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패션 브랜드 앱 내용이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7 no.4, 2013년, pp.149 - 163  

최예슬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  김미영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s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220 reliabl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패션 브랜드 앱의 제공 내용들을 분류하고 이런 내용들을 제공하는 패션 기업들의 빈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은 스마트폰 이용 동기들의 요인을 밝히고 밝혀진 이용 동긴 요인들간의 중요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세 번째로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재 출시되어 있는 패션 브랜드 앱에서 제공하고 있는 내용들을 밝히고, 앱의 내용별로 제공되고 있는 패션브랜드의 빈도를 조사하여 패션 브랜드 앱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다음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밝히고, 밝혀진 이용 동기들을 소비자들이 얼마나 중요시 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런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 연구를 참고하여 과시성, 오락성, 사회적 관계형성, 정보획득, 시간활용의 5개 요인 이용하여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상의 5개 요인은 실증적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할 것이다.
  • 이상의 5개 요인은 실증적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할 것이다. 또한 실증적으로 확인된 요인들이 패션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 이런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브랜드 앱의 유형과 구체적인 앱의 내용들이 소비자들의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스마트폰은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 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밝히고 이런 스마트폰의 이용 동기가 패션브랜드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기업에서 제공하는 자신의 패션브랜드의 앱에는 어떤 내용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런 내용들이 소비자들의 패션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런 결과들은 패션기업들이 자신의 브랜드 앱을 제작할 때 어떤 내용들로 구성할 것인지와 이에 따른 마케팅 전략들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먼저 스마트폰 이용동기들간 중요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에 대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현재 출시되어 있는 패션 브랜드 앱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내용에 따라 9가지의 제공 내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패션 브랜드 앱의 제공 내용들을 분류하고 이런 내용들을 제공하는 패션 기업들의 빈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은 스마트폰 이용 동기들의 요인을 밝히고 밝혀진 이용 동긴 요인들간의 중요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 다음은 스마트폰 이용 동기들의 요인을 밝히고 밝혀진 이용 동긴 요인들간의 중요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세 번째로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 브랜드 앱 내용이 소비자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3.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 연구문제 1. 우선 패션 브랜드 앱의 제공 실태를 보고자 패션 브랜드들이 제공하고 있는 앱의 제공 내용과 빈도를 조사한다.
  • 다음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밝히고, 밝혀진 이용 동기들을 소비자들이 얼마나 중요시 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런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패션 브랜드 앱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브랜드 앱의 유형과 구체적인 앱의 내용들이 소비자들의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스마트폰은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 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밝히고 이런 스마트폰의 이용 동기가 패션브랜드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기업에서 제공하는 자신의 패션브랜드의 앱에는 어떤 내용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런 내용들이 소비자들의 패션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 이런 결과들은 패션기업들이 자신의 브랜드 앱을 제작할 때 어떤 내용들로 구성할 것인지와 이에 따른 마케팅 전략들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재 출시되어 있는 패션 브랜드 앱에서 제공하고 있는 내용들을 밝히고, 앱의 내용별로 제공되고 있는 패션브랜드의 빈도를 조사하여 패션 브랜드 앱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다음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밝히고, 밝혀진 이용 동기들을 소비자들이 얼마나 중요시 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이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는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 (이하 패션 브랜드 앱)은 패션 기업들의 새로운 마케팅 시도로써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알릴뿐 만 아니라 소비자들과의 소통의 도구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패션 브랜드 앱을 가장 먼저 시도한 샤넬(Chanel), 구찌(Gucci)등의 명품 브랜드의 경우에는 기존에 구축하고 있는 명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패션 브랜드 앱을 활용하였다. 소비자들이 패션 브랜드 앱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브랜드 소개, 시즌컬렉션 정보, 매장위치정보 등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앱으로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패션 브랜드 앱을 가장 먼저 시도한 명품 브랜드는?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이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는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 (이하 패션 브랜드 앱)은 패션 기업들의 새로운 마케팅 시도로써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알릴뿐 만 아니라 소비자들과의 소통의 도구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패션 브랜드 앱을 가장 먼저 시도한 샤넬(Chanel), 구찌(Gucci)등의 명품 브랜드의 경우에는 기존에 구축하고 있는 명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패션 브랜드 앱을 활용하였다. 소비자들이 패션 브랜드 앱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브랜드 소개, 시즌컬렉션 정보, 매장위치정보 등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앱으로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패션 기업들마다 자사의 브랜드 개성에 맞는 패션 브랜드 앱을 출시하려는데 패션 브랜드 앱의 소비자 인식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필요한 것은? ¹⁾ 이러한 패션 브랜드 앱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경쟁은 점차 심화되어가고 있고, 패션 기업들마다 자사의 브랜드 개성에 맞는 패션 브랜드 앱이 출시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패션 브랜드 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여 패션 브랜드 앱의 활용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패션 브랜드 앱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의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e Eunju, Kim Sookjin(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et homepage of fashion brand between smartphone appli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Fall Conference, pp.60-62. 

  2. Kang Miseon(2011, October 26), "Smart phone 2,000,000 era ${\cdots}$ smart life 'Wide'". Money Today. Retrieved November 24, 2011, from http://www.mt.co.kr 

  3. Park Jaesok(2010), "A study on the causes of mobile application acceptance", Korea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6. 

  4. Kang Sehun(2010, 7. 14), "Smartphone users own an average of 23 appli cations and normally use the Internet for an hour", Newsis. Retrieved July 14, 2010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3339817 

  5. "Mobile app forecast up, up, up", (2010, March 25). E-maketer. Retrieved May 24, 2011, from http://www.emarketer.com 

  6. "The application market size will be worth USD 144 billion in 2015",(2011. 12. 06), Hankookilbo-economy Retrieved December 10, 2011, from http://economy.hankooki.com 

  7. "Republic of Korea Mobile Yearbook 2009, 2010", (2009).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8.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2009), "The wind blowing into the mobile market opportunity, App Store", Seoul: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9. Digieco(2009, 7, 21), "The Analysis of Application Usage Pattern and reference of iPhone Users". Seoul: Digieco. Retrieved December 20 2011, from www.digieco.co.kr/KTF ront/index.action 

  10. Kim Heebae(2011), "Study on the brand assets of a portal site and using the mobile applications along with user's satisfaction therewi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p.7. 

  11. "Internet Issue Planning", (2010).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12. Tong Yang Investment Bank Research center(2010), "Smart Phone, 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Seoul: Tong Yang Investment Bank Research center, pp.13-16. 

  13. Lee Heungpyo(2002), The relationship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 gambling motive, and risk taking with pathological gambling, Kore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28. 

  14. Lee Sungjoon, Kim Yongwon, Seoh Hyunsik, Lee Bonggyou(2010), "Acceptance and rejection of smartphones and Application Genre Repertoire",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Spring Conference, 2010(6), pp.271-276. 

  15. Yang Heejo(2010), "A study on uses and gratifications of smart phone users",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p.271-276. 

  16. Jang Seunghee(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advertising acceptance and the advertising strategie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r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271-276. 

  17. Bae Eunkyung(2010), "Study on perceived value and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 factors in mobile fashion application : Focusing on consumer innovation and smart phone lifestyle", Yonsei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p.271-276. 

  18. Choi Gahyun(2012), "A study on information-seeking benefits of fashions applications and their effect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271-276. 

  19. Choi Yeseul, Kim Miyoung(2011), "An Analysi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5), pp.129-143. 

  20. Nam Chonghoon(2006),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mobile TV adoption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S-DMB and T-DMB", Unpublished doctor 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pp.140-1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