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규모 건축공사 중점안전관리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sive Safety Management Items of Small-Sized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5, 2013년, pp.27 - 34  

고성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송도흠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장윤라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most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are occurred by unsafe work conditions and failure making safe environment. As recent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more complex, various and diversified, So the potential of construction-related accidents is increased as well. Comparing the frequency of con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소규모 건설사업장의 특성에 적합한 관리적·기술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중점 안전관리항목을 선정하고, 중요도를 평가 분석하여 일선 현장의 안전관리활동에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공정별 위험요소에 따른 중점안전점검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미루어 보아 어떠하다고 보이는가?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관리인력 및 기술체계가 미흡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더 취약한 실정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은 안전조직의 부재, 열악한 자금사정 등에 따라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안전시설물의 설치, 개인보호구 착용 등의 기본적인 안전관리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어려운 상황에 있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은 수행되는 작업의 대부분이 시공자의 경험을 토대로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관련규정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안전의식 결여 등으로 재해예방의 사각지대에 노출되어 있는 현실이다1). 실제로 건설현장의 재해발생현황을 분석해 보면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평균 재해율 이상의 재해가 발생되고있고2), 사망재해를 비롯한 중대재해의 발생분포율도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예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을 통해 알 수 있는가?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관리인력 및 기술체계가 미흡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더 취약한 실정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은 안전조직의 부재, 열악한 자금사정 등에 따라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안전시설물의 설치, 개인보호구 착용 등의 기본적인 안전관리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어려운 상황에 있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은 수행되는 작업의 대부분이 시공자의 경험을 토대로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관련규정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안전의식 결여 등으로 재해예방의 사각지대에 노출되어 있는 현실이다1). 실제로 건설현장의 재해발생현황을 분석해 보면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평균 재해율 이상의 재해가 발생되고있고2), 사망재해를 비롯한 중대재해의 발생분포율도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에서 발표한 2010년도 재해발생현황에 따르면 건설업에서 발생된 재해 가운데 3~ 2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재해가 전체의 84%에 이르고 있으며, 사망자수 또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현장 규모 특성에 적합한 재해발생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고 적합한 중점 안전관리 항목을 선정하여 공종별안전점검항목에 따른 안전관리를 하여야 된다고 판단된다3,4).
재해발생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는 이유는? 최근 건축공사가 복합화, 다양화, 다변화됨에 따라 재해발생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관리인력 및 기술체계가 미흡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더 취약한 실정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은 안전조직의 부재, 열악한 자금사정 등에 따라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안전시설물의 설치, 개인보호구 착용 등의 기본적인 안전관리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어려운 상황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 S. Chae, D. H. Lee and S. Lee, "Improving Self-control Safety & Management Ability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Site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000, No. 4, pp. 295-296, 2000. 

  2. G. T. Lee, "A Study on the Efficient Technical Assistance for Small-sized Construction Site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1, No. 5, pp. 73-74, 2006. 

  3. D. S. Park and W. Kim,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Calamity Preven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5, No. 4, pp. 569-570, 2005. 

  4. H. C. Lee, D. H. Song and S.S. Go,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Items for Preventing Accidents of Aged Construction Worker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4, No. 1, pp. 53-55, 2009. 

  5. J. B. Lee and S. R.Chang, "Measurement of Severity of Hazards and Investment i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ccording to Ship Typ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7, No. 1, pp. 107, 2012. 

  6. D. H. Song, S. K. Yeo and S. S. Go, "Safety Management Priority Classified by Participants in Planning & Design Stage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5, No. 1, pp. 55-56, 2010. 

  7.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2010. 

  8.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Industrial Accident Cause Investigation Report", 2010. 

  9.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Small-siz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Guide Book", 2010. 

  10. T. L Saat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he Analytic Hierachy Process", pp. 17-21,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