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검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비지 젤화물의 물리적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elling Product prepared from Soybean Curd Residue with Addition of Gum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428 - 437  

이석원 (유한대학교 식품영양과) ,  한성희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jellified soybean curd residue (Biji)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gums were investigated to optimize the direct availability of a by-product of the tofu production process. The lightness (L value) of the jellified Biji prepared with various gums was approximately 77~80,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비지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식이섬유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어,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개발할 경우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부 또는 두유를 제조하고, 부산물로 얻어지는 비지의 산업적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검류를 첨가하여 두부와 유사한 건강 기능성 구조물을 제조하여 이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품산업부산물로 부가가치가 낮은 비지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며, 또한 응고물 형성이 어려운 불용성 고형분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다양한 검류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두부 또는 두유를 제조하고, 부산물로 얻어지는 비지의 산업적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검류를 첨가하여 두부와 유사한 건강 기능성 구조물을 제조하여 이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품산업부산물로 부가가치가 낮은 비지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며, 또한 응고물 형성이 어려운 불용성 고형분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다양한 검류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지란 무엇인가? 식물성 단백질 및 지방질의 주요한 공급원인 대두는 예로 부터 다양한 용도로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용되고 있으나, 수입된 대두의 약 30%만이 식품으로 직접 이용되고, 나머지 70%는 식용유, 두부 및 두유 등의 2차 가공품 생산에 활용되고 있다(Woo 등 2001). 대두의 가공공정 중 생산되는 부산물인 비지는 수분 함량이 80% 이상 되므로 미생물이 쉽게 번식하고, 지방의 산패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일부만이 대두유 생산에 재활용될 뿐만 아니라, 이를 단순 건조하는 데에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일부만이 동물사료로 사용되거나 폐기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제기되었다(Kang & Lee 1991).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두부의 제조 공정상 열처리시 응고되지 않는 대두의 수용성 단백질만을 추출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열응고성 단백질, 다른 수용성 성분, 상대적으로 함량이 많은 식이섬유소 및 불용성 단백질의 손실이 많아,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제품으로 대두의 미세분말을 사용하여 비지 제거 과정 및 장시간의 침지과정이 생략된 전두부가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기도 한다(Lee 등 2009).
수분함량이 높은 비지의 문제점은? 식물성 단백질 및 지방질의 주요한 공급원인 대두는 예로 부터 다양한 용도로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용되고 있으나, 수입된 대두의 약 30%만이 식품으로 직접 이용되고, 나머지 70%는 식용유, 두부 및 두유 등의 2차 가공품 생산에 활용되고 있다(Woo 등 2001). 대두의 가공공정 중 생산되는 부산물인 비지는 수분 함량이 80% 이상 되므로 미생물이 쉽게 번식하고, 지방의 산패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일부만이 대두유 생산에 재활용될 뿐만 아니라, 이를 단순 건조하는 데에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일부만이 동물사료로 사용되거나 폐기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제기되었다(Kang & Lee 1991).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두부의 제조 공정상 열처리시 응고되지 않는 대두의 수용성 단백질만을 추출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열응고성 단백질, 다른 수용성 성분, 상대적으로 함량이 많은 식이섬유소 및 불용성 단백질의 손실이 많아,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제품으로 대두의 미세분말을 사용하여 비지 제거 과정 및 장시간의 침지과정이 생략된 전두부가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기도 한다(Lee 등 2009).
비지 젤화물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판 중 두부 제품의 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비지의 수분 함량보다 낮은 값을 보이는 것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5%로 조사 되어 두부 부산물인 비지의 수분 함량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값은 비지에 검류를 용해시킨 검류액을 첨가하여 제조하려고 하는 비지 젤화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낮은 값을 갖게 되어, 두부와 유사한 조성의 젤화물을 직접적으로 제조하기가 불가능한 점을 시사한다. 즉, 비지를 건조하여 수분 함량을 낮춘 후 검류의 배합비를 통해 두부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젤화물 제조가 가능할 수 있으나, 별도의 비지 건조 공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시판 중인 두부의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측정조건에서 max weight(최대하중)은 36 g 으로 나타났으며, 단위면적당 강도(strength)는 1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Choi YS, Lee SY. 1993.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soybean products (curd or curd residue)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673-677 

  3. Chun KH, Kim BY, Hahm YT. 1998. Production of retort food using soybean curd residu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327-1332 

  4. Chung SS, Chang HN, Park MY. 1978. Dehydration of soybean residue by hot-air in conjunction with filter pr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0:1-7 

  5. Han GH, Kim BY, Lee JK. 2002. Production of extrudates formulated from pacific sand lance sauce by-product and dried Bi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86-193 

  6. Im SK, Yoo SM, Kim TY, Chun H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ijijang in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48-455 

  7. Jing Y, Chi YJ. 2013. Effects of twin-screw extrusion on soluble dietary fib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residue. Food Chem 138:884-889 

  8.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087-1092 

  9. Kim HJ, Kim BY, Kim MH. 1992. Rheological studies of the tofu upon the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24-328 

  10. Kim JH, Lee YT.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curd products containing small black soyb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431-1435 

  11. Kim WJ, Kim DH, Oh HI. 1984. Effect of solvents washing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dried soymilk residue. Korean J Food Sci Technol 16:261-266 

  12. Lee SI, Lee YK, Kim SD, Lee IA, Choi JK, Suh JW. 2013.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iji) on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tion-related enzymes activity of mice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42:1043-1053 

  13. Lee WJ, Choi MR, Sosulski FW. 1992. Separation of tofu-residue (biji) into dietary fiber and protein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97-100 

  14. Lee YR, Chung HS, Seong JH, Moon KD.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stringent persimm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329-333 

  15. Lee, HF, Shin HC, Lee YS, Kim JY, Moon YH, Park KH, Moon JH. 2009.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and whole soybean curd. Korean J Food Sci Technol 41:117-121 

  16. Oh SM, Kim CS, Lee SP.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Bacillus sp. J Korean Soc Food Nutr 35:115-120 

  17. Oh SM, Seo JH, Lee SP. 2005.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and peptides from alkaline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firmus NA-1. J Korean Soc Food Nutr 34:904-909 

  18. Shi M, Yang Y, Guan D, Zhang Y, Zhang Z. 2012. Bio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Flammulina velutipes. Carbohydrate Polymers 89:1268-1276 

  19. Shi M, Yang Y, Wang Q, Zhang Y, Wang Y, Zhang Z. 2012. Production of total polyphenol from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Lentinus edodes. Int J Food Sci Technol 47: 1215-1221 

  20. Shin DH, Lee YW. 2002. Quality attributes of bread with soybean milk residue-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Nutr 15:314-320 

  21. Whistler RL, BeMiller JN. 1997. Carbohydrate Chemistry for Food Scientists. pp. 171-177.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22. Woo EY, Kim MJ, Shin WS, Lee KA, Kim KS. 2001.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zate, that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from Oka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3:769-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