulness on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0;31(5):115-130. 

  4. Lim ST, Khu SS. Comparing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al and parenting environments on children's maladjusted emotional behavior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06;15(3):115-131. 

  5. Park SJ. Content analysis of child rearings of mothers in infant and child preschool.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1):39-48. http://dx.doi.org/10.4094/chnr.2014.20.1.39 

  6. Rhee S.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scale' parents with school-age childre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2. 

  7. Kim HS, Kang KA, Kim SJ, Kim HO, Moon SY, Park SN, et al. Child.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Koonja; 2013. 

  8. Choi MK.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1;32(2):105-121. 

  9. Kim KS, Song YA. Human growth.development & health across the life span. Seoul: Shinkwang; 2013. 

  10. Fuligni AJ.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from immigrant families: The roles of family background, attitudes, and behavior. Child Development. 1997;68(2):351-363. 

  11. Kim MS, Moon HJ.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 with young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5;43(8):25-35. 

  12. Darling N, Steinberg L. Parenting style as context: An integrative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993;113(3):487-496. http://dx.doi.org/10.1037/0033-2909.113.3.487 

  13. Kim S, Kim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 scale: An applic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2;26(3):717-738. 

  14. Park SY, Lee 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90;28(1):141-156. 

  15. Oh SS, Lee JS. Way of parenting and the child'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s. Korea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s Study Notes. 1982;11(1):1-15. 

  16. Lim JH, Chung OB.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Korean parenting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004;11(4):55-73. 

  17. Jeong GY, Shin H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PSCQ).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1;12(4):1287-1305. 

  18. Huh MY.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4;12(2):170-189. 

  19. Perris C, Jacobsson L, Lindstrom H, von Knorring L, Perris H. Development of a new inventory assessing memories of parental rearing behaviour.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0;61(4):265-274. 

  20.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012. 

  21. Park SJ, Kang KA, Kim SJ. Types of child rearing behavior of parents during early childhood: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486-496.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486 

  22. Park SJ, Kim SJ, Kang KA.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75-86. http://dx.doi.org/10.4094/chnr.2014.20.2.75 

  23. Nunnally JC, Bernstein IH.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 Hill; 1994. 

  24. Han SS, Lee SC. SPSS nursing and health statistical analaysis. Seoul: Hyunmoon; 2006. 

  25. Cho SB.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Youngji Publishers; 2000. 

  26. Minjung Publishing Co. Minjung's essence Korean-English dictionary. Paju: Author; 2013. 

  27. Kim GS. New AMOS 16.0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07. 

  28. Kaplan RM, Saccuzzo DP.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pplications, and issues. 5th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2009. 

  29. Park H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ysfunctional parenting scale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