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위한 중재 연구 문헌고찰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3, 2013년, pp.153 - 165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  염수영 (서울아산병원) ,  전은영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MEDLINE, Pubmed, and Proquest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regarding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하여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중재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중재내용 및 결과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은 주로 개별상담 및 의사소통 기법과 부부간의 관계 향상 등 심리사회적인 측면 및 관계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중재 프로그램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 생존자를 위해 배우자에게 제공되거나 배우자와 함께하는 중재 프로그램은 유방암 생존자 여성의 사회적 측면, 배우자와의 관계적 측면, 신체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에 관한 국외 논문을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동일 주제어를 사용해 한명의 연구자가 일관되게 문헌을 탐색하여 유방암 환자의 중재연구를 추출하였으며,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동연구자 2인이 추출된 자료가 타당한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치료 및 회복 과정에서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왔다. 그러나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들도 유방암 치료 및 회복 과정에서 사회·심리적 변화, 스트레스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므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방암 생존자만을 대상으로 한 중재보다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주장되고 있다(Belcher et al., 2011; Bigatti, Brown, Steiner, & Miller, 2011; Garland, Carlson, Marr, & Simon, 2009; Shields & Rousseau, 2004).
유방암 생존자의 가장 유력한 지지원은? , 2011; Cochrane, Lewis, & Griffith, 2011).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 지지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방절제술 환자 배우자의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적응과 삶의 질이 높으며, 치료의 전 과정 동안 가장 유력한 지지원은 배우자이다(Baucom et al.,; Lewis et al.
매일 일기 작성법의 효과는? 부부를 대상으로 수술 후 7일 동안 매일 배우자 지지와 관계적 친밀감 등에 대해 지정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일기를 작성하게 한 후 부부의 일기 내용을 바탕으로 지지제공, 지지수혜, 관계적 친밀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우자의 지지제공이 관계적 친밀감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 지지 수혜와 지지제공은 일상의 친밀감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고되었다(Belcher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dger, T., Segrin, C., Meek, P., Lopez, A. M., & Bonham, E. (2004). A case study of telephone interpersonal counseling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partners. Oncology Nursing Forum, 31, 997-1003. 

  2. Baik, O. M., & Lim, J. W. (2011). Social support in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Comparison by the cancer stage at diagnosis and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2 (6), 5-35. 

  3. Baucom, D. H., Porter, L. S., Kirby, J. S., Gremore, T. M., Wiesenthal, N., Aldridge, W., et al. (2009). A couple-based intervention for female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8, 276-283. http://dx.doi.org/10.1002/pon.1395 

  4. Belcher, A. J., Laurenceau, J. P., Graber, E. C., Cohen, L. H., Dasch, K. B., & Siegel, S. D. (2011). Daily support in couples coping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Maintaining intimacy during adversity. Health Psychology, 30, 665-673. http://dx.doi.org/10.1037/a0024705 

  5. Bigatti, S. M., Brown, L. F., Steiner, J. L., & Miller, K. D. (2011). Breast cancer in a wife: How husbands cope and how well it works. Cancer Nursing, 34, 193-201. http://dx.doi.org/10. 1097/NCC.0b013e3181ef094c 

  6. Budin, W. C., Hoskins, C. N., Haber, J., Sherman, D. W., Maislin, G., Cater, J. R., et al. (2008). Breast cancer: Education, counseling, and adjustment among patients and partner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Nursing Research, 57, 199-213. http://dx.doi.org/10.1097/01.NNR.0000319496.67369.37 

  7. Bultz, B. D., Speca, M., Brasher, P. M., Geggie, P. H., & Page, S. A. (2000).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brief psychoeducational support group for partners of early stage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9, 303-313. 

  8. Cho, E. A., & Oh, H. E.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 285-293. http://dw,doi.org/10.4040/jkan.2011.41.3. 285 

  9. Choi, E. H., Chung, B. Y., Kim, G. D., Kim, K. H., & Byun, H. S. (2011). Literature review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terventions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 26-32. http://dx.doi.org/10.5388/jkon.2011.11.1.26 

  10. Choi, K. S., Kim, M. S., Lee, I. J., Han, S. Y.,, Park, J. A., & Lee, J. H. (2011).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 74-82. http://dx.doi.org/10.5388/jkon.2011.11.1.74 

  11. Cochrane, B. B., & Lewis, F. M. (2005). Partner's adjustment to breast cancer: A critical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Health Psychology, 24, 327-332. 

  12. Cochrane, B. B., Lewis, F. M., & Griffith, K. A. (2011). Exploring a diffusion of benefit: Does a woman with breast cancer derive benefit from an intervention delivered to her partner? Oncology Nursing Forum, 38 , 207-214. http://dx.doi.org/10.1188/11.ONF.207-214 

  13. Garland, S. N., Carlson, L. E., Marr, H., & Simpson, S. (2009).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palliative cancer patients and their partners participating in a longitudinal evaluation of a psychosocial retreat program.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7, 49-56. http://dx.doi.org/10.1017/S1478951509000078 

  14. Hoskins, C. N., Haber, J., Budin, W. C., Cartwright-Alcarese, F., Kowalski, M. O., Panke, J., et al. (2001). Breast cancer: Education, counseling, and adjustment-a pilot study. Psychological Reports, 89, 677-704. 

  15. Jang, E. H., Choi, K. S., & Kwon, S. J. (2013).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on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3, 1-10. 

  16. Jemal, A., Bray, F., Center, M. M., Ferlay, J., Ward, E., & Forman, D. (2011). Global cancer statistic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61, 69-90. http://dx.doi.org/10.3322/caac.20107 

  17. Jun, E. Y. (2008). Effect of a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on marital intimacy,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8. Kim, J. N. (2005). Efficacy of an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9. Kim, J. E., Park, K. M., & Koh, H. J. (2003). The effect of mastectomy education for women with mastectomy and supporting education for their spouse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7, 233-242. 

  20. Lewis, F. M., Cochrane, B. B., Fletcher, K. A., Zahlis, E. H., Shands, M. E., Gralow, J. R., et al. (2008). Helping her heal: A pilot study of an educat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for spous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7, 131-137. 

  21. Manne, S. L., Ostroff, J. S., Winkel, G., Fox, K., Grana, G., Miller, E., et al. (2005). Couple-focused group intervention for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 , 634-646. 

  22. Manne, S., Ostroff, J. S., & Winkel, G. (2007). Social-cognitive processes as moderators of a couple-focused group intervention for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6, 735-744. 

  23. Matsuda, A., Yamaoka, K., Tango, T., Matsuda, T., & Nishimoto, H. (2013). Effectiveness of psychoeducation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early-stage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Quality of Life Research.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24. Oh, P. J., & Kim, Y. H. (2012). Meta-analysis of spiritual intervention studies 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outc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 833-842.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33 

  25. Rim, H. S. (2007).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6. Scott, J. L., Halford, W. K., & Ward, B. G. (2004). United we stand? The effect of a couple-coping intervention on adjustment to early stage breast or gynecological canc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 1122-1135. 

  27. Sherman, D. W., Haber, J., Hoskins, C. N., Budin, W. C., Maislin, G., Cater J., et al. (2009). Differences in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djustment of intimate, family, and nonfamily patient-partner dyads based on a breast cancer intervention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36 , E185-197. http://dx.doi.org/10.1188/09.ONF.E185-E197 

  28. Shields, C. G., & Rousseau, S. J. (2004). A pilot study of an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spouses. Family Process, 43, 95-107. 

  29.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1).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 statistics 2009.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0. Von Ah, D., Kang, D. H., & Carpenter, J. S. (2007). Stress, optimism, and social support: Impact on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30, 7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