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공성 분석업무 개선을 위한 BIM 기술의 적용방안
Improving Constructability Analysis Tasks by Applying BIM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2 = no.54, 2010년, pp.137 - 146  

박찬식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박희택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설 프로젝트는 대형화, 복잡화, 고층화 그리고 발주방식의 다앙화에 따라 사업 초기단계부터 설계, 입찰, 계약, 시공 유지관리의 모든 과정을 연계하는 업무의 통합관리가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설계와 시공단계의 시공성 분석은 프로젝트의 목표와 성능의 극대화에 필수적인 주요 업무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건설실무에서의 현행 시공성 분석 업무는 2D 도면과 문서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단계별로 분석되어야 할 업무수행 범위, 방법과 절차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또한 실무자의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여 생성되는 분석정보의 일관성의 유지와 축적 및 활용이 어렵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적절한 기술이나 기법의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븐 연구는 현재 국내 건설 산업에서 수행되고 있는 시공성 분석의 업무내용을 규명하고, 그 실무적 한계를 파악하여, 최근 전 세계적으로 건설프로젝트에 활발히 도입 및 활용되고 있는 BIM의 개념과 기술의 시공성 업무에의 적용성을 분석하였고, 현행 시공성 분석 실무에의 적용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oming construction projects larger and more complicated, and utilizing more varied and complex contracting and delivery systems in the industry, integrating information and managing constructability from project inception to completion became the most critical tasks for the successful project m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업무내용을 조사 . 규명하고,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BIM 기술이 국내 프로젝트 설계와 시공업무에 산발적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BIM 기술들의 시공성 분석업무에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한 개념적 수준의 연구이다. 프로젝트 제 단계에서의 세부적인 시공성 분석 업무들에 BIM 기술의 구체적인 활용방법과 실질적인 적용성과를 분석 제시하지 못하는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 본 장에서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된 기존 시공성분 석 업무에 대하여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BIM의 기능이 적용 가능한 업무를 도출하여 BIM을 활용한 시공성 분석 업무의 수행방안 및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는 다분히 시공성 분석업무의 복잡성과 도면 및 문서기반의 분석에 활용되는 기술정보의 효과적인 운용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세계 건설 산업의 제 분야에서 도입하여 프로젝트 업무와 정보의 통합관리기술로 활용되고 있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1 2^ 개념과 기술이 적용 가능한 시공성 분석업무를 도출하고 그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현행 시공성 분석 실무의 한계를 분석하고, 건설프로젝트의 핵심 단계로 시공성 분석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설계와 시공단계의 시공성 분석 업무내용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외 BIM 적용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핵심적인 BIM 의 주요 기능을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인석, 문현석, 박서영(2008), "건설공사 진행단계별 4D CAD 시스템의 적용방법론 및 프로세스 모델 구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7호, pp. 127-134 

  2. 강현철, 이명식(2007), "ElM사례분석에 의한 건설업무 통합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1호, pp. 61-64 

  3. 권동혁, 김한수(2000), "고층사무소 프로젝트 시공성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3호, pp. 155-162 

  4. 김지원, 이민철, 최정민, 옥종호(2009), "건설 산업의 BlM 적용 능력 제고를 위한 ElM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6호, pp. 1-6 

  5. 남용호, 연희정, 홍태훈, 구교진, 현창택(2007), "공공부문 일괄사업 실시설계단계의 파트너링과 시공성 분석 적용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531-534 

  6. 박찬식(2000), "Value Engineering vs. Constructability," 한국건설관리학회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건설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9-42 

  7. 오정욱, 송규열, 안용선(2002), "건설사업 제 단계에서 시공성 개념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2호, pp. 157-164 

  8. 이강(2006), "건축물 수명주기 관리를 위한 핵심기술들,"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5-149 

  9. 이진희, 전한종(2007),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6권, 제65호, pp.19-27 

  10. 이현수, 이광표, 박문서, 감현수, 이사범(2009),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l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6호, pp.135-145 

  11. 최철호(2008), "미래 건설기술로서의 BIM과 단계별 적용 전략," 한국건설관리학회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9권, 제7호, pp. 9-14 

  12. 한경훈, 김문규, 박찬식(2004), "아파트 프로젝트의 시공성 실무적용방안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1호, pp. 539-542 

  13. 한주연, 차희성, 이동건(2009), "BIM 적용을 통한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 표준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3호, pp. 53-61 

  14. 함남혁, 문혁, 이윤선, 김주형, 이순정, 김재준(2008), "BIM을 활용한 건축기획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7호, pp. 39-46 

  15. Anderson, S. D., Fisher, D. J., Rahman, S. P.(2000), 'Integrating Constructability into Project Development a Process Approach,"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6, No. 2, pp. 81-88 

  16. Arditi, D., Elhassan, A., Toklu, Y. C.(2002), "Constructability Analysis in Design Firm,"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8, No. 2, pp. 117-126 

  17. Construction Management Committe of the ASCE Construction Division(1991), "Constructability and Constructability Programs : White Pater,"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7, No. 1 pp. 67-89 

  18.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Liston, K.(2007), "BIM Handbook," John Weiley & Sons, Inc, pp. 319-465 

  19. Fisher, D. J., Anderson, S. D., Rahman, S. P.(2000), "Integrated Constructability Tools into Constructability Review Proces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6, No. 2, pp. 89-96 

  20. Jergeas, G., Van der Put, J.(2001), "Benefits of Constructabihty o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7, No. 4, pp. 281-290 

  21. Lam, P. T. I., Chan, A. P. C., Wong, F. K. W., Wong, F. W. H.(2007), "Constructability Rankings of Construction Systems Based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Architecture Engineering, ASCE, Vol. 13, No. 1, pp. 36-43 

  22. Russell, J. S., Gugel, J. G.. Radtke, M. W.(1994),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Constructability Approach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0, No.1, pp. 180-195 

  23. Kymmell, W.(2008),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cGrawHill Construction, pp. 25-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