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적정 완화구간 길이 산정
The Proper Length of Transition Area for Work Zones on Urban Freeway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4, 2013년, pp.58 - 66  

이미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청원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도경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도시고속도로는 교통량이 많고 주행속도가 높아 도로점용 공사 시 교통사고 위험 뿐만 아니라 차로 수 감소, 차로 변경, 가감속 등의 증가로 마찰이 증대되어 교통정체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공사구간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 하기 위해서 이동성과 안전성의 두 가지 측면을 만족하는 공사구간 적정 완화구간 길이 산정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차로수별 3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였고, 각 시나리오별로 완화구간 길이를 100-500m까지 100m 간격으로 변화시키며 적정 완화구간 길이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편도 3, 4차로 도로의 1차로 점용 공사 시 300m, 편도 2차로 도로의 1차로 점용 공사 시 200m로 나타났다. 편도 차로 수에 따라 동일한 완화구간 길이로 운영하는 것보다는 차로 수에 따라 다르게 운영하는 것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reeways such as heavy traffic and high speed, work zone on urban freeways causes the increase of not only the likelihood of crash occurrence but also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lane drop, lane change, acceleration/deceleration, and etc. This paper aims to de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공사구간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동성(Mobility)과 안전성(Safety)의 두 가지 측면을 만족하는 편도 차로수 별 적정 완화구간 길이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동성 척도는 공사구간을 통과하는 최대 통과교통량을, 안전성 척도는 완화구간에서 발생하는 상충횟수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전국의 지역 간 도로와 7대 도시 도로에서 교통지체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지체비용은 얼마인가? 도로 점용공사로 인해 발생하는 지체 및 혼잡은 사회적 비용을 유발시키는데, 2007년 전국의 지역 간 도로와 7대 도시 도로에서 교통지체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지체비용은 총 25조 8,616억원으로 GDP의 2.8%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o and Lee, 2008).
이동성과 안전성의 두 가지 측면을 만족하는 공사구간 적정 완화구간 길이 산정을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분석을 위해 차로수별 3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였고, 각 시나리오별로 완화구간 길이를 100-500m까지 100m 간격으로 변화시키며 적정 완화구간 길이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편도 3, 4차로 도로의 1차로 점용 공사 시 300m, 편도 2차로 도로의 1차로 점용 공사 시 200m로 나타났다. 편도 차로 수에 따라 동일한 완화구간 길이로 운영하는 것보다는 차로 수에 따라 다르게 운영하는 것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완화구간은 무엇인가?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에 따르면 완화구간은 진행 중인 차로를 변화시키는 구간으로 공사 중인 해당 차로 전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주행차로를 차단하고 차로를 변경하게 하는 구간이다. 도로 공사구간은 공사장 상류부로부터 하류부까지 교통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Figure 2와 같이 주의구간, 완화구간, 작업구간(완충구간 포함), 종결구간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교통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om T. G. (1994), The Traffic Stream Characteristic of Continuous Flow Lane Reduction Section (연속류 차선감소구간의 교통류 특성), Master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 Jo H. S., Lee D. M. (2008), Traffic Congestion Nationwide Cost Estimates and Trend Analysis, The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3.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1), Highway Work Zone Traffic Control Standard (고속도로 공사장 교 통관리 기준). 

  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01), Highway Capacity Manual,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5. Krammes R. A., Lopez G. O. (1994), Updated Capacity Values for Short-term Freeway Work Zone Lane Closur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1442,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49-56. 

  6. Lee S. E. (2002), The Research on the Traffic Characteristic and Safety Change Because of the City Expressway Road Occupancy Construction,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Road Work Zone Traffic Control Guiding Principle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8. Park J. N. (2007), The Method to Estimate the Length of Transition Area at the Construction Area in the Freeway, Master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9. Park T. H. (2008), A Study on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of Freeway Work Zone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7, No.1, pp.127-136. 

  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0), Highway Capacity Manual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