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기반의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 성능분석 방법 및 사례연구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and Case Study for BIM based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4, 2013년, pp.15 - 23  

전기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윤석헌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프로젝트는 현장여건의 변화와 불확실성으로 신뢰성 높은 계획을 수립하기 힘들고 따라서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도입으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뢰성 높은 계획을 수립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시점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단순 애니메이션 용도로만 사용되고 실제 엔지니어링 업무를 지원하는 경우도 드물다. 최근 들어 이러한 한계점을 탈피하고 보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BIM의 가장 핵심이 업무 효율성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BIM기반 건축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 등의 BIM기반 시스템은 성능 분석이 매우 필요한 요소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의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표준 시나리오를 정의하여 이를 기준으로 성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이고 적극성을 갖춘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that construction project is usually uncertain and the plan of it changes frequently, it is difficult to make a reliable and feasible plan for it. As the BIM technology is developed, we can simulate the futur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visually and make more reliable plan. However, data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BIM기반의 건축시공시뮬레이션의 성능분석을 위해 운용 시나리오의 정의를 통한 작업시간 측정을 진행하였다. 성능분석에 앞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요구기능과 중요도(요구도)가 큰 기능을 조사하고, 정의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업 프로세스에 중요도가 높은 기능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성능 분석 대상 기능을 선정하였다.
  • 그 이유는 시스템의 기능이 매우 다양하고, 명확한 기준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기반의 성능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시나리오는 건축시공시뮬레이션에서 핵심이 되는 주요 프로세스를 정의해놓은 것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 국내외 연구들을 조사해서 현재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현황과 개발, 성능분석과 평가에 대한 내용들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서 연구에서는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주요기능을 조사하고,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작업 프로세스를 정의하여 평가범위를 한정하였다.
  • 건축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매우 많은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많은 기능들 중에서 건축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 상에서 공통적인 핵심 기능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기능항목들은 5점 척도로 각 기능별로 필요성과 효율성을 조사하여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중요도(요구도)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작업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앞에서 도출된 표준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실제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세부 사항과 작업 내용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성능 분석을 위한 세부사항의 정의는 동일한 환경에서 성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건축시공시뮬레이션이 적용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해당 업무 프로세스에서 핵심이 되는 표준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이러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표 5는 건축시공시뮬레이션의 주요 프로세스와 기능 등의 내용을 정리한 결과이다. 여기서는 건축시공시뮬레이션의 기능 분석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로드, 객체-공정 연결, 시뮬레이션 구동 등의 작업 프로세스를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작업을 건축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대상으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 기반의 4D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은? 다음 표는 BIM 기반의 4D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조사한 것이다. 김태수(2008)의 연구에서는 공정정보와 모델정보의 자동연결을 위한 작업코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고, 조진(2007)는 4D 시뮬레이션의 시공성 검토를 목적으로 시스템 Logic을 제안하였다. 유제승(2010)의 연구에서는 BIM의 실질적인 활용을 위해 건설관리 도구들 간에 3D 모델의 객체 정보가 효과적으로 공유 가능한 모델-공정 통합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이에 반해 4D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건축시공시뮬레이션을 항목별로 분류하면? 표 3에서 보는 것처럼, 건축시공시뮬레이션은 크게 시각화, 정보연계, 시뮬레이션(공정지원), 문서/데이터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시각화는 시스템 내에서의 다양한 표시, 형상, 색 등으로 작업내용을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이며, 정보연계는 시뮬레이션 구현을 위하여 WBS의 공정과 3차원 객체 정보의 연계 기능을 가리킨다.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는 무엇이 명확해야 하는가?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도입효과가 명확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건축 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의 도입효과를 명확히 분석하는 방법론이나 분석결과를 도출한 사례가 매우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이진강.이현수.박문서.정민혁 (2013). "IFC활용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4권, 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53-64 

  2. 김태수.김경환 (2008). "4D 시뮬레이션 구현을 위한 공정과 3D 모델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99-203 

  3. 이재철 (2002).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객체 라이브러리의 정의 및 구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3호, pp. 149-156 

  4. 이재철 (2004). "4D 시뮬레이션 및 일정별 물량정보검색을 위한 3D 모델 정보 활용".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07-114 

  5. 유제승.김경환 (2010). "자동 공정 생성을 통한 4D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5권 9호, pp. 173-180 

  6. 조진.박광호.박원호.백준홍 (2007).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3D 모델-공정 자동연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805-808 

  7. 주성일.전한종 (2009). "4D 시뮬레이션에 활용 가능한 BIM기반 물량산출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335-338 

  8. Julian H. Kang, Stuart D. Anderson, Mark J. Clayton (2007). "Empirical Study on the Merit of Web-Based 4D visualization in Collaborative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3, No. 6, pp. 447-461 

  9. Nashwan Dawood, Eknarin Sriprasert, Zaki Mallasi, Darren Scott (2003). "An industrial evaluation of the virtual construction site(Vircon) tools". The 20th CIB W78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10. Nashwan Dawood, Mallasi Z. (2006). "Construction Workspace Planning: Assignment and Analysis Utilizing 4D Visualization Technologies". Computer-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Vol. 21, No. 7, pp. 49-513 

  11. Kristen Barlish, Kenneth Sullivan (2012). "How to measure the benefits of BIM - A case study approa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24, pp. 149-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