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 부문 간 협력을 중심으로
Tasks for Present and Future of National Mental Health Promotion in Korea : Focused on Inter-Sectoral Collaboratio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4, 2013년, pp.25 - 39  

채은희 (국립서울병원 정신보건연구센터 정신보건 연구과) ,  이효영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come up with ideas about supportive policies and multi-sectoral collaboration for Mental health Promotion.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about 40 various international & internal scientific articles including WHO's publications related with mental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2013년 하반기에 정신보건법의 전면개정을 앞두고 있어, 이러한 중차대한 변화의 시기에 국내·외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주요현황을 재검토하여 우선순위와 실현가능성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정신건강 개선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 및 국내외 보고서와 논문들을 고찰하여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지적인 정책과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 뿐만 아니라, 국제기구인 OECD가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권고한 제 방안들과 함께 제 66회 세계보건총회에서 WHO가 세계 각국에 요청한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을 통해 지금까지는 다른 건강 부문에 비해 중요성이 다소 밀렸던 정신건강부문이 국제사회에서 이제는 그 어떤 건강문제보다 비중이 큰 중요한 국가적 사안으로서 모든 나라가 협력하며 우선적으로 다뤄야 하는 건강분야로서 강조되고 있음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World Health Assembly,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정황과 거시적 측면에서, 향후 정신건강증진을 위하여 요구되는 구체적 방안들 중 최근 들어 주목되고 있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공공정신보건서비스의 강화와 부문 간 협력, 예산 확충을 포함한 정신건강증진 인프라 구축 강화 및 거버넌스 총괄기구 설립을 우선적 대안으로 제시하며 논하고자 한다.
  • 특히,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 제정으로 정신보건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획기적으로 일어나면서 정신보건정책의 대상범위가 정신장애인에게 국한하던 것에서 전 국민으로 확대되어 정책방향을 모든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 및 예방에 초점을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격리나 입원 위주의 정책에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정신장애인의 재활 및 사회복귀를 촉진시키는 사회통합 위주의 정책으로 바꾼 것이다.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정신보건현황에 관하여 많은 고찰과 논의가 되어 왔으나 아직껏 개선이 되지 않거나 변화하는 국민의 건강욕구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정신보건 분야의 현실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심화되어가는 우리사회의 고령화와 다양성,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화로 국민의 정신건강 욕구가 더욱 증가함에도 이에 대한 현실적 방안과 선제적 대안 부재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국제기구인 OECD가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권고한 제 방안들과 함께 제 66회 세계보건총회에서 WHO가 세계 각국에 요청한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을 통해 지금까지는 다른 건강 부문에 비해 중요성이 다소 밀렸던 정신건강부문이 국제사회에서 이제는 그 어떤 건강문제보다 비중이 큰 중요한 국가적 사안으로서 모든 나라가 협력하며 우선적으로 다뤄야 하는 건강분야로서 강조되고 있음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World Health Assembly, 2013).
  • 세계보건기구 및 보건복지부, 국립서울병원 및 관련기관의 정책보고서를 검토하였고, DBpia와 KISS(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의 국내 문헌 검색엔진을 통해 ‘정신보건사업’, ‘정신보건 체계’, ‘정신건강 증진’ 등을 검색하여 2000년부터 2013년까지 발간된 학술논문 중 전체 정신보건사업의 정책 및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논문 40여편을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지적 정책과 부문 간 협력 등 문제를 해결하고 보완할 수 있는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질환은 어떤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가? 정신질환은 개인적인 심리특성 뿐만 아니라 과도한 경쟁, 지지체계의 감소와 사회적 소외, 상대적 빈곤과 같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 보건의료제도 및 정책과 같은 국가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Na, 2011a). 현재 우리나라는 여러가지 사회경제적 상황속에서 정신건강 취약계층의 지속적인 증가와 정신건강의 양극화의 심화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의 적극적 개입과 실천적 관리가 시급한 실정에 있다.
일반인구의 몇%가 평생 중 한 번 이상 정신질환을 경험하는가? 더욱이 한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편견은 낙인효과로 이어져 중증만성정신질환자의 재원율 및 장기입원율을 증가키시고, 초기단계나 경증을 앓고 있는 정신질환자들의 조기진단과 치료의 기회를 가로막고 있음에도 불구하고(Chae, 2012; Warner, 200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1) 일반인들은 정신건강 예방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Baek, 2012).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1)에 의하면, 일반인구의 27.6%가 평생 중 한 번 이상은 정신질환을 경험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들 중 정신과 전문의와 기타 정신건강 전문가를 통한 상담 치료를 받은 비율은 15.3%에 불과하고 85% 정도가 정신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조기발견과 치료 및 지역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선순환 구조의 정착을 위해 우리나라는 어떻게 노력해야 하는가? 우리나라도 입원중심의 취약한 인프라와 재정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조기발견과 치료 및 지역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선순환 구조의 정착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욕구와 정책개발에 근거한 인프라구축이 요구된다. 즉 적정규모의 예산확보와 함께 정신건강 증진 및 예방서비스의 핵심적과제를 도출하고 서비스 효과의 근거를 창출하여 사회적 영향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정신보건서비스의 관리부서와 재원조달이 각각 다원화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보건과 복지의 통합과 함께 국민의 서비스욕구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과 관리를 위한 법과 제도적 근거 확보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verill, J. R., & More, T. A. (1993). Happiness. In M. Lewis, & J. Haviland (Eds.), Handbook of Emotions.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 Baek, J. W. (2012). Strategies for better mental health, better Society for all. Paper presented at the 4th Mental Health Forum of Seoul National Hospital, Seoul, Korea. 

  3. Brown, K., & Bradley, L. J. (2002). Reducing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4(1), 81-87. 

  4. Byun, E. K., Ha, J. S., & Yoon, S. J. (2008).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gent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ho work at community mental health settings-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5, 177-200. 

  5. Chae, E. H. (2006). A Short and long term impacts of disaster on the mental health of affected people and development of disaster mental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 Chae, E. H. (2012). The report on the field survey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 training agencies 2009-2011. Seoul, Korea: Seoul National Hospital. 

  7. Chang, H. K., & Woo, A. Y. (2011). The Discours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on TV documentaries: The completion of distinc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1), 179-217. 

  8. Cho, E. Y. (1999). A Study on the stigmatization process toward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Cho, Y. R. (2012). Strategies for better mental health, better society for all. Paper presented at the 4th Mental Health Forum of Seoul National Hospital, Seoul, Korea. 

  10. Corrigan, P. W., Watson, A. C., Warpinski, A. C., & Gracia, G. (2004). Stigmatizing attitudes about mental illness and allocation of resource to mental health service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0(4), 297-307. 

  11. Granello, D. H., & Pauley, P. S. (2000). Television viewing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tolerance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2(2), 162-175. 

  12. Hyun, K. J.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sources and themes of happiness among Koreans: A longitudinal approach. Mental Health & Social Work, 18, 66-64. 

  13. Jung, S. H. (2010). The socioeconomic burden of suicide and depression in South Korea. Seoul, Korea: Seoul National Hospital. 

  14. Kang, K. J. (2009). A study on the improvable plan of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s (Master's these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D. B., & Ahn, I. K. (2007).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public and mental health specialists' of Korea about needs for positive mental health and solution method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5, 5-40. 

  16. Kim, M. J. (2004). A study on the coope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community health and welfare servic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S. (2010). Public health car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p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69, 38-44.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Korea: Author. 

  19. Korea Economic Newspaper. (2012). Korean Happiness Report 2012. Seoul, Korea: Korea Economic Newspaper. 

  20.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Legislation of the law for public health care.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2647#0000 

  21.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9). The re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promotion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Seoul, Korea: Author. 

  22. Korean National Mental Health Commission. (2011). The national mental health commission annual report 2010. Seoul, Korea: Author. 

  23. Lee, N. C. (2012a). A study on the structure of quality of life in OECD member countries. Health and Social Affairs Review, 32(2), 5-40. 

  24. Lee, S. Y. (2012b). Future directions and issues of mental health policie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187, 68-77. 

  25. Lim, J. S. (2011). Reorganization plan of national mental hospitals. Seoul, Korea: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6. Link, B. G., Phelan, J. C., Bresnahan, M., Stueve, A., & Pescosolido, B. A. (1999). Public conceptions of mental illness: Labels, causes, dangerousness, and social distanc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9(9), 1328-1333. 

  2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2). 2011 Report on the survey of Youth's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 Seoul, Korea: Author. 

  2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a). Mental health in Korea: OECD review and recommend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OECD review and recommendations international seminar. Seoul, Korea. 

  2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b). The revenue and expenditure summary report 2011. Seoul, Korea: Author. 

  3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c). The 3rd public health care plan (2012) Reporting Guidelines. Seoul, Korea. Seoul, Korea: Author. 

  3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1).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oul, Korea: Author. 

  32. Na, B. J. (2011a). Working together for mental well being. Paper presented at the 3rd Mental Health Forum of Seoul National Hospital, Seoul, Korea. 

  33. Na, B. J. (2011b). Achieving mental well-be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Paper presented at the 3rd Mental Health Forum of Seoul National Hospital, Seoul, Korea. 

  3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 Book 2009-2011. Seoul, Korea: Author. 

  35. Park, E. B. (2005). A change of the mental health policy by the mental health budget analysis (Master's these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6. Penn, D. L., Chamberlin, C., & Mueser, K. T. (2003). The effects of a documentary film about schizophrenia on psychiatric stigma. Schizophrenia Bulletin, 29(2), 383-391. 

  37. Seo, M. K., Kim, J. N., & Lee, M. K. (2008). The survey o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mentally ill. Seoul, Korea: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38. Seok, J. E. (2000). Integra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through community care and case management in the U. K.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0, 51-62. 

  39. Seoul Mental Health Center. (2012). 2012 Seoul Mental Health Indicators. Seoul, Korea: Author. 

  40. Stout, P. A., Villegas, J., & Jennings, N. A. (2004). Images of mental illness in the media: Identifying gaps in the research. Schizophrenia Bulletin, 30(3), 543-61. 

  41. Warner, R. (2005). Local projects of the 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programme to reduce stigma and discrimination. Psychiatric Services, 56(5), 570-575. 

  42. WHO (2001). The world health report 2001. Geneva, Switzerland: Author. 

  43. WHO (2003). Advocacy for mental health. Geneva, Switzerland: Author. 

  44. WHO (2011). Mental health atlas. Geneva, Switzerland: Author. 

  45. WHO (2013).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gb/ebwha/pdf_files/WHA66/A66_10Rev1-en.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