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3C NMR 분석 및 지방산 분석을 통한 어유의 종류 구분 및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ish Oil Types and Its Usage by 13C-NMR Spectra and Fatty Acids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352 - 357  

조은아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임성준 (서울세관 분석실) ,  오태헌 (서울세관 분석실) ,  안현주 (서울세관 분석실) ,  육수진 (서울세관 분석실) ,  최진욱 (중앙관세분석소) ,  차윤환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영상 (서울세관 분석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hich distinguishes the types of omega-3 health functional foods, fish oils and fish oil usages through $^{13}C$-NMR spectra and fatty acids contents analysis. The major fatty acids of omega-3, eicosapentaenoic acid (EPA, $C_{20: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입체특이성 분포는 sn-1, sn-2 또는 sn-3에서 지방산의 조성을, 위치 특이성 분포는 sn-1,3과 sn-2의 조성을 알 수 있다(Chamila 등 2012; Gunstone FD 1991).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NMR)의 분석은 글리세롤과 지방산이 결합한 트리아실글리세롤의 구조에 있어 어유의 종류에 따라 지방산이 붙는 위치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TG 유형 제품에서 에틸에스테르화 반응을 이용한 re-esterified TG(rTG) 제품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지방산 조성 중 EPA와 DHA의 비율이 제품에 표기되어 있는 어유 종류의 일반적인 함량비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에 착안하여 각 제품에 표기된 어유와 동일한 표준시료의 비교를 통해 제품에 함유된 EPA와 DHA의 함량 및 원료의 적절한 사용 여부를 지방산 분석법과 13C-NMR 구조 분석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 (DHA) 등이며, 이 중 EPA와 DHA가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유에 존재하는 지방산 중 EPA와 DHA의 함량 만을 비교하여 분석하기로 하였다. 표준시료로 사용한 연어유, 정어리유, 멸치유, 및 정제어유(Fig.
  • 어류에서 추출한 오메가-3 건강기능식품을 대상으로 13C-NMR 분석 및 지방산 분석 등을 통해 어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실제 사용된 어유의 종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오메가-3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20개 어유 제품을 대상으로 ecosapentaenoic acid(EPA, C20:5)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10개의 ethyl ester(EE) 유형 제품과 10개의 triglyceride(TG) 유형 제품으로 나눌 수 있었고, TG 유형 제품의 EPA는 약 18~19%이며, DHA는 11~13% 범위였다.
  • 분석 대상 샘플로는 수입 전 각 나라에서 캡슐로 가공되었거나 한국에서 oil로 수입되어 가공된 오메가-3 건강기능식품 제품 20종을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오메가-3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어유의 어종은 연어유가 대략 75%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20종의 제품은 모두 연어유 제품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지방산의 함량 및 구조를 표준시료의 것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메가-3 지방산은 무엇인가? 어유 중에 풍부하게 포함된 EPA(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나 DHA(cis-4,7,10,13,15,19-docosahexaenoic acid)와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은 고도불포화지방산(high unsaturated fatty acid, HUFA)이며, 포유동물의 뇌 및 망막의 인지질 구성에 중요한 지방산이다. EPA와 DHA는 음식 유래의 α-리놀레산(α-linoleic acid, C18:2)에서 6,9,12,15-octadecatetraenoic acid가 형성되고, 2번의 2탄소 단위의 연장과 2회의 카르복실말단측으로의 불포화반응이 쌓여 형성될 수 있다.
EPA와 DHA의 원료는 어떤 과정으로 제조되는가? EPA와 DHA의 원료로 오메가-3 제품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 연어유(약 75%)이며, 이외에도 정어리유, 멸치유, 참치유, 물범유 등 다양한 식용어유가 사용되고 있다. 식용어유를 가열하고 압착하며, 핵산이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하고, 탈검이나 탈산 후 탈색과 탈취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있다(Lee 등 2011). 제품으로 만들어진 오메가-3의 지방을 분석해 보면 triglyceride(TG)외에 ethyl ester(EE)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Cho 등 2012).
EPA와 DHA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EPA와 DHA는 음식 유래의 α-리놀레산(α-linoleic acid, C18:2)에서 6,9,12,15-octadecatetraenoic acid가 형성되고, 2번의 2탄소 단위의 연장과 2회의 카르복실말단측으로의 불포화반응이 쌓여 형성될 수 있다. EPA와 DHA는 식사로 섭취 시 혈청 콜레스테롤, 트리아실글리세롤 합성을 저하하며, 막의 인지질에 이입되어 아라키돈산 유래의 prostanoid, 특히 혈전을 형성하는 thromboxane A2(TxA2)의 합성을 억제한다(Satoshi 등 2000: Caterina & Svei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ckman RG. 1992. The absorption of fish oils and concentrates. Chem Mater Sci 27:858-862 

  2.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9.098-9.10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p.158 

  3. Caterina S, Svein AM. 2012. Trans isomers of EPA and DHA in omega-3 products on the European market. Lipids 47:659-667 

  4. Chamila J, Naohiro G, Shun W. 2012. Regiospecific analysis of shark liver triacylglycerols. J Am Oil Chem Soc 89:1873-1884 

  5. Cho EA, Lee YS, Cha YH. 2012. A study of salmon oil type analysis by FT-IR and carbon isotopes ratio. Kor J Food Nutr 25:968-974 

  6. Derya K, Mia F, Sandra G, Xuebing X. 2010. Upgrading of farmed salmon oil through lipase-catalyzed hydrolysis. Open Biotechnol J 4:47-55 

  7. Erick RS, Paul FM, Alfered JR, Ian WB, Jhon AW, Jaroslav AK. 2010. 13C-NMR regioisomeric analysis of EPA and DHA in fish oil derived triacylglycerol concentrates. J Am Oil Chem Soc 87:1425-1433 

  8. Gunstone FD. 1991. High resolution NMR studies of fish oil. Chem Phys Lipids 59:83-89 

  9. Inger BS, David EA, Marit A. 2009. Differentiation of fish oils according to species by 13C-NMR regiospecific analysis of triacyglycerols. J Am Oil Chem Soc 86:401-407 

  10. Jiankang W, Erick RS, Jaroslay K, Fereidoon S. 2010. Effect of Chemical randomization on positional distribution and stability of omega-3 oil triacylglycerol. J Agric Food Chem 58:8842-8847 

  11. Lee SJ, Ha WH, Choi HJ, Cho SY. 2010. Molecular species composition of phosphatidylcholine isolated from chum salmon meat oil. Fish Aqua Sci 13:206-209 

  12. Lee SM, Yun JH, Chun BS. 2011.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ve properties of anchovy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lean Tech 17:266-272 

  13. Murat K, Semra K, Sinem A, Ozge O, Timurhan C, Esin S, Semsettin C. 2003. Comparison of ${\omega}$ -3 fatty acids by GC-MS in frequently consumed fish and fish oil preparations on the turkish market. FABAD J Pharm Sci 28:201-205 

  14. Navaede S, Julia S, Christopher JLS, Harold T, Richard AI, Martin G. 2003. Multicomponent analysis of encapsulated marine oil supplements using high-resolution 1H and 13C NMR techniques. J lipid Research 44:2406-2427 

  15. Satoshi A, Tatsunori M, Kazuyuki K, Takashi S. 2000. Involvement of lipoxygenase pathway in docosapentaenoic acid-induced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Biol Pharm Bull 23:1293-1297 

  16. Trondheim 2009. Use of NMR spectroscopy in combination with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s for elucidation of origin and adulteration of foodstuffs. Norwegian University.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TN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