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로모형 분석
Validation of a Path Model for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3, 2013년, pp.255 - 263  

박영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권윤희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itness of a path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daily life stress, problem of lif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47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연구는 상관관계와 몇 개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Kang, 2010; Kwon, 2009; Park, 2007)가 대부분이었으며,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모형에 대한 Park (2010)의 연구가 있었으나 영향요인으로 학교 위험요인을 한정한 연구설계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 학교, 문화 등의 생태환경과 개인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청소년을 이해해야 한다는 Bronfenbrenner (1979)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설명할 수 있는 경로모형을 제시하여 청소년 자살생각의 예방적 관리 및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요인 및 경로를 설명 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적 경로모형의 모수치와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이 경로를 제거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요인 및 경로를 설명 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예방적 관리 및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실제적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한 가설적 모형의 적합정도와 효과를 검정하는 공분산경로분석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특징은? 청소년기는 기존 사회질서와 규범을 습득해야 하고 대학입시와 관련된 과다한 학습량, 학교생활에서 부딪치는 스트레스 및 부모의 기대와 사회적 요구를 수용해야 하는 많은 발달 과업을 가진 시기이다. 그러나 청소년기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다원적 가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이성보다는 감정에 치우쳐 과격하고 격렬한 행동을 표출하기 쉬운 시기이므로 다른 연령층의 집단과는 달리 독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 발달 특성으로 자신이나 또래의 자살위험에 대해 어른의 도움을 구하지 않고 스스로 대처하고자 하는 행동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Hawton, Kingsbury, Steinhardt, James, & Fagg, 1999).
자살의 연령별 증가율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자살의 연령별 증가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자살 성공률은 성인기에 최고조를 이루고 있으나 자살 시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청소년기이다(Daniel & Goldston, 2009). 한국의 경우 3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서 청소년의 2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요인 및 경로를 설명 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요인 및 경로를 설명 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적 경로모형의 모수치와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이 경로를 제거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해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사회적 지지 및 우울에서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에서 간접효과가 있었다.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총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우울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삶의 문제,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이었으며 이들 변인들은 자살생각을 64.1% 설명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삶의 문제보다 효과가 더 높았으며, 이들 변수는 사회적 지지를 12.1% 설명하였다. 또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삶의 문제보다 효과가 더 높았으며, 우울을 52.5%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7 Young health status on line survey. Retrieved July 3, 2012, from http://www.cdc.go.kr/CDC/intro/CdcKrIntro0201.jsp?menuIdsHOME001-MNU0005-MNU0011&cid8849 

  3. Chon, K. K., Choi,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4. Conner, K. R., Duberstein, P. R., Conwell, Y., & Caine, E. D. (2003). Reactive aggression and suicide: Theory and evidence. Aggression of Violent Behavior, 8(4), 413-432. 

  5. Daniel, S. S., & Goldston, D. B. (2009). Interventions for suicidal you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9 (3), 252-268. 

  6. Hawton, K., Kingsbury, S., Steinhardt, K., James, A., & Fagg, J. (1999). Repetition of deliberate self-harm by adolescents: The role of psychological factors. Journal of Adolescence, 22 (3), 369-378. 

  7. Hoffman, M. L. (1984). Empathy, its limitation, and its role in a comprehensive moral theory. In W. M. Kurtines & J. L. Gewirtz (Eds.).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pp. 283-302). New York: Wiley. 

  8. Hwang Bo, S. Y. (2011).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from an eco-system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9. Kang, M. O. (2011). The benefi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group bullying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victi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10. Kang, S. J. (2000). A study on family function of child headed families under the care of relat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ang, S, O.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juvenile'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suicide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Rate of Death on OECD. Retrieved May 20, 2013, from https://www.kihasa.re.kr/html/tsearch/search.jsp 

  13. Kwon, E. H. (200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juveniles-focused on psychosocial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14. Lubell, K. M., & Vetter, J. B. (2005). Suicide and youth violence prevention: The promise of an integrated approach. Aggression of Violent Behavior, 11 (2), 167-175. 

  15. Matsuishi, K., Kitamura, N., Sato, M., Nagai, K., Huh, S. Y., Ariyoshi, K., et al. (2005). Change of suicidal ideation induced by suicidal attempt.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9 (5), 599-604. 

  16. Mu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ng model. Seoul: Hakjisa Publishing Co. 

  17. Park, B. G.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 (3), 505-522. 

  18. Park, J. S. (2010). The effects of school risk factors on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ce -With a test the Baumeister' escape theory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9. Rohde, P., Seeley, J. S., Rohling, J., & Rohling, M. (2003). The life attitudes schedule-short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rrelates of adolescent suicide pronenes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3 (3), 249-260. 

  20. Statistics Korea. (2012a). Cause of death 2011. Retrieved July 6, 2012,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260141 

  21. Statistics Korea. (2012b). Adolescents' index 2012. Retrieved July 7, 2012,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2. Sanchez, H. G. (2001). Risk factors model for suicid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 Practice, 32 (4), 351-358. 

  23. Shin, J. E. (1998). A study on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of adolescent's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Smochek, M. R., Oblaczynski, C., Lauck, D. L., Green, P. T., Early, J. A., & Smity, J. E. (2000). Interventions for risk for suicidal and risk for violence. Nursing Diagnosis, 11 (2), 60-68. 

  25. Sung, Y. M. (2008). Adolescent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problem behaviors: Social support as a buff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26. Worley, N. K. (1997). Mental health nursing in the community. St. Louise, MO: Mosby. 

  27. Yoo, H. J., & Han, M. Y. (1995). Development of a daily hassles scale for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 (4), 49-64. 

  28. Yoo, J. S., Son, J. W., & Nam, M. S. (2008). Factors influencing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3), 419-430. 

  29.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1),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