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학교생활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Esteem, Family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n Adolscents' Suicidal Ideatio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2, 2013년, pp.11 - 21  

장세영 (강원관광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influence of self esteem, family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n adolscents' suicidal ideation adjsu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ffect. Methods: Using cluster sampling, 318 high school freshmen from T city were extracted as survey su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학교생활적응, 자살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횡단면 설계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학교생활적응, 자살생각의 정도와 이들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를 대표하는 고등학교 남ㆍ여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의 주요체계로서 청소년의 개인체계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가족체계 요인으로 가족 지지 및 학교체계 요인으로 학교생활적응이 자살생각에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자살 혹은 자살 생각과 자아존중감의 상관성은? 선행연구에서 청소년 개인체계 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은 많은 연구에서 자살을 시도하였거나 자살위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Tucker-Ladd, 199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결과에서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자아존중감인 것으로 나타났다(Seo, 2006). 청소년의 가족체계 요인으로서 가족지지는 가족으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은 청소년들은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보다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나,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결핍은 자살의 핵심요인인 자아거부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Park, 2008).
청소년기의 자살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청소년기의 자살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청소년들은 사회적으로 많은 기대와 책임을 요구받기 때문이며 주변의 기대가 자신의 발달 수준이나 능력보다 높을 때 실패와 사회적 불인정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불인정이 자살을 유발한다고 하였다(Lee, 2005). 이러한 청소년의 자살은 사회불안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공중보건 문제인 동시에 가족, 학교 및 사회에 영향을 미치며, 전염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2012년 통계청 조사에 따른 10대 사망원인 1위는? 최근 들어 매스컴을 통해 연일 보도되고 있는 청소년의 자살은 2011년 대구에서 9명의 학생이, 2013년 들어 3명의 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2012-2013년 3월까지 대구의 자살 학생은 총 12명으로, 이 중 8명이 고등학생이고 그 중 5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으로서 고등학생의 자살발생률이 이전과 비교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Yonhap News Agency, 2013). 그리고 2012년 통계청 조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살은 10대 사망원인 1순위로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은 8.8%에 이르며(Cho, 2012), 2012년 한국보건의료원 자료에 의하면 청소년의 자살생각률은 2008년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o, B. H. (2013). A study on the risk factors for youth suicide on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nd the moderating eff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ju University, Cheonju, Korea. 

  2. Choi, T. S. (1997). A causal analysis among psychological variables of family dynamics affecting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deviant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 Gang, J. H. (2013). The Effects analysis of Adolescents' Stress on Suicidal Ide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4. Gould, M. S., Greenberg, T., Velting, D. M., & Shaffer, D. (2003).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Child and Adollescent Psychiatry, 42(4), 386-405. 

  5. Holinger, P. C., & Offer, D. (1987). Violent deaths in the unites states: An epidemiological study suicide, homicide and accidents.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6. Hong, J. A.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7. Hwang Bo, S. Y. (201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from an eco-system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8. Han, M, S. (2013, March). Countermeasure feel left out suicide of student...Counselling?Management 'Holes'. mshan@yna.co.kr, Yonhap News Agency. 

  9. Im, S. B., & Jung, C. S. (2002). A comparison of stressors and coping behavior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uicidal ideation vs those who do no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2), 254-264. 

  10. Jo, Y. S. (2008).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maladjustment that affect suicidal idea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1. Joseph F. H., Rolph E. A., Ronald L. T., & William C. B. (Eds.).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New Jersey, USA: Prentice Hall 

  12. Kim, Y. R. (1993). An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affective characterstics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Hongic University, 9, 5-113. 

  13. Kim, S. M. (1998).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bility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K, W. & Chun, M. H. (2000). Study on the teenage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9, 127-152. 

  15. Kim, Y. R. (2000). An analysis on the validation of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A) & school-related coping scale(B) and relation between(A) & (B).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Hongic University, 17, 3-37. 

  16. Kwon, E. H. (2009).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juveniles: Focused on psychosocial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7. Kim, Y. K. (2009).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m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8. Ko, D. H. (2008). The effects of the parent's raising attitude and the school adjustment onthe adolescent suicide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J. Y. (2005). The effects of stres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uicide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M. L. (1995). Relationship of high school seniors' coping strategies used to handle examination stress with levels of depression: In relationship of additional life event stres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05, 89-98 

  21. Park, B. K. (2006). An exploratory study of Eco-system factors on adolescents' suicidalide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ju, Korea. 

  22. Paik, J. S. (2013).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o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volunteer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Park, Y. Y. (2008). Effects of da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olescent on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resbyte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Seoul, Korea. 

  24. Park, H. M. (2011).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and adolesc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25. Peter, M. L. Paul, R. & John, R. S. (1994).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futue adolescent suicide attemp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2), 297-305. 

  26. Reynold, W. M. (198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7. Seo, H. S. (2006). A study of influencing on adolescent's suicide thin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28. Shin, M. S. (1992). An empirical study of the mechanism of suicide: Validation of the scale for escape from the sel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9. Shin, S. C. (2012). The factors that affect thinking about commitment of suicide by som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0. Tucker-Ladd, P. R. (1990). Alienated adolescents: How can schooles help. The Clearing House, 64(2), 112-114. 

  31. Yi, K. C. (2003). The Relationship of High School Students'Maladaptive Behavior, Aggression, School-Anxiety, and Suicid 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32. Yi, S., Yi, Y., & Jung, H. S. (2011). Factors on the suicidal attempt by gend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52-662. 

  33. Yong, M. J. (2011). A study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relevant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4. Yoon, S. H. (2009). Effects of self esteem on adolscents'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Seoul, Korea. 

  35. Yoon, S. L., & Yoon, J. (1993).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uicidal ideators.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6(1) 107-120. 

  36. Yuk, S. P. (2013). The exploration of suicid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of treat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7. Yang, Y. K. (2012). Prediction model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