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2, 2013년, pp.101 - 119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신나나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It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약하면, 선행 관련 연구들을 기초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리고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 본 연구는 만 3-4세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롯하여,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이나 긍정적 정서성을 포함한 순한 기질과 애정적 양육행동은 부분매개를, 권위주의적인 통제와는 완전 매개한 연구(Kim & Lee, 2011)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기존의 영아나 학령기 대상의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를 유아를 대상으로 살펴보았으며, 기질의 측면을 적응성, 활동성 및 규칙성 등의 요소로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요약해 보면, 유아의 높은 규칙성 및 적응성과 낮은 활동성의 기질은 높은 양육효능감에 이어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으로, 유아의 높은 활동성과 낮은 적응성은 낮은 양육효능감에 이어 거부적인 양육행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요약하면, 선행 관련 연구들을 기초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리고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 이와 같이 유아의 기질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력을 발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기질적 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하게 한다.

가설 설정

  • 이 외에 아동의 기질과 양육행동 간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Plomin & Daniel, 1984). 이처럼 비일관적인 연구결과들은 기질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가 유아의 또 다른 특성이나 부모 관련 요인에 의해 매개 또는 중재될 수도 있음을 가정하게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elsky의 가족과정모델 발표 이후 양육 행동이 무엇에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는가?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선행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Belsky(1984)의 가족과정모델(Family Process Model)이 발표된 이후 좀 더 활발히 수행되어 왔는데, 그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특성이나 부모가 지내온 과거의 발달사, 인성, 및 현재의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또 다른 연구들도 환경적인 요인 이외에 아동의 특성이나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인지적 요인이 양육행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Barber, 1998; Lerner & Galambos, 1985; Powell, 2005).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연구에서 나타난 비일관적인 경향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러나 지금까지 발표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결과는 다소 비일관적인 경향이 있다. 아동의 유전적이고 타고난 기질적 특성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 양육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데(Belsky, 1984; Shin, 2011), 대체로 아동의 긍정적인 정서성은 반응적 양육행동과 관계가 있었고(Oh, 2006), 적극적이고 자기규제를 잘하는 기질적 특성은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반응적인 양육행동과 관련이 있었다(Sanson, Hemphill, & Smart, 2004). 반면, 부정적 정서성과 활동성과 같은 까다로운 기질은 통제적, 거부적 또는 무반응적인 양육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Lim, 1994; Hemphill & Sanson, 2000), 불안이나 두려움이 많은 기질적 특성은 과보호나 통제적 양육행동과 정적인 관련성이 있었다(Aunola & Nurmi, 2005; Olsen, Yang, Hart, Robinson, Wu, & Nelson, 2002; Rubin, Hastings, Stewart, Henderson, & Chen, 1997). 또한, 유아의 기질 중 주의 집중성은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나 애정과 관련성이 있었고, 활동성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에서 지시/통제 및 거부/적대와 관련이 있었다(Lim & Park, 2001). 이상과 같이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은 대부분 순한 기질을 가진 아동일수록 긍정적으로 양육되기 쉬우며,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아동일수록 어머니가 양육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게 하여, 부정적인 양육을 이끌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달리, 일부 연구들에 의하면, 요구가 많고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는 오히려 부모의 양육행동을 보다 기술적으로 발달시켜 부모로 하여금 더욱 반응적이고 민감한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수행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어머니들은 까다로운 영아의 울음에 대해서 더 반응적이고 보호적인 행동을 나타내었으며(Yoo & Park, 1992), 짜증을 많이 내는 까다로운 유아에게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관여하였다(Crockenberg, 1986). 이 외에 아동의 기질과 양육행동 간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Plomin & Daniel, 1984). 이처럼 비일관적인 연구결과들은 기질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가 유아의 또다른 특성이나 부모 관련 요인에 의해 매개 또는 중재될 수도 있음을 가정하게 한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어떤 행동인가? 부모는 아동이 최초로 관계를 맺는 대상이자 환경으로 아동의 인성과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이고도 보편적인 행동으로 생후 초기의 부모역할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 및 발달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인이다(Doh, Shin, Kim, Park, & Na, 2012; Rohner, Hahn, & Rohner, 1980; Wood, McLeod, Sigman, Hwang, & Chu, 2003). 특히, 부모의 온정이나 애정과 같은 양육행동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Chun, 1992), 자아존중감(Menon, Tobin, Corby, Menon, Hodges, & Perry, 2007; Park, Choi, & Park, 2000), 자아탄력성(Chung, Kim, & Ha, 2012) 및 학업성취도(Bronstein, Ginsberg, & Herrera, 2005; Kim, 2002) 등 긍정적 발달결과와 관련되고, 거부 및 통제와 같은 특성은 아동의 공격적 행동(Kim & Doh, 2001)이나 우울 및 불안(Lee & Hyun, 2008)과 같은 부정적 발달결과와 관련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bidin, P.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298-301. 

  2. Ahn, J. Y. (2001).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el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Inc. 

  5. Barber, B. K. (1998). Interparental conflict styles and youth problem behaviors : A two-sample replication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119-132. 

  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7. Belsky, J. (1984). The determination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8. Berry, W. D., & Feldman, S. (1985).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on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eries no. 07-050). Newbury Park, CA : Sage. 

  9. Bornstein, M. H. (2002). Parenting infants.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 Vol. 1. Children and parenting (2nd ed., pp. 3-43).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Bronstein, P., Ginsburg, G. S., & Herrera, I. S. (2005). Parental predictors of motivational orientation in early adolescence :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6), 559-575. 

  11. Choi, H. S. (2005). The mediational role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 The casual relations model of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6), 351-365. 

  12. Chun, H. Y. (1992). Temperament typolog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in Korea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3. Chung, K. S., Kim, M. J., & Ha, E. S.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happiness, parenting efficacy and ego-resiliency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73-97. 

  14.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 47-85. 

  15. Crockenberg, S. (1986). Are temperamental differences in babies associated with predicable differences in caregiving? In J. V. Lerner & R. M. Lerner (Ed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 Temperament and social interaction during infancy and childhood(pp. 53-73). San Francisco : Jossey Bass. 

  16. Crockenberg, S., & Acredolo, C. (1983). Infant temperament ratings : A function of infants, or mothers, or both?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61-72. 

  17.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1507-1518. 

  18. Desjardin, J. L. (2003). Assessing parental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heating loss. The Volta Review, 103(4), 391-409. 

  19. Doh, H., Shin, N., Kim, M., Park, B., & Na, J.(2012).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abuse and neg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reschoolers' social behavio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5), 107-119. 

  20. Ha, J. Y., & Seo, S. J. (2010).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development, and maternal parenting variables on parent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379-389. 

  21. Hyun, O. K. (1994).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 Guk University, Seoul, Korea. 

  22. Gibaud-Wallston, J.,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23. Gondoli, D. M., & Silverberg, S. B. (1997). Maternal emotional distress and diminished responsiveness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perspective tak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3, 861?868. 

  24. Gross, D., Fogg, L., & Turker, S. (1995) The efficacy of parent training for promoting positive parent-toddler relationship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8, 489-499. 

  25. Hemphill, S. A., & Sanson, A. (2000). Relations between toddler and preschooler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 in an Australian sample.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Development, Beijing, China. 

  26. Jung, J. O.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ocio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their temperament and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7. Kim, E. Y. (2005). The pa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dysfunctional discipline practice to child's adjustment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H. M., & Doh, H. S.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279-298. 

  29. Kim, M. J. (2003).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s and their behavior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0. Kim, M. J. (2008).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for aggressive young children : focu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paren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1. Kim, M. J. (2009). Influence of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rear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4), 281-292. 

  32. Kim, M. J., & Doh, H. S. (2001).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 149-166. 

  33. Kim, Y., & Kim, Y. (2002). The effect of children's temperament & parents' personality on parentchild inter, action. Journal of Human Ecology, 5, 123-140. 

  34. Kim, M., & Lee, K. (2011). Effects of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4), 253-271. 

  35. Kim, S. R.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other's attitudes in child rear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36. Lee, C. S., & Hyun, E. J. (2008).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temperament, soci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morality,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3), 223-238. 

  37. Lee. J.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5), 35-48. 

  38. Leerkes, E. M., & Crokenberg, S. C. (2002). The development of maternal self-efficacy and its impact on maternal behavior. Infancy, 3(2), 227-247. 

  39. Lerner, J. V., & Galambos, N. L. (1985). Maternal role satisfac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temperament : A process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21, 1157-1164. 

  40. Lim, H. S. (1994). Mother's child-rearing practices on the first-bo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1. Lim, H. S., & Pak, S. Y. (2001).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1), 37-53. 

  42. Menon, M., Tobin, D. D., Corby, B. C., Menon, M., Hodges, E. V. E., & Perry, D. G. (2007). The developmental costs of high self-esteem for antisocial children. Children Development, 78(6), 1627-1639. 

  43. Mondell, S., & Tyler, F. (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solving/play behaviour wit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7, 73-78. 

  44. Moon, H. J. (2001). A study of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ractice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205-220. 

  45. Moon, H. J. (2005). Predictors of parent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139-149. 

  46. Naughton, A., Mann, M., Tempest, V., Kemp, A. M., & Maguire, S. (2011). Can we identify the neglected/emotional abused preschool child?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6(5), 108. 

  47. Oh, H. S. (2006).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character, and mother's satisfaction and rearing behavior in Korea.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 Women, 11(2), 211-226. 

  48. Olsen, S. F., Yang, C., Hart, C. H., Robinson, C. C., Wu, P., & Nelson, D. A., (2002).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eschool children's behavioral outcomes in Chin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35-262).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9. Park, H. J., Lee, J. Y., Moon, K. J., & Kwon, J. H. (2010).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parenting attitud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1), 25-44. 

  50. Park, Y. A., Choi, H. Y., & Park, I. J. (2000). Effects of mother's personality traits on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2), 71-88. 

  51. Park, Y. Y. (1995).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52. Plomin, R., & Daniels, D. (1984). The interaction between temperament and environment :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Merrill-Palmer Quarterly, 30, 149-162. 

  53. Powell, D. R. (2005). Searches for what works in parenting intervention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343-373).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4. Putnam, S. P., Sanson, A., & Rothbart, M. K. (2002).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M. N.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Vol. 1, 2nd Ed.). Mahwah NJ. : Erlbanm. 

  55. Rohner, R. P., Hahn, B. C., & Rohner, E. C. (1980). Social class differences in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elf-evaluation among Korean-American children. Behavior Science Research, 15, 55-66. 

  56. Rubin, K. H., Hastings, P. D., Stewart, S., Henderson, H. A., & Chen, X. (1997). The consistency and concomitants of inhibition : Some of the children, all of the time. Child Development, 68, 467-483. 

  57.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 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58.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8, 413-424. 

  59. Suh, J. H., & Yi, S. H. (2009). The bio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 With a focus on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style and goodness of fit.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6), 229-242. 

  60. Shin, J. Y. (2011). Relations among child's temperamen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practices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rner-Centered Curriculum on Instruction, 15(2), 292-312. 

  61. Teti, O.,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on the first year : The mediation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62. Windle, M., & Lern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s of tempera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span :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DOTS-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 213-230. 

  63. Wood, J. J., McLeod, B. D., Sigman, M., Hwang, W-C., & Chu, B. C. (2003). Parenting and childhood anxiety : Theory, empirical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 Allied Disciplines, 44, 134-151. 

  64. Yoo, M. H., & Park, S. Y. (1992). Maternal perception and reactions to infant' crying as a function of easy-difficult infant tempera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2(2), 173-1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