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anded Nursing Stress Scal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5, 2015년, pp.542 - 551  

김경미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남경아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이은희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정금희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anded nursing stress scale (ENSS). Methods: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ENSS from English to Korean was conducted. The translated instrument was pilot-tested and administrated to 285 nurses who wor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NSS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국내 간호환경을 반영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려고 한다. 추후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본 연구는 ENSS를 국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번역한 한국어판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에서 1980년대에 개발된 측정도구를 주로 사용하거나 일부 연구에서는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사용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최근 의료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간호사의 역할 확대와 변화를 후)구성 신뢰도를">구성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개발되어 이미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ENSS 도구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해 새로운 집단에 대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연구이므로 인구집단의 변화에도 도구가 타당한가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25].
  • 연구목적은 ENSS를 국내 적용하기 위해서 번역한 한국어판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종사자에게 직무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이유는? 특히 의료종사자는 의료의 분업화와 전문화, 의료기술과 정보의 발달, 최첨단 의료기술의 도입, 대형병원 증설과 병원간 경쟁심화, 대상자의 건강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높은 요구와 기대 등과 관련되어 새로운 역할과 업무로 부담과 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4]. 간호사는 매일 대상자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 평가하는 특수 업무를 수행하면서 항상 긴장상태에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일한 다[5].
본 연구에서 이성간호사와 근무하는 것에 대한 항목이 삭제된 이유는? 본 연구에서 두 번째 모형분석에서 제외된 9개의 문항 중 ENSS 개발당시 추가된 문항이지만 본 연구에서 삭제된 2문항은 ‘이성간호사와 근무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낄 때’와 ‘환자 중증도 분류 업무를 할 때’이었다. 국내에서 남자 간호사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나 여전히 소수를 차지하여 대상자의 44.9%가 이성 간호사와의 근무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자 중증도 분류 업무’는 국내의 경우 간호사의 일반적인 역할로 보기는 어려워 최종적으로 해당 문항을 제외하였다. 이러한 간호업무 내용은 원도구가 개발된 간호현장과 국내의 보편적인 간호 상황이 다소 상이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어 삭제하였고, 이는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인 NSS의 문항구성은? ENSS는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로 NSS를 보완하여 French et al이 개발하였다[15]. NSS는 Lazarus와 Folkman 의 스트레스 심리모형을 근거로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 레스의 주요 원인과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된 도구로총 34문항, 7개 하부영역으로 죽음과 임종, 의사와의 갈등, 환자와 가족의 정서적 요구에 대한 불충분한 준비, 지지부족, 간호사와의 갈등, 업무과중, 치료의 불확실성으로 구성된다[18]. ENSS는 NSS를 보완하여 시대 변화로 다양하고 확대된 간호사 업무, 환자의 기대와 요구변화와 간호행정부 관련 간호사 업무 스트레스를 충분히 반영하고 다양한 간호 상황에 대한 초점집단연구와 확정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개발되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ECD. Society at a Glance 2009: OECD Social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2009. p. 122-123. 

  2. Abbas SG, Farah A, Apkinar-Sposito C, Measuring the immeasurable: An overview of stress and strain measuring instruments. Mediterran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13;4(10):480-489. http://dx.doi.org/10.5901/mjss.2013.v4n10p480 

  3. Sauter S, Murphy L, Colligan M, Swanson N, Hurrell J, Scharf F, et al. Stress at work. DHHS (NIOSH) Publication. Cincinnati, O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9 January. Report No.: 99-101. 

  4. Heo K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organiz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005;12:21-45. 

  5. Golubic R, Milosevic M, Knezevic B, Mustajbegovic J. Workrelated stress, education and work ability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0):2056-2066. http://dx.doi.org/doi: 10.1111/j.1365-2648.2009.05057.x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5. Sejong: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2015. p. 12-13. 

  7. Kim JH, Jo HS.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83-92.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2.83 

  8. Lee MH. Analysis of studies on work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6;8(1):180-200. 

  9. Choi SR, Jung, HS. An analysis of studies on clinical nurses' job stress: A comparative stud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4;13(1):40-47. 

  10. Yi YJ, Lee BI. Research trend of nurses' job stress: A comparative stud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13-23.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13 

  11. Lee BI. Trend analysis of nurses' stress based on last 10 years of international researc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1):27-36.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1.27 

  12. Kim MJ, Gu MO.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KanhoHakhoe Chi. 1984;14(2):28-37. 

  13.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14. Cho WS, You MS. Problems and prospects of nursing research on job stre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63-75.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1.63 

  15. French SE, Lenton R, Walters V, Eyles J. An empirical evaluation of expanded nursing stress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0;8(2):161-178. 

  16.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3;24(4):385-396. 

  17. Cooper CL, Sloan SJ, Williams S. Occupational stress indicator: management guide. Windsor: NFER-Nelson; 1988. 

  18. Gray-Toft P, Anderson JG. The nursing stress scal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Journal of Behavioral Assessment. 1981;3(1):11-23. 

  19. Lambert VA, Lambert CE, Itano J, Inouye J, Kim S, Kuniviktikul W, et al. Cross-cultural comparison of workplace stressors, ways of coping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Thailand, South Korea and the USA (Hawaii).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4;41:671-68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4.02.003 

  20. McGilton KS, McGillis HL, Wodchis WP, Petroz U. Supervisory suppor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long-term care nursing staff.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37:366-372. http://dx.doi.org/10.1097/01.NNA.0000285115.60689.4b 

  21. Milutinovic D, Golubovic B, Brkic N, Prokes B. Professional stress and health among critical care nurses in Serbia. Archives of Industrial Hygiene and Toxicology. 2012;63(2):171-180. http://dx.doi.org/10.2478/10004-1254-63-2012-2140 

  22. Galdikiene N, Asikainen P, Balciunas S, Suominen T. Do nurses feel stressed?: A perspective from primary health car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4;16(3):327-334. http://dx.doi.org/10.1111/nhs.12108 

  23. Principal components and factor analysis: Complete example of FA. In: Tabachnick BG, Fidell LS, editor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Pearson/Allyn & Bacon; 2007. p. 651-670.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cited 2013 J une 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25. Harrington 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ocket guides to social work research method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 78-99. 

  26. Hair JE,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2009. p. 51-92. 

  27. Fornell C,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18:39-50. 

  28. Spreng RA, MacKenzie SB, Olshavsky RW. A reexamination of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1996;60:15-32. 

  29. Lee YJ.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general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leave the job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3. 

  30. Yau SY, Xiao XY, Lee LYK, Tsang YK, Wong SL, Wong KF. Job stress among nurses in China. Applied Nursing Research. 2012;25:60-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