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이물에 대한 소비자 인지와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n Foreign Matters in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470 - 475  

양성범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  양승룡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urchase behaviors on foreign matters in food. For that, we conducted a survey of 348 adults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Concern over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s in food was a lower than that for other harmful factors such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다양한 식품위해요인들 중에서 식품 이물과 관련한 소비자 인식 또는 구매 행동 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이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주요 식품 이물 사고를 전후로 한 소비자의 구매 행동 변화와 식품 이물 발생시 소비자 행동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보다 소비자 중심적인 식품 이물 관리의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들의 식품 위해 요인에 관한 불안감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다양한 식품 위해 요인 중에 중금속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광우병, 유해미생물, 환경호르몬, 항생물질, 잔류농약의 순이었다. 이에 반해 식품 이물에 대한 불안감은 흡연이나 식품첨가물과 비슷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식품 이물질 의무보고제는 무엇을 규정하고 있는가?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팽배하게 되었고, 빈번한 식품 이물 사고를 줄이기 위해 정부는 식품업체가 접수한 모든 이물질 관련 소비자 불만 사건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식품 이물질 의무보고제”를 도입하여 2010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보고 대상 이물의 범위와 조사·절차 등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 2010-1호).
식품 이물 사고 발생한 과자는 소비자의 70% 이상이 해당 제품, 유사제품까지도 소비하지 않은 것에 비해, 참치 캔의 경우 사고 후에도 54%의 소비자가 계속 소비했다는 결과는 무엇 때문인가? 이에 반해 참치 캔의 경우, 식품 이물 사고 후 전체 응답자의 약 54%가 이물 사고에 관계없이 계속 소비하였다고 하였다. 이는 발견된 이물(생쥐머리와 칼날)에 대한 소비자의 충격 정도가 다르며, 해당 제품의 대체 및 경쟁제품의 존재 유무 때문이라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e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6-74 

  2. Chae OR, Ko EK, Bahk GJ. 2010. The change of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by food safety incidents. J Fd Hyg Safety 25:180-184 

  3. Choi BB. 2009. Studies on the food safety-related information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2:612-617 

  4. Choi BB. 2011. Studies on the food safety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ass-media impact. Korean J Food & Nutr 24:166-172 

  5. Han WK,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23-34 

  6. Han YS. 1995.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ousewives about safety of food additiv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7. Johnson FR. 1988. Economics cost of misinforming about risk: The EDB scare and the media. Risk Analysis 8:261-269 

  8. Kim HC, Kim MR. 2002. An analysis on the factors to distinguish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J Korean Home Econ Assoc 40:83-91 

  9. Kim HC, Kim MR. 2005. Consumer attitudes towards food addit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126-135 

  10. Kim HS, Park SC. 2002. The Korean youths' understanding of irradiated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7:141-152 

  11. Lee GB. 1996. Women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food safety and the factors related to safety concern. Graduate School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12. Lee JY, Kim KD.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Perserv 16:999-1007 

  13. Lee WY. 1997. A study on consumers' behavior relative to food's safety. Graduate School of Consumer Economic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4. Nam HJ, Kim YS. 2006. A survey on perceived food safety in urban residents. Korean J Food & Nutr 19:126-142 

  15. Song BH. 1992.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its countermeasures for safety. J Food Hyg Safety 7:21-32 

  16. Wilcock A, Pun M, Khanona J, Aung M. 2004. Consumer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ur. Trends Food Sci & Technol 15:56-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