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운전 도시철도차량의 운전특성을 고려한 절연구분장치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Study of Neutral Section Consider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ATO Urban Railway Vehicle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2 no.10, 2013년, pp.1470 - 1474  

이재봉 (Dept. of Electric Communication, Seoul Metro) ,  김재문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proper length of neutral section and neutral section system configuration is proposed to minimize accidents if ATO urban railway vehicle stops maintaining the leading vehicles in air section at regular intervals. When considering the minimum voltage sensing of power conversion uni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도심구간을 운행하는 도시철도차량에 대하여 전기 철도차량이 자동운전(ATO)으로 선행 전기차량과 간격조정으로 불가피하게 절연구분장치(Air Section) 구간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 사고 최소화를 위한 절연구분장치 최소 적정길이와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전차선 특성에 따른 용손되는 경우를 고찰하고 용손 방지를 위해 전기차량 운전속도와 1개 Unit당 집전장치의 간격 등을 고려한 개선된 절연구분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절연구분장치 구간에 전차선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절연구분장치인 에어셕센 구간 내에서의 용손방지를 위해 직류-직류 급전구분장치 길이를 계산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절연구분장치 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조건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차단기 차단시간은 IEC 61992-2에 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전이란 무엇인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철도의 전차선로는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매체로 고속철도, 일반철도 및 도시철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차선로는 철도시스템에만 사용되는 구조로 다양한 구조의 전차선로 방식이 있으며 철도차량 상부에 설치된 팬터그래프와 직접 접촉하여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이를 집전이라고 한다. 전기철도의 집전 성능은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 기계적 관점과 전기적 관점에서 성능을 나뉠 수 있다.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집전성능의 이상으로 각각에 끼칠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전기철도의 집전 성능은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 기계적 관점과 전기적 관점에서 성능을 나뉠 수 있다. 팬터그래프와 전차선간의 집전성능의 이상으로 인해 전차선의 마모, 온도상승, 피로파단 등 다양한 형태의 성능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팬터그래프의 경우 집전판의 마모 등이 나타날 수 있다[1].
전기 철도차량이 자동 운전으로 선행 전기차량과 간격 조정으로 불가피하게 절연구분장치(Air Section) 구간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전기 철도차량이 자동운전으로 선행 전기차량과 간격조정으로 불가피하게 절연구분장치(Air Section) 구간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절연구분장치를 구성하는 전차선 상호간에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가 접촉되면 심한 경우 전위차로 인한 전차선의 용용 절손이 발생할 수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Yang-Soo Kim et al., Electric Railway Engineering, 2004 

  2. Jae-Bong Lee, Ki-Seung Lee et al, "The Development Review of Functional Type Neutral Section Device of Catenary", 2012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society for Railway, p.404-409, 2012.10 

  3. In-Chol Kim, "The Study of Relation most Suitable between Pantograp interface and Neutral Section", The Conference of EMECS KIEE, p.325-329, 2002.11 

  4. Jae-Bong Lee, Development of Optimal Feeding Section System for Safety Driving, Seoul Metro,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