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M과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는 건설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유사하기 때문에 BIM은 CM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CM 분야에서 BIM 도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공단계의 CM 업무에 BIM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업무절차 모델 및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BIM 기능을 BIM 전환설계, 모델 검토, 데이터 추출, 자동 견적, 4D 시뮬레이션, 도면 생성, 엔지니어링 분야 연계분석 등으로 정의하고, CM 업무와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BIM의 적용이 가능한 CM 업무를 도출하였다. BIM 기능과 CM 업무 간 연관성 분석을 통해 기존의 업무절차를 BIM 기능과 연계하여 재구성하고, 사업 참여자별 역할을 재정립하여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고자 면담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해 사업 참여자들의 BIM 업무를 기술한 가이드를 작성하였다. 또한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선행연구의 BIM 프로세스와 비교 분석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CM 분야에서 BIM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향후에는 사례적용을 통해 실무적 관점에서 모델을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BIM 도입으로 인한 CM 업무의 확대를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M can be utilized variously in construction management(CM) in the respect that it helps to manage comprehensively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ke reliable decisions, but the adoption of BIM is insufficient in the CM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ork process models and thei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IM Project Execution Planning Guide는 건설사업의 초기단계에 BIM 전략과 수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가이드는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 여러 전문분야들이 BIM을 활용할 수 있도록 BIM 데이터를 구축하고 문서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 국토해양부의 가이드는 개방형 BIM을 도입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 BIM 표준의 일관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공통적 요건을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가이드는 공공 또는 민간기관들이 고유의 목적과 환경여건에 따라 BIM 실무기준을 제작할 수 있도록 BIM 업무가이드, BIM 기술가이드, BIM 관리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으나, 다른 가이드에 비해 데이터 작성기준, 산출물 제출 및 평가기준 등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 이 연구는 BIM의 적용 가능성이 확인된 14개의 CM 업무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나, 지면상 제약으로 모든 연구 개발과정을 기술하지 못하였다. 논문은 연구 수행과정을 가장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일정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 이 연구는 BIM의 적용대상과 효과가 불분명한 CM 분야를 대상으로 BIM이 적용 가능한 업무를 도출하고, 업무절차 모델을 통해 BIM의 적용절차와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설계단계에서 개발한 BIM 모델을 시공단계의 CM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업무절차 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아직까지 CM 분야에서 BIM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건설사업관리자가 BI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시공단계의 CM 업무에 BIM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 연구에서는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0월 2일부터 동년 동월 19일까지 BIM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설계자 2명, 시공자 5명, 건설사업관리자 8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델별 가이드를 작성하였다. 아직까지 시공단계의 BIM 적용지침이 구체적으로 작성된 사례가 없어 실무자의 요구사항과 가이드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현장 사례조사 및 실무자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는 기존 BIM 프로세스에 비해 BIM의 활용성을 높이고 참여자 간 협업을 구축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공정만회계획 수립 및 이행, VE대안 분석, 설계변경 검토 및 관리 등 다양한 CM업무를 대상으로 BIM기반 업무절차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기존프로세스에서 제시한 BIM의 적용범위를 모두 수용할 뿐만 아니라 적용대상도 보다 구체화시켰다고 판단된다.
  • BIM은 건설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발주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CM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나, CM 분야에서 BIM의 도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의 CM 업무에 BIM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업무절차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BIM은 파라메트릭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정보호환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의 CM 업무절차와 연계할 수 있는 BIM 기능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BIM 기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CM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CM 분야에서 BIM 도입은 미흡한 이유는 무엇인가? BIM과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는 건설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유사하기 때문에 BIM은 CM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CM 분야에서 BIM 도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공단계의 CM 업무에 BIM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업무절차 모델 및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BIM이 건설 산업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됨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생겼는가? BIM이 건설 산업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조달청에서 발주하는 500억 원 이상 공공공사에 BIM의 적용을 의무화하였으며, 2016년부터는 모든 조달청 발주공사에 확대∙적용될 예정이다.
건설사업관리는 BIM 발주사업을 통제 및 관리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의 CM 업무절차서는 BIM 도입으로 달라진 업무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CM은 BIM 발주사업을 통제 및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아직까지 CM 분야에서 BIM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있으며, 건설사업관리자가 BI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가상 건설시스템개발 연구단 (2010). "BIM적용 설계 가이드라인.", 2판, (2011. 6. 30). 

  2. 강인석.문현석.박서영 (2008). "건설공사 진행단계별 4D CAD시스템의 적용방법론 및 프로세스 모델 구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4호 제7호, pp.127-134. 

  3. 국토해양부 (2010).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 1판, 국토해양부, 과천 

  4. 김선영.민창훈.김현승.김창학.강인석(2011)." BIM기술분석을 통한 시공단계 BIM 기능운영모델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김영호.정도영 (2009).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시공단계 BIM 적용 사례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 박정준.김창윤.김형관 (2008). "3D/4D CAD를 통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유용분야 도출."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 박찬식.박희택 (2010)." 시공성 분석업무 개선을 위한 BIM 기술의 적용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1권 제2호, pp.137-146. 

  8. 서울시립대학교 (2003)." CM 형태별 활성화 방안 및 업무절차서 개발 연구보고서.", 1판 (2012. 10.29). 

  9. 서희창.김주형.김재준 (2010).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공단계 에서의 BIM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 이승일.권남하.조영상 (2010). "BIM기반 골조공사의 시공성 분석 업무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 10호 제5호, pp.45-54. 

  11. 이치주.이강.원종성.윤성찬 (2011). "CM 업무에서 BIM 도입 우선항목 도출: 초고층 공사의 CM 업무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7권 제6호, pp.115-122. 

  12. 전승호.이준서.이주호 (2011). "초고층 건축물 시공단계에서의 BIM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 정재국.김예상 (2012)." BIM 매니저 핵심역량 중요도 분석 ­ 대형 종합건설업체의 관점에서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pp.175-182. 

  14. 정준호.진상윤(2011)." BIM 기반의 시공단계 견적데이터를 활용한 일일 진도관리모델 구축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5호, pp.23-34. 

  15. 전영웅.이명식 (2010).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10권 1호, pp.127-135. 

  16. 조달청(2012)." 시설사업BIM적용기본지침서.", (2012.10.26.). 

  17. 한국기술사회(2003). 건설사업관리(CM) 지식체계, 1판, 기문당, 서울 

  18. HU Zhenzhong, ZHANG Jianping and DENG Ziyin (2008). "Construction Process Simulation and Safety Analysi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 and 4D Technology.", Tsinghua science and technology, 13(S1), pp.266-272. 

  19. Louise Sabol (2007). "Challenges in Cost Estimating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Design+Construction Strategies 36(3). 

  20.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2011), "BIM Project Execution Planning Guide". , Version 2.1, USA, (2012. 11. 5). 

  21. Vladimir Popov, Virgaudas Juocevicius, Darius Migilinskas, Leonas Ustinovichius and Saulius Mikalauskas (2010). "The use of a virtual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odel for developing an effective project concept in 5D environment". , Automation in Construction 19, pp.357-367. 

  22. Ning Gu and Keey London (2010). "Understanding and facilitating BIM adoption in the AEC industry.", Automation in Construction 19, pp.988-999. 

  23. Ting Huang, C.W. Kong, H.L. Guo, Andrew Baldwin and Heng Li (2007). "A virtual prototyping system for simulating construction proces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6, pp.576-585. 

  24. Timo Hartmann, Hendrik van Meerveld, Niels Vossebeld and Arjen Adriaanse (2012). "Align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 tool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2, pp.605-6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