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Library SNS Marketing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4 no.3, 2013년, pp.157 - 180  

김지은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도서관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도서관에서 SNS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SNS 마케팅의 운영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기반으로 그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마케팅과 도서관 SNS 마케팅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은 높게 나타난 반면, 마케팅 전담인력의 부족, 마케팅교육의 부족, 낮은 도서관 SNS의 주당 평균 게시물 업로드 수 및 도서관 SNS 친구(팔로워) 수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SNS 마케팅을 지속 발전시키고 효과적인 도서관 SNS 운영을 위한 방안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도서관마케팅 전담팀을 구성하여 효과적인 도서관 SNS 마케팅을 수행하게 하고, 둘째, 사서들의 마케팅 교육을 통해 실패없이 도서관 SNS를 운영하게 하며 셋째, 정기적인 자료 업데이트를 통하여 활발한 도서관 SNS를 운영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다섯째, 각 SNS의 채널별 특징을 파악한 후 SNS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creasing interest in content marketing,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s become more popular as a method of library marketing, both at home and abroa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library SNS marketing, in an attempt to find ways to optimize it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마케팅협회에서 정의한 마케팅이란? 마케팅은 경영학이나 영리기관을 대상으로한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던 개념이었다. 미국 마케팅협회(1985)에서는 마케팅을 ‘개인과 조직의 목적을 충족시켜 주는 교환을 창조하기 위해서 아이디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개념 정립, 가격 설정, 촉진, 그리고 유통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조직화된 프로세스’라고 정의하였다. Cavill(2001)은 ‘마케팅은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어떻게 그것을 전달하고 어떻게 설명하며, 어떤 가격을 원하는지를 묻는 일이다’라고 정의하였다.
소셜미디어 마케팅이란? 소셜미디어 마케팅이란 트위터, 블로그, SNS, 유튜브, 플리커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행하는 마케팅(Ogawa 2010)으로서 참여, 공개, 대회, 커뮤니티, 연결이라는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 기법이다(신일기 2010). 최기원과 도선화(2010)는 SNS가 가지고 있는 바이럴마케팅 속성은 제품에 대한 평가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전파하는 도구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다고 하였다.
OCLC에서 시행한 소셜네트워크와 도서관에 대한 광범위한 인식조사의 결과는? OCLC에서는 2007년에 ‘소셜네트워크와 도서관에 대한 광범위한 인식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소셜네트워크가 도입되어야 된다는 견해는 13%, 그것이 도서관에 도입되었을 때 적극적으로 이용하겠다는 견해는 14%에 불과하였다(OCLC 2007). 국내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이뤄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수미. 2002.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마케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2. 노영진. 2003. 남산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3. 노영희. 2008.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의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26. 

  4.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5. 박희언. 2008. 도서관 블로그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연구: 국내 P대학도서관 블로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신일기. 2010.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사회공헌 브랜딩 전략과 사례. 마케팅, 44(9):25-30. 

  7. 오경묵, 노영진. 2003.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3):261-276. 

  8. 오의경. 2012.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관리연구, 43(2): 133-150. 

  9. 이상배. 2012. (마키미디어의) 소셜 마케팅 정석. 서울: 이지스퍼블리싱. 

  10. 이용재. 2011.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마케팅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417-440. 

  11. 이은녕.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2.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18. 

  13. 최기원, 도선화 옮김. 2010. 페이스북 마케팅. 서울: 스펙트럼북스. 

  14. 최상기. 1995. 전문도서관의 마케팅전략. 도서관학논집, 23: 147-182. 

  1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라이브러리 2.0과 도서관 서비스 발전 방향. [서울]: 동연구소. 연구보고 KR 2007-11. 

  16. 황재영. 2011. 전문도서관의 웹 사이트 분석을 통한 인터넷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1): 105-122. 

  17. 황재영, 구찬미. 2011. 디지털도서관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에 관한연구. 정보관리연구, 42(4): 225-242. 

  18. DMC리포트. 2011. SNS서비스 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 서울: DMC 미디어. 

  19. Adeyoyin, S. O. 2005. "Strategic Planning for Marketing Library Services." Library Management, 26(819): 494-507. 

  20.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85. "AMA Board Approves New Marketing Definition." Marketing News, Vol.5: 1-2. 

  21. Cavill, Patricia. 2001. "Advocacy: How Does it Differ from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Feliciter, 47(2): 90-93. 

  22. Cronin, B. 1984. "The Marketing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the UK: Practical Applic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2): 44-45. 

  23. Erin, Fields. 2010. "A Unique Twitter Use for Reference Services." Library Hi Tech News, 27(6/7): 14-15. 

  24. Green, S.S. 1876. "Personal Relations Between Librarians and Readers." American Library Journal, 1: 74-81. 

  25. Janette, Alison Nicolle. 2008. "Biblioblogging: Blogs for Library Communication." The Electronic Library: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Minicomputer, Microcomputer, and Software Applications in Libraries, 26(5): 683-694. 

  26. Kanaujia, Shiva. 2004. "Marketing of Information Products and Services in Indian R & D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s." Library Management, 25(8): 350-360. 

  27. Koontz, C. M. 1997. Library Facility siting and Location Handbook. Westport, CT: Greenwood Press. 

  28. Koontz, C. M. and P. E. Rockwood. 2001. Developing Perfornance Measures within a Marketing Frame of Reference. New Library World, 102(1163/1164): 146-153. 

  29. Kotler, P. and Sidney J. Levy. 1969. "Broadening the Concept of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33(1): 10-15. 

  30. OCLC. 2007. "Libraries & Social Networking." Sharing, Privacy and Trust in Our Networked World: A Report to the OCLC Membership. 

  31. Ogawa, Kazuhiro. 2010. Social Media Marketing. Japan: Softbank Creative Corp. 

  32. Powers, J. E. 1995. "Marketing in the Special Library Environment." Library Trends, 43(3): 478-493. 

  33. Rowley, J. 2001. Information Marketing. Farnham: Ashgate Publishing. 

  34. Shontz, Marilyn L., Jon C. Parker, and Richard Parker. 2004. "What do librarians think about marketing? a survey of public librarians' attitudes toward the marketing of library service." Library Quarterly(Jan 2004), 74(1): 63-84. 

  35. Siess, Judith A. 2003. The Visible Librarian: Asserting Your Value with Marketing and Advocacy.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6. Stover, Jill S. 2007. Making Marketing Work for Your Library Blog. Internet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11(4): 155-163. 

  37. Walters, S. 1992. Marketing: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ians. New York: Neal-Schuman. 

  38. Xia, Z. David. 2009. "Marketing Library Services Through Facebook Groups." Library Management, 30(6/7): 469-478. 

  39. 트위터한국인인덱스. . 

  40. 소셜베이커스.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