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이 표면에 분포된 미립자를 이용한 열전도 복합재료의 개발
Graphene Attached on Microsphere Surface for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19 no.3, 2013년, pp.243 - 248  

최재용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주혁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미리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기석 (공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  조국영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전도성 복합재료는 방열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그래핀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기계적 특성,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잠재성이 높은 물질이다. 그러나 기존의 그래핀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서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산을 하게 되어 청정생산공정측면에서 이를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플루이딕(microfluidic)으로 균일한 미립자를 제조하는데 있어 계면안정제를 도입하여 수분산을 통한 그래핀 용액을 연속상(water phase)으로 사용하여 표면에 그래핀이 분포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미립자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의 제조방법은 소량의 그래핀으로 열전도 특성이 향상되어 열전도성 복합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where effective heat dissipation is required. Graphene shows high potential for various uses owing to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good mechanical strength,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Generally previous works used organic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표면에 그래핀이 분포된 PMMA 미립자를 제조하였고, 열전도성 복합재료로서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균일하게 제조된 PMMA 미립자를 연결하고 PEGDMA (acryl monomer)와 티올 단량체를 50 : 50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도입하여 티올-엔 광 경화반응을 통해 필름 형태로 제조하였다[24].
  • 본 연구에서는 열전도성 복합재료 제조를 위해 불안정한 그래핀의 분산성을 해결하고자 수중유 에멀젼(O/W emulsion) 방법을 통하여 균일한 형태의 미립자를 제조하고, 표면에만 그래핀이 분포된 미립자를 개발하였다. 제조된 미립자간의 연결을 통해 열전도 경로를 제공함으로 소량의 그래핀으로도 열전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소자의 발열 제어가 어려운 이유는? 최근 차세대 전자소자는 박형화 및 다기능화로 인해 고집 적화되어 이에 따른 열 밀도의 증가로 발열의 효과적인 제어가 어렵다. 이러한 발열의 문제로 인해 전자 소자의 신뢰성 및 수명이 저하되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1-4].
전자소자의 효과적인 발열 제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이러한 발열의 문제로 인해 전자 소자의 신뢰성 및 수명이 저하되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1-4]. 효과적인 발열 제어를 위해서는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물질이 필요하며 이를 응용한 열전도성 복합재료가 각광받고 있다. 열전도성 복합재료는 특히 전자소자에서 기존의 금속이 차지하고 있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며, 가볍고 목적에 맞는 열전도를 가질 수 있다[5-7].
열전도성 복합재료의 수지로 많이 사용되는 고분자의 매우 낮은 열전도성을 해결하기위한 방안은? 열전도성 복합재료의 수지로 많이 사용되는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열전도 성을 가지고 있다[6].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춘 충전제(filler)를 도입해야 한다. 현재 열전도성 복합 재료에는 산화 알루미늄(Al2O3), 질화 알루미늄(AlN), 보론나이트라이드(BN) 등의 충전제(filler)를 첨가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H. L., Ha, S. M., Yoo, Y., and Lee, S.-G., "Current Trends in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Polym. Sci. Technol., 24(1), 30-37 (2013). 

  2. Park, O.-K., Lee, S., Ku, B.-C., and Lee, J. H., "A Review of Graphene-based Polymer Nanocomposites," Polym. Sci. Technol., 22(5), 467-473 (2011). 

  3. Prasher, R., "Thermal Interface Materials: Historical Perspective,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Proc. IEEE, 94(8), 1571-1586 (2006). 

  4. Yim, S.-W., Lee, J.-H., Lee, Y.-G., Lee, S.-G., and Kim, S.-R., "Effect of the Pressure on the Interface an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propylene-SiC Composites," J. Adhes. Interface, 10(1), 30-34 (2009). 

  5. Hong, J., and Shim, S. E., "Trends in Development of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Appl. Chem. Eng., 21(2), 115-128 (2010). 

  6. Luyt, A. S., Molefi, J. A., and Krump, H.,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pper Powder Filled Low-density and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Polym. Degrad. Stabil., 91(7), 1629-1636 (2006). 

  7. Sanada, K., Tada, Y., and Shindo, Y.,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Composites with Close-packed Structure of Nano and Micro Fillers," Compos. Part A-Appl. S. Manuf., 40(6-7), 724-730 (2009). 

  8. Lee, E.-S., Lee, S.-M., Shanefield, D. J., and Cannon, W. R.,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Matrix Composite via High Solids Loading of Aluminium Nitride in Epoxy Resin," J. Am. Ceram. Soc., 91(4), 1169-1174 (2008). 

  9. Zhi, C., Bando, Y., Terao, T., Tang, C., Kuwahara, H., and Golberg, D., "Towards Thermoconductive,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ic Composites with Boron Nitride Nanotubes as Fillers," Adv. Funct. Mater., 19(12), 1857-1862 (2009). 

  10. Xu, J., Razeeb, K. M., and Roy, S., "Thermal Properties of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ilicone Nanocomposites," J. Polym. Sci. B: Polym. Phys., 46(17), 1845-1852 (2008). 

  11. Im, H., and Kim, J., "Thermal Conductivity of a Graphene Oxide-carbon Nanotube Hybrid/Epoxy Composite," Carbon, 50(15), 5429-5440 (2012). 

  12. Potts, J. R., Dreyer, D. R., Bielawski, C. W., and Ruoff, R. S., "Graphene-based Polymer Nanocomposites," Polymer, 52(1), 5-25 (2011). 

  13. Teng, C.-C., Ma, C.-C. M., Lu, C.-H., Yang, S.-Y., Lee, S.-H., Hsiao, M.-C., Yen, M.-Y., Chiou, K.-C., and Lee, T.-M., "Thermal Conductivity and Structure of Non-covalent Functionalized Graphene/Epoxy Composites," Carbon, 49(15), 5107-5116 (2011). 

  14. Balandin, A. A., Ghosh, S., Bao, W., Calizo, I., Teweldebrhan, D., Miao, F., and Lau, C. N., "Superior Thermal Conductivity of Single-layer Graphene," Nano Lett., 8(3), 902-907 (2008). 

  15. Kuilla, T., Bhadra, S., Yao, D., Kim, N. H., Bose, S., and Lee, J. H., "Recent Advances in Graphene Based Polymer Composites," Prog. Polym. Sci., 35(11), 1350-1375 (2010). 

  16. Bai, H., Li, C., and Shi, G., "Functional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Chemically Converted Graphene," Adv. Mater., 23(9), 1089-1115 (2011). 

  17. Zaman, I., Phan, T. T., Kuan, H.-C., Meng, Q., La, L. T. B., Luong, L., Youssf, O., and Ma, J., "Epoxy/Graphene Platelets Nanocomposites with Two Levels of Interface Strength," Polymer, 52(7), 1603-1611 (2011). 

  18. Vadukumpully, S., Paul, J., Mahanta, N., and Valiyaveettil, S., "Flexible Conductive Graphene/Poly(vinyl chloride) Composite Thin Films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Carbon, 49(1), 198-205 (2011). 

  19. Hwangbo, K.-H., Kim, M. R., Lee, C.-S., and Cho, K. Y., "Facile Fabrication of Uniform Golf-ball-shaped Microparticles from Various Polymers," Soft Matter, 7(22), 10874-10878 (2011). 

  20. Lewis, C. L., Choi, C.-H., Lin, Y., Lee, C.-S., and Yi, H., "Fabrication of Uniform DNA-conjugated Hydrogel Microparticles via Replica Molding for Facile Nucleic Acid Hybridization Assays," Anal. Chem. 82(13), 5851-5858 (2010). 

  21. Choi, C.-H., Jeong, J.-M., Kang, S.-M., Lee, C.-S., and Lee, J., "Synthesis of Monodispersed Microspheres from Laplace Pressure Induced Droplets in Micromolds," Adv. Mater., 24(37), 5078-5082 (2012). 

  22. Jin, H.-J., Choi, H. J., Yoon, S. H., Myung, S. J., and Shim, S. E., "Carbon Nanotube-adsorbed Polystyren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Microspheres," Chem. Mater., 17(16), 4034-4037 (2005). 

  23. Kang, S.-M., Choi, C.-H., Kim, J., and Lee, C.-S., "Synthesis Technology of Functional Colloid Particles and Its Applications," Clean Tech., 18(4), 331-340 (2012). 

  24. Ryou, M.-H., Lee, Y. M., Cho, K. Y., Han, G.-B., Lee, J.-N., Lee, D. J., Choi, J. W., and Park, J.-K., "A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Initiator-free Photopolymeriza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Electrochim. Acta, 60, 23-3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