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울음의 의사소통 의도와 관련된 음향학적 특성
Acoustic and Physiologic Characteristics of Newborn Infants' Communication Intent via Crying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3, 2013년, pp.55 - 60  

장효령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  고도흥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crying infan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intents such as hunger and pain in terms of acoustic difference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F_0$), jitter, shimmer, noise-to-harmonic ratio(NHR), habitual pit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인 신생아의 상황을 아주 일관성이 있게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신생아의 4가지 울음소리 유형 중 배고픔과 통증에 따른 울음소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매개변수로는 기존의 국외 연구에서 자주 활용하였던 기본주파수 이외에 음향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요한 매개변수인 지터, 쉼머, 소음 대 배음 비율, 강도를 통해서 음향학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인 신생아의 상황을 아주 일관성이 있게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신생아의 4가지 울음소리 유형 중 배고픔과 통증에 따른 울음소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매개변수로는 기존의 국외 연구에서 자주 활용하였던 기본주파수 이외에 음향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요한 매개변수인 지터, 쉼머, 소음 대 배음 비율, 강도를 통해서 음향학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고픔과 통증을 나타내는 신생아 울음의 의사소통 의도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을 기본주파수, 주파수 변동률, 진폭 변동률, 소음대배음 비율, 강도를 통해 음향학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가 본인의 의사전달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울음이 없다면 말을 못하는 갓난아기는 바늘에 찔려도 이것을 알리는 아무런 방법이 없을 것이다(홍창의, 1999). 이렇게 신생아는 울음을 본인의 의사전달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한다(송창윤, 2005).
신생아의 울음은 어떠한 현상인가? 신생아의 울음은 호흡계와 중추 및 말초신경계 그리고 여러 근육과 조직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생리적인 현상이다(Golub et al., 1985).
음향학적인 파동에서 나타나는 작은 불규칙성은 어떤 경우에 활용되는가? (Schoentgen, 1991). 따라서 음성 치료의 결과를 평가할 때 뿐만 아니라 진단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Hodge et al,. 2001), (M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rr, R., Green, J., & Hopkins, B. (2002). Crying as a sign, a symptom, and a signal.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15(1), 107-108. 

  2. Britto, A. I., & Doyle, P. C. (1990). A comparison of habitual and derived optimal voice fundamental frequency values in normal young adult speaker.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5, 476-484. 

  3. Brockmann, M., Drinnan, M., Stork, C., & Carding, P. (2009). Reliable jitter and shimmer measurements in voice clinics: the relevance of vowel, gender, vocal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effects in a typical clinics task. Journal of Voice, 25(1), 44-53. 

  4. Dejonckere, P. H., Buchmann, L. C., & Marie, J. P. (2001). A basic protocol for functional assessment of voice pathology, especially for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treatments and evaluating new assessment techniques.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258(2), 77-82. 

  5. Drinnan, M. J., & Carding, P. N. (2008). Voice loudness and gender effects on jitter and shimmer in healty ad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1, 1152-1160. 

  6. Fort, A., & Manfredi, C. (1998). Acoustic analysis of newborn infant cry signals. Medical Engineering & Physics, 20(6), 432-442. 

  7. Fuller, B., & Horii, Y. (1986). Differences in fundamental frequency, jitter, and shimmer among four types of infant vocaliza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9(6), 441-447. 

  8. Golub, H. L., & Corwin, M. A. (1985). Physioacoustic model of the infant cry. New York: Plenum Press. 

  9. Gustafson, G., Green, J., & Tomic, T. (1984). Acoustic correlates of individuality in the cries of human infants. Developmental Psychology, 17(3), 311-324. 

  10. Gustafson, G., Green, J., & Jones, L. (1987). Perception of cries by parents and nonparents: relation to cry acoustics. Developmental Psychology, 23(3), 370-382. 

  11. Hodge, F., Colton, R., & Kelley, R. (2001). Vocal intensity characteristics in normal and elderly speakers. Journal of Voice, 15(4), 503-511. 

  12. Hong, C. E. (1999). Pediatrics treatment. Seoul: Goryeo medicine. (홍창의 (1999). 소아과 진료. 서울: 고려의학.) 

  13. Jotz, G., Cervantes, O., Abrahao, M., & Settanni, F. (2002). Noise to harmonics ratio an acoustic measure of voice disorders in boys. Journal of Voice, 16(1), 28-31. 

  14. Kim, S. H. (2008). Fundamental frequencies of Korea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Ph.D. Dissertion, Hallym University. (김선해 (2008). 연령별, 성별에 따른 한국인의 기본주파수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Lummaa, V., Vuorisalo, T., Barr, R., & Lehtonen, L. (1998). Why cry? Adaptive significance of intensive crying in human infants.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19(3), 193-202. 

  16. Ma, E., & Yiu, E. (2006). Multiparametric evaluation of dysphonic severity. Journal of Voice, 20(3), 380-390. 

  17. Martin, B. (1975). Clinical analysis of the cr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13(6), 15-20. 

  18. Michelsson, K., Christensson, K., Rothganger, H., & Winberg, J. (1996). Crying in separated and non-separated newborns: sound spectrographic analysis. Acta Paediatrica, 85(4), 471-475. 

  19. Orlikoff, R. F., & Baken, R. J. (1989). The effect of the heartbeat on vocal fundamental frequency perturba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2, 576-582. 

  20. Ringel, R. L., & Kluppel, D. D. (1964). Neonatal crying: a normative study. Folia Phoniatr, 16, 1-9. 

  21. Schoentgen, J. (1991).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discriminating performance of acoustic features in detecting laryngeal pathology. Speech Communication, 34, 460-472. 

  22. Song, C. E. (2005). Acoustic analysis of neonatal crying according to body weight, sex and delivery type. M.D. Dissertion, Busan University. (송창윤 (2005). 체중, 성별, 분만 방식에 따른 신생아 울음의 음향학적 분석, 부산대학교대학원 의학석사 학위논문.) 

  23. Titze, I. R. (1988). Regulation of vocal power and efficiency by subglottal pressure and glottal width. New York: Raven. 

  24. Titze, I. R. (1989). On the relation between subglottal pressure and fundamental frequency in phona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5(2), 901-906. 

  25. Zeskind, P. S., & Lester, B. M. (1978). Acoustic features and auditory perceptions of the cries of newborns with prenatal and perinatal complications. Child Development, 49(3), 580-589. 

  26. Zeskind, P. S., & Marshall, T. R. (1988). The relation between variations in pitch and maternal perception of infant crying. Child Development, 59(1), 193-196. 

  27. Zeskind, P. S., & Barr, G. (1997).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aturally occurring cries of infants with "Colic". Child Development, 68(3), 394-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