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
Attitude on the Elderly and Elderly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and Nurs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3, 2013년, pp.15 - 28  

정혜선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there is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 elderly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and nurs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 and November 30, 2012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23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미래 노인간호 인력으로 근무하게 될 간호대학생과 현재 노인 간호제공자인 간호사의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파악하고, 두 군간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차이가 유의한지, 그리고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가 대상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노인이나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연구나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도란? 태도는 어떤 대상에 대하여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려는 학습된 성향으로, 심리적 대상에 대한 좋거나 싫은 정서[1]를 말한다. 태도는 개인에게 대상을 바라보는 틀(framework)을 제공하여 대상을 어떻게 해석하고, 그 대상에 대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기준을 부여해 주기 때문에 노인간호에서도 간호제공자의 태도는 노인에 대한 행동[2]이나 케어실천행위[3]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태도의 기본개념 중 지향성이란? 태도를 측정할 때 태도의 기본개념 중 지향성(orientation)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1], 지향성이란 태도는 항상 무엇인가를 향하며, 태도를 취하게 되는 구체적인 대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 대상에 대한 태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태도 측정 전에 태도를 가지게 되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지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간호대학생과 간호사가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해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간호대학생의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를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간호사의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를 파악한다. 4)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5)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노인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차이를 비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 Phil(2001), Attitudes and Persuasion, Psychology Press (UK), pp.1-11. 

  2. M.H. Kim(2011),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4);113-126. 

  3. S.H. Yoon(2009), The relations of nurses' job stress and knowledge, attitude and care behavior for elderl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4);593-600. 

  4. G.F. Sanders, Jr. J.E. Montgomery, J.F. Pittman, C. Balkwell(1984),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3(1);59-70. 

  5. J.R. Han(2000),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0(3);115-127. 

  6. J.H. Kim(2000), Comparison of image toward elders and demented elde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cial Nursing, Vol.2(2);133-143. 

  7. K.B. Kim, J.B. Lim, S-H.R. Sok(2007),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es toward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3(1);13-21. 

  8. H.S. Jeong(2012),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4B);2025-2037. 

  9. H.S. Jeong, S.Y. Han(2012), The effects of an elderly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3B);1453-1466. 

  10. E.J. Lee, I.W. Kang(2006), Student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20(2);183-194. 

  11. H.S. Jeong(2011), Nurses' attitude toward elders and their need of education on geriatric nurs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6B);3021-3035. 

  12. H.U. Park, B.H. Cho(2010),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for old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Vol.17(1);36-44. 

  13. S.Y. Park, Y.S. Park(2007), Geriatric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aged and geriatric nursing education need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3(1);59-65. 

  14. H.S. Jeong(2013), Comparison betwee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s and elderly patients, Journal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Vol.1(2);85-92. 

  15.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G. Lang(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4);1149-1160. 

  16. Y.S. Lim, J.S. Kim, K.S. Kim(2002),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2(1);31-46. 

  17. S.Y. Kim, K.M. Yang, H.E. Oh, J.S. Kim(2002), Nursing and social welfar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2(3);21-36. 

  18. J.H. Kim(2008), Short-term effects of gerontological nursing lecture course on attitudes toward elder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cial Nursing, Vol.10(2);173-181. 

  19. J.H. Noh, E.J. Lim, J. Hur(2012), The factors influencing careworker's care performance for elders with dementi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75-84. 

  20. J.M. Lee, S.Y. Lee(2005), The impact of education of gerontolog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mo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29(Autumn);259-283. 

  21. C.G. Ferrario, F.J. Freeman, G. Nellett, J. Scheel(2008), Chang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about aging: an argument for the successful aging paradigm, Educational Gerontology, Vol.34(1);51-66. 

  22. A.S. Eymard, B.D. Crawford, T.M. Teller(2010), Take a walk in my shoes: Nursing students take a walk in older adults' shoes to increase knowledge and empathy, Geriatric Nursing, Vol.31(2);137-141. 

  23. H.S. Oh, H.S. Jeong(2012),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consist of knowledge about nursing care for elderly and elderly simulation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4);1654-1664. 

  24. P. Varkey, D.S. Chutka, T.G. Lesnick(2006), The aging game: Improving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Vol.7(4);224-2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