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외 연구 비교
Research Trend of Nurses' Job Stress: A Comparative Study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1, 2013년, pp.13 - 23  

이윤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이복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research trend of nurses' job stress in Korea and abroad. Methods: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of nurses'job stress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from 1990 to Sept. 2011 was done. A total of 691 original articles were reviewed by two independent revie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는, 국내 외 연구논문의 연구방법(연구설계, 연구대상, 표본 크기 및 표출방법, 자료수집방법, 직무 스트레스 도구)과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연도별로 분석하고, 이를 국내외별로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국내 연구의 현 위치를 확인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서술적 문헌 고찰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한 서술적 문헌고찰연구이다. 서술적 문헌고찰이란 특정분야의 전문가가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나열하고 전문가의 의견에 다라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Park, 2010).
  • 본 연구는 보건의료 주요 인력 중 하나인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연구한 국내외 논문을 비교하여 현재 국내 연구의 상황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수행결과, 국내 논문은 국외 논문에 비하여 상관성 조사연구설계가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며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임상간호사이었다.
  • 본 연구진은 서술적 문헌고찰을 수행하기에 앞서 사전에 프로토콜을 작성하여 연구진간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프로토콜은 ‘핵심단어의 선정 → 문헌검색전략 선정 → 문헌선택 및 배제기준(언어제한, 출판형태 등) 결정 → 논문선정 → 내용 고찰 및 자료정리 → 데이터 분석 → 결과기술’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연구가 양적으로 성장한 1990년부터 2011년 9월까지 기간 동안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비교함으로써 현재 국내 연구의 현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외 연구논문의 연구방법(연구설계, 연구대상, 표본 크기 및 표출방법, 자료수집방법, 직무 스트레스 도구)과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연도별로 분석하고, 이를 국내외별로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설계를 제시하지 않았거나 잘못 제시한 경우는 본 연구진의 협의 하에 분류하거나, 수정 재분류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일부 문헌에 대하여 원 저자가 기술한 것을 수정 재분류한 이유는, 정확한 현황 파악을 통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목적에 충실하기 위해서이다.

가설 설정

  • Note. 1) Kim & Gu (1984): 63 items, 6-Likert scale, 15 sub-domain (heavy workload, professional role conflict, lack of technology and expertise, interpersonal problems, interpersonal conflict with doctor, business conflict with doctor, psychological burden on the limit of medical treatment, unfair treatment, dissatisfied relationships with superior, inappropriate compensation, dissatisfied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s, inappropriate physical environment, non-business responsibility, unfamiliar situations, night work); 2) KOS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43 items, 4-Likert scale, 8 sub-domain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 system, inappropriate compensation, organization culture); 3) PSS (Perceived Stress Scale): 14 items, 5-Likert scale; 4) NSS (Nursing Stress Scale): 34 itmes, 4-Likert scale, 7 sub-domain (death, conflict with doctor, underprepared, lack of support, conflict with nurses, workload, uncertainty of treatment); 5) OSI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 140 items, 5-Likert scale, 3 sub-domain (job role, personal tensions, personal resource); 6) SD=Self developed. †Kum & Gu (1984); ‡Bae & Seo (19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가 요구하는 것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에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유해한 신체적, 정신적 반응이다(Sun, Oh, Hwang, & Kim, 2010). 간호사는 병원의 고객만족정책으로 항상 친절을 강요받고 간호대상자에 대한 수준 높은 간호활동을 요구받는다.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작업 조건으로 인해 간호사는 타 직업군에 비하여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편이다(Yoon & Kim, 2010). 감정노동(Yang, 2011), 교대근무(Fukukawa et al., 2003), 업무량 과중(Pati, Harvey, & Barach, 2008), 폭력(Lemelin, Bonin, & Duquette, 2009) 등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가 요구하는 것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에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유해한 신체적, 정신적 반응이다(Sun, Oh, Hwang, & Kim, 2010). 간호사는 병원의 고객만족정책으로 항상 친절을 강요받고 간호대상자에 대한 수준 높은 간호활동을 요구받는다. 또한, 최신 기술과 지식을 배우기 위해 노력하고, 병원 내 타 직종 사람들 뿐 아니라 보호자들과 오랜 시간 대면한다(Kim, 2002). 이러한 작업 조건으로 인해 간호사는 타 직업군에 비하여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편이다(Yoon &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S. (2005). Sample size determination in diagnostic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 Choi, S. R., & Jung, H. S. (2004). An analysis of studies on clinical nurses'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3 (1), 40-47. 

  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4. Fukukawa, Y., Nakashima, C., Tsuboi, S., Saito, I., Kosugi, S., & Shimokata, H. (2003). Effects of shift work schedule on mood changes among female nurses. Shinrigaku Kenkyu, 74 (4), 354-361. 

  5. Han, J. S., & Park, I. S. (2008).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e cor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2), 310-320. 

  6. Kang, H. G., Ko, Y. K., Jee, Y. G., Kim, S. J., Yoon, H., Kim, M. A., et al. (2005). The effect of shift-work on psychological factors in university hospital's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1 (1), 79-88. 

  7. Kim, B. H. (2002). A study on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8. Kim, M. J., & Gu, M. O. (1984). Tool development of nurses'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 (2), 29-37. 

  9. Kohler, M. (2010).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work-related stress,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anticipated turnover on nursing units with clinical nurse lead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Florida, Florida. 

  10. Kondo, E. (2012). A comparative study of ethical dilemma and cop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1. Kore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6). Health management guideline on chemical exposure for healthcare workers (KOSHA CODE H-41-2006). Incheon: Author. 

  12. Lee, B. (2012). Trend analysis of nurses' stress based on the last 10 years of international researc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 (1), 27-36. 

  13. Lee, E. O., Im, N. Y., Park, H. Y., Lee, I. S., Kim, J. I., Bae, J. E.,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 

  14. Lee, M. H. (1996). Analysis of studies on work stress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8 (1), 180-200. 

  15. Lemelin, L., Bonin, J., & Duquette, A. (2009). Workplace violence reported by Canadian nurses. CJNR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41 (3), 152-167.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2010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Seoul: Author. 

  17.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Author. 

  18. Oh, M. (2011) Effect of job stress on menstrual function and pregnancy outcome in femal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Park, H. A. (2010). Evidence base medicine and pre-appraised resource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 (12), 897-903. 

  20. Pati, D., Harvey, T. E., & Barach, P. (2008). Relationships between exterior views and nurse stress: An exploratory examination.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Journal, 1 (2), 27-38. 

  21. Shirey, M. R., Ebright, R. R., & McDaniel, A. M. (2008). Sleepless in America-Nurse managers cope with stress and complexity.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 (3), 125-131. 

  22. Sun, J. O., Oh, B. S., Hwang, D. S., & Kim, J. Y. (2010). Job stress. Paju: Korea Academic Information. 

  23. Wheeler, H. H. (1998). Nursing occupational stress research 6: Methodological approach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7 (4), 226-229. 

  24. Woo, N., & Kim, S. (2009).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270-280. 

  25. Wordpress & The Clear Line Theme. The nurses' history study. Retrieved January 29. 2013, from http://www.channing. harvard.edu/nhs/?page_id70. 

  26. Xie, Z., Wang, A., & Chen, B. (2011). Nurse burnout and its associ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in a cross-sectional study in Shanghai.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 (7), 1537-1546. 

  27. Yang, Y. (2011).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4), 423-431. 

  28. Yoo, W. K., & Lee, O. C. (1994). Trend analysis of studies on hospital workers' job stress. Kyung-Shin University Papers, 12 (1), 157-167. 

  29. Yoon, C., & Lee, A.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nurses' occupational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281-288. 

  30. Yoon, G., & Kim, S. Y.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4), 507-5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