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재래마와 더러브렛종과의 교잡종인 한라마 사골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on Effect of Leg Bone Extracts and Enzyme Hydrolysates from Jeju Crossbred Horses (Jeju Native Horse×Thoroughbred)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9 = no.161, 2013년, pp.1147 - 1154  

김동욱 (강원대학교 동물식품응용과학과) ,  박재인 (강원대학교 동물식품응용과학과) ,  채현석 (국립축산과학원)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  장애라 (강원대학교 동물식품응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 재래마와 더러브렛(Thoroughbred)종 교잡종인 제주산 마(한라마) 사골 추출분말(HLBE)과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효과를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ORAC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말 사골 추출물은 열수로 8시간씩 3회 추출하여 혼합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이용하였다. 동결 건조된 말 사골 추출물은 식품효소인 multifect PR 6L (MP), pepsin (PS), pepsin+ pancreatin 혼합효소(1:1, PSPC)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각 효소의 최적활성 온도인 60, 50, $50^{\circ}C$에서 분해하였다. 분해 후 3 kDa 이상의 분획과 이하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말 사골추출물의 수율을 100%으로 고정하였을 때 각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분리한 3 kDa 이상의 크기의 분획의 수율은 각각 10.86%, 3.26%, 8.00%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말 사골 추출물보다 3 kDa 이하의 저분자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MP와 PSPC처리군의 3 kDa 이하의 저분자 분획은 말 사골추출물과 3 kDa 이상의 효소분해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ORAC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S처리군 내 3 kDa 이하의 저분자 분획은 MP처리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RAP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 사골 추출물 자체 보다는 효소를 이용하여 분리한 3k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가 더욱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히 pepsin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펩타이드 보다는 multifect와 pepsin+pancreatin 혼합효소(1:1)에 의해 생성된 분해물이 더욱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말 사골추출물을 multifect와 pepsin+pancreatin 혼합효소(1:1)를 이용하여 효소 분해하여 얻은 3 k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 분획은 항산화제로서 식품산업계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in vivo 테스트가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on activity of Jeju crossbred horse (Jeju native horse ${\times}$ thoroughbred) leg bone extracts (HLBE) and its enzyme hydrolysates by determination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 thiazoline-6-sulf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0으로 나타나 처리효소와 조건에 따라 단백질 분해 및 3 k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 분획의 수율이 달라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multifect PR 6L 효소처리가 가장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산 마(한라마) 사골 추출물과 분자크기에 따른 효소 분해물의 단백질함량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 이렇듯 말뼈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골다공증, 뼈 성장 등에 관한 것이고 말뼈추출물과 저분자의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기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되는 제주산 마(한라마) 사골 열수 추출물을 식품 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화하였고 저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가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은? 최근 식생활 패턴의 변화, 영양상태의 개선 및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식품을 이용하여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항산화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면서 건강을 관리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인체 내에서 제거되지 못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며[1], 세포막 분해, DNA 합성 억제, 단백질 분해, 지방산화 등 생체 내에서 심각한 생리적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에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섭취 시 안전하면서도 흡수가 잘되고 합성 약물이 갖는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 저분자 항산화 펩타이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7].
본 실험에서 제주산 마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하였는가? 단백질 농도는 Kim 등[12]이 제시한 대로 bovine serum albumin (BSA)를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고, bicinchoninic acid (BCA) 단백질 분석 kit (Sigma Chemical C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말은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어떻게 이용되었는가? 말은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승용(乘用), 태용(駄用), 만용(輓用), 식용(食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일부 유럽국가와 일본에서 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22]. 민간요법에 의하면 말은 주로 기억력 감퇴, 건망증, 치매, 신경통, 관절염, 골다공증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서 말고기, 말뼈 분말, 엑기스, 환등의 제품으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제주마육 사양 및 생산[18], 말고기의 영양 및 식육가치[16, 28], 유전특성[15], 번식에 관한 연구[6]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s, B. N. 1983.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 1256-1264. 

  2. Ames, B. N., Shigenaga, M. K. and Hagen, T. 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3. Aoshima, H., Tsunoue, H., Koda, H. and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4. Benzie, I. F. and Strain, J. 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5.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6. Chang, D. J., Yang, K. C., Kim, J. K., Kang, B. K., Choi, H. S. and Son, C. H. 1991. Studies on the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for pregnancy diagnosis in Che-ju native mare. Korean J Vet Res 31, 529-534. 

  7. Gillespie, K. M., Chae, J. M. and Ainsworth, E. A. 2007. Rapid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plants. Nature Protocols 2, 867-870. 

  8. Huang, D., Ou, B. and Prior, R. 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9. Jang, A. and Lee, M. 2005.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beef hydrolysates. Meat Sci 69, 653-661. 

  10. Joseph, R. 2004. Comparing antioxidant values with the ORAC method. Altern Complement Ther 10, 167-170. 

  11. Katalinic, V., Milos, M., Modun, D., Music, I. and Boban, M. 2004.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selected wines in comparison with (+)-catechin. Food Chem 86, 593-600. 

  12. Kim, D., Chae, H. S., Kim, N. Y. and Jang, A. 2013.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donkey’s bone and skin extracts on SK-N-SH cells. J Life Sci 23, 1019-1024. 

  13. Kim, D., Park, K. M., Ha, G., Jung, J. R., Chang, O., Ham, J. S., Jeong, S. G., Park, B. Y., Song, J. and Jang, A. 2013.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activities of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Korean J Food Sci An 33, 258-267. 

  14. Kim, H. K., Kim, Y. E., Do, J. R., Lee, Y. C. and Lee, B. 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15. Kim, N. Y., Han, S. H., Lee, S. S, Lee, C. E., Park, N. G., Ko, M. S. and Yang, Y. H. 2011. Relationship between MC1R and ASIP genotypes and basic coat colors in Jeju horses. J Anim Sci Technol 53, 107-111. 

  16. Kim, Y. B., Jeon, K. H., Rho, J. H. and Kang, S. N. 2005. Physicochemiacl properties of loin and rump in the native horse meat from Jeju. Korean J Food Sci An 25, 365-372. 

  17. Laemmli, U. 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18. Lee, C. E., Seong, P. N., Oh, W. Y. and Kim, K. I. 2005. Effects of castration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male Jeju horses. J Anim Sci Technol Korean 47, 391-396. 

  19. Lee, S., Choi, H., Son, J., Jeong, J., Kim, Y., Kang, D., Park, S., Kang, S. and Leem, K. 2009. Effects of horse bone powder extract on longitudinal bone growth in adolescent male rats. Korean J Herbology 24, 69-77. 

  20. Li, H., Choi, Y. M., Lee, J. S., Park, J. S., Yeon, K. S. and Han, C. D.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21. Nam, H. S. 1999. Market tendency and development of physiological active peptide. Korean J Food Ind Nutr 4, 17-19. 

  22. Park, S. S., Lee, H. J., Yoon, W. J., Kang, G. J., Yang, E. J., Kim, H. S., Choo, C. S., Kang, H. K. and Yoo, E. S. 2010. Effects of horse bone extracts on the induce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41, 204-209. 

  23. Prior, R. 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and Jacob, R. 2003.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 Food Chem 51, 3273-3279. 

  24. Prior, R. L., Wu, X. and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 Food Chem 53, 4290-4302. 

  25. Que, F., Mao, L., Zhu, C. and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 111-117.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d improved ABTS radical ac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7. Sarmadi, B. H. and Ismail, A. 2010. Antioxidative peptides from food proteins: A review. Peptides 31, 1949-1956. 

  28. Seong, P. N., Lee, C. E., Park, B. Y., Hah, K. H. and Ko, M. S. 2006. Meat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longissimus muscle of Jeju horse as influenced by aging. J Anim Sci Technol Korean 48, 287-292. 

  29. Serrano, J., Goni I. and Saura-Calixto, F. 2007. Food antioxidant capacity determined by chemical methods may underestimate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capacity. Food Res Int 40, 15-21. 

  30. Yoo, K. M., Kim, D. O. and Lee, C. Y.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31. Yook, H. S., Kim, K. H. and Jang, S. A.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pomace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53-13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