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allergy is defined as adverse reactions toward food mediated by aberrant immune mechanisms. Cow's milk allergy is one of the most common food allergies in childhood. This allergy is normally outgrown in the first year of life, however 15% of allergic children remain allergic. Cow's milk aller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 알레르기를 피하기 위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의 섭취를 금하면 알레르기에 대한 문제는 없겠지만,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 섭취가 꼭 필요하므로 식품 섭취에 대한 현명한 지혜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우유 단백질과 알레르기와의 관계 및 우유 알레르기를 저감화 하기 위한 방법들과 우유 알레르기에 대한 방어 전략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된 성분 중에서 단백질이 갖는 성질 중 변성이란? 식품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된 성분은 단백질로 단백질은 20여종의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입체구조를 형성하여 생체 내에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단백질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면 원래 가지고 있던 입체구조가 변화되어 그 성질이 바뀌는데, 이를 변성이라 하며, 이렇게 변성된 단백질 중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알레르겐도 형성되게 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earman, 2002).
식품 알레르기는 어떻게 일어나는 현상인가? 식품 알레르기는 우리가 섭취한 식품 성분이 장관을 통과하여 혈액 또는 림프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면역 관련세포와 만나 반응을 하면 알레르기와 관련된 비만세포와 반응하면서 이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화학물질(히스타민, 헤파린 등)에 의해서 알레르기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천식이나 꽃가루 알레르기, 습진 등의 가족력이 있는 아기들에게서 더 흔히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영ㆍ유아시기에는 장관이 아직 미성숙하기 때문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침입을 막기가 어려워 음식 알레르기가 많이 일어나지만, 3세 이후에는 장관면역계가 성숙되어 식품 알레르기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 식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 식품은 콩류(Bock and Atkins, 1989), 우유(Shin et al., 2004), 밀(Battais et al., 2005), 어류(Lee et al., 2000), 갑각류(Shimakura et al., 2005), 육류(Cho et al., 2001; Chung et al., 2001) 및 달걀(Philippe and Eigenmann, 2004) 등으로 식품 알레르기의 약 90% 이상이 이들 식품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Sampson and Ho, 1997; Sampson and McCaskil, 1985), 그 외 간장, 바나나, 멜론, 두유, 딸기류, 고추 등과 심지어 쌀도 빈도는 낮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식품으로 보고되어 있다. Moon 등(2007)이 보고한 내용을 보면 소아,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식품 알레르기 연구에서도 콩, 우유, 치즈, 난백, 게, 새우, 참치, 대구, 연어, 돼지고기, 쇠고기, 레몬, 라임, 오렌지, 복숭아, 밀가루, 쌀, 땅콩이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대학병원에서 379명의 알레르기 천식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원인 식품을 조사한 결과, 계란, 돼지고기, 복숭아, 고등어, 닭 고기, 우유, 메밀, 게, 밀가루 및 토마토 순서대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