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History Contents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0 no.3 = no.89, 2013년, pp.297 - 315  

윤소영 (국사편찬위원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역사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우리 역사에 쉽게 접근하여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역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구축을 통해 정보의 공유 및 재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링크드 데이터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문연구자 중심의 원문 DB구축에서 탈피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 콘텐츠 구축은 여러 기관, 포털, 그리고 일부 개인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으나 정보 공유 및 활용성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적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공유 및 연결을 통한 정보유통 체계를 확보하여 웹상의 다양한 데이터와의 연결로 풍부한 정보제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yone curious to easily access and learn Korean history has become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data bases, which will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historical information. Furthermore, user demand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reusability, available through setting up a semantic web, have been incr...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김수영 (2012). 모바일 웹 서비스에 기반한 문화 콘텐츠의 활용. 정보관리학회지, 29(3), 31-59.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031(Kim, Su-Young (2012).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e contents based on mobile web service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3), 31-59.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031) 

  2. 김평, 김태홍, 정한민, 성원경 (2011). Linked data와의 연계를 위한 URI 관리서비스. 2011년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3-84.(Kim, Pyung, Kim, Taehong, Jung, Hanmin, & Sung, Won-Kyung (2011). URI management service for connectiong to linked data. Proceedings of the 2011 Summe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83-84.) 

  3. 김평, 이승우, 서동민, 정한민, 성원경 (2010). Linked data 연계를 위한 SKOS 기반 용어 온톨로지 모델링. 한국콘텐츠학회 2010 춘계종합학술대회, 456-458.(Kim, Pyung, Lee, Seungwoo, Seo, Dongmin, Jung, Hanmin, & Sung, Won-Kyung (2010). Term ontology modeling for linked data using SKOS. Proceedings of the 2010 Spring Conference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456-458.) 

  4. 노동조, 조철현 (2011). 도서관 3.0 기반 서비스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4), 263-278.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4.263(Noh, Dong-Jo, & Cho, Chul-Hyun (2011). A study of the awareness focusing on the library 3.0 for the academic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263-278.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4.263) 

  5. 노영희 (2010).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283-307.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4.283(Noh, Young-Hee (2010). A study on library 3.0 concept and its servi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283-307.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4.283) 

  6. 노영희 (2012). dCollection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247-271.(Noh, Young-Hee (2012). A study on configuring dCollection as the linked dat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247-271.) 

  7. 류한조, 김익한 (2009).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건축 문화재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317-342.(Ryu, Han-Jo, & Kim, Ik-Han (2009). A study of the developing model of record content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y recor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1), 317-342.) 

  8. 박경환 (2008). 기록유산을 활용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조선시대 使行文化 콘텐츠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 313-341. (Park, Kyung-Hwan (2008).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appling record heritage. Journal of Korean Studies, 2, 313-341.) 

  9. 박옥남 (2012).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5-25.(Park, Ok Nam (2012).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linked data from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5-25.) 

  10. 박지영 (2012). 링크드 데이터 방식을 통한 서지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1), 231-251.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1.231(Park, Zi-Young (2012). Extend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linked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1), 231-251.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1.231) 

  11.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17-342.(Seol, Moon-Won (2012). Directions of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for documenting localit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317-342.) 

  12. 오삼균, 김성훈, 장원홍 (2011). 도서관 링크데이터(library linked data) 현황분석과 통합 LLD 설계 및 확산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31-351.(Oh, Sam Gyun, Kim, Seonghun, & Jang, Wonhong (2011). Analyzing current state of library linked data, designing an integrated LLD, and thoughts on ways to expand LLD.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31-351.) 

  13. 유영준 (2012). SKOS를 이용한 신학 시소러스의 온톨로지로의 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43-163.(Yoo, Yeong-Jun (2012). A study on converting the theological thesaurus to the ontology by using SKO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143-163.) 

  14. 윤소영 (2013).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259-28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259(Yoon, So-Young (2013). A study on national linking system implementation based on linked data for publ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259-28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259) 

  15. 이은영 (2011).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절차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9, 129-173.(Lee, Eun-Yung (2011). A study on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9, 129-173.) 

  16. 정효숙, 김희진, 박성빈 (2011). 일반인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생성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47-59.(Jung, Hyosook, Kim, Heejin, & Park, Seongbin (2011). Development of a linked data creation system for ordinary people and appli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2), 47-59.) 

  17. 조명대 (2010).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181-198.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1.181(Cho, Myungdae (2010). A study on applications for linked data in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181-198.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1.181) 

  18. 현문수, 김동철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6, 195-231.(Hyun, Moonsoo, & Kim, Dong-Chul (2013).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local historical character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6, 195-231.) 

  19. 홍일영 (2012). 지리정보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12(1), 141-150.(Hong, Ilyoung (2012). A study on developing linked data application for geographic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2(1), 141-150.) 

  20. Berners-Lee, T. (2006). Linked data: Design issues. Retrieved from http://www.w3.org/DesignIssues/LinkedData.html 

  21. Berners-Lee, T. (2009). Presentation on linked data in TED conference. Retrieved from http://www.ted.com/talks/tim_berners_lee_on_the_next_web.html 

  22. Heath, T., & Bizer, C. (2011) Linked data: Evolving the web into a global data space. Morgan & Claypool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linkeddatabook.com/editions/1.0/ 

  23.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http://id.loc.gov/authorities 

  24. National Library of Sweden. http://www.kb.se/englis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