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F 개발사업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리스크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roughout Success Factor Analysis in Project Financing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5, 2013년, pp.92 - 102  

이동건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차희성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F사업은 민간의 투자를 유치하여 국가 경제와 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젝트 발주방식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개발이익 극대화라는 측면만을 고려함으로 인하여 무분별한 PF사업의 급증과 최근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하여 사업의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주된 원인은 PF사업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전에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차단하려는 노력이 미흡한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F사업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PF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을 분류하여 세부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PF사업의 리스크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체계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PF사업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선행연구와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5개영역, 15개 항목, 104개의 영향인자를 도출하였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영향정도를 검증하였다. 후속 면담조사를 통해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PF 사업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 활용이 될 경우 PF 개발사업의 건전성 평가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PF 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도구 개발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roject Financing (PF) is a form of project delivery system that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trying to give help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attract private investment.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many PF projects are only taking into ac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PF사업의 위기는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분석 및 객관적인 검토 체계의 부재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F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기반하여 PF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영향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종 문헌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PF사업의 영향요소를 파악하고 설문분석을 통해 리스크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영향요소와 중요도를 통하여 PF사업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PF사업의 정량적 평가체계 구축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 도출된 PF사업의 성공영향요소의 적절성 및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F사업의 리스크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PF사업의 중요 영향요소 도출하고, 도출된 영향요인의 적절성 및 영향정도 도출을 통하여 PF사업의 성공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F사업의 성공영향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내용은 PF사업에 영향을 끼치는 영향요소와 리스크 요소에 관한 연구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PF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기반하여 PF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영향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종 문헌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PF사업의 영향요소를 파악하고 설문분석을 통해 리스크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F사업이란? PF사업은 프로젝트로 인하여 발생하는 미래의 현금흐름 및 가치를 상환재원으로 하는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프로젝트 단위로 자금을 공급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금융 및 사업방식이다. (이만형 외 2007)
PF사업 성공영향요인에서 평가분야는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PF영향요인은 선행연구의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PF사업 성공영향요인은 평가분야, 평가항목, 평가요소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평가분야는 “사업 참여자 평가”, “개발계획 평가”, “대상부지 평가”, “사업프로세스 평가”, “재무성과 평가” 등 5개 분야로 구분하였고, 각 평가항목은 “시행사의 역량”, “시공사의 역량”, “금융기관의 역량”, “입지분석”, “개발컨셉 및 대상부지”, “개발 후의 가치평가 및 운용”, “시공 리스크 관리 계획”, “마케팅 계획”, “부지확보 및 계약사항”, “부지 평가 진행사항”, “시공”, “인허가”, “계약”, “사업수지분석”, “손익 및 배당계획” 등 15개의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각 평가요소는 평가항목별로 재구성하여 총 104개의 하위요소로 구분하였다.
PF사업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이와 같은 PF사업은 토지주, 시공사, 금융기관, 시행사 등의 이해관계자에 의하여 진행이 되고, PF사업을 진행하게 되는 SPC사는 사업이 종료될 경우 해산되는 일종의 Task Force 방식의 형태를 가지고 진행하게 된다. (정호근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국토연구원 (2012). 부동산개발사업 평가항목 선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 김성철.이정철.이찬식 (2008). "부동산 PF사업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pp. 491-496 

  3. 김우영.백화숙.김경환 (2011). "리스크요소 분석을 통한 PF사업 타당성평가의 선진화방안",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25-226 

  4. 김지은.김현수.차희성 (2010). "민간사업 Project Financing Risk 평가모형 개발", 전국대학생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1-15 

  5. 박혜성.김선국 (2011). "민관합동형 PF사업의 단계별 리스크 분류 및 위험도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17-126 

  6. 이만형.홍성보 (2007).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에 근거한 복합용도 개발의 타당성 분석",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권 제1호 

  7. 이치주.김상기 (2009).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리스크 인자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pp. 159-166 

  8. 정호근.이상범 (2006).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사업타당성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 최시웅.차희성.김경래.신동우 (2011). "중.소형 개발사업의 PF성공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1-28 

  10. 최주원.최선영.유승규.김주형.김재준 (2011).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의 건설사업관리의 효율적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Han, S. H. and Diekmann, J. E. (2001). "Approaches for Making Risk-Based Go/No-Go Decision for International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 Ye, S. and Tiong, L. K. (2000). "NPV-at-Risk Method in Infrastructure Project Investment Evalu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