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유형 성격여부에 따른 중년 직장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iddle-aged Workers between Type D and Non-type D Personality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1, 2013년, pp.47 - 56  

임은주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노준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은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middle-aged workers'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thods: 214 middle-aged workers participated in survey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2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D유형 성격을 중심으로, 이에 따른 중년 직장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 직장인의 건강증진을 저해하는 잠재적인 요인으로서의 D유형 성격을 규명하고 추후 중년 직장인의 건강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유형 성격여부에 따른 중년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D유형 성격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중년기 건강과 다가오는 노년기를 성공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D유형 성격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기 직장인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D유형 성격여부에 따른 중년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란? 스트레스는 정신적 ․ 신체적 질환을 초래하는 주된 요인이며, 이러한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심리적 특성이 성격이다(Park, 2010). 최근 건강문제와 관련된 대표적인 변수로 대두되는 D유형 성격은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제한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성격 특성으로(Son, 2008; Denollet, 2005)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결정요인으로 이해되고 있다 (Denollet, 2000; Park, 2010).
D유형 성격의 특징은? 스트레스는 정신적 ․ 신체적 질환을 초래하는 주된 요인이며, 이러한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심리적 특성이 성격이다(Park, 2010). 최근 건강문제와 관련된 대표적인 변수로 대두되는 D유형 성격은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제한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성격 특성으로(Son, 2008; Denollet, 2005)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결정요인으로 이해되고 있다 (Denollet, 2000; Park, 2010). D유형 성격을 소유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되어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고(Chang, 2012; Denollet, 2000) 타인과의 관계에 제한적이고 긴장감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대해 수동적으로 대처하며 자신의 건강상태 인식수준이 낮아(Mols & Denollet, 2010) 자기관리가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년 직장인들에게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심리사회적으로는 과중한 업무에 따른 과로와 스트레스, 가족 부양의 중압감, 승진 가능성 감소 등으로 더 이상의 성취보다는 하강과 은퇴를 감지하고 불안감을 경험한다(Jung, 2011). 최근 장기불황으로 인하여 청년실업, 비정규직의 확대, 고용불안으로 승진서열 파괴와 정년시기 단축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중도퇴직에 대한 상시적인 불안까지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기는 중년 직장인들에게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여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S. H., Park, J. H., & Oh, E. G. (2011). A comparison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type D personality and non-type D personal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 (4), 337-345. 

  2. Chang, H. K. (2007). The study of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us, marital adjustment and stres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3), 413-421. 

  3. Chang, H. K. (2012).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 (4), 339-347. 

  4. Denollet, J. (2000). Type D personality: A potential risk factor refined.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9, 225-266. 

  5. Denollet, J. (2005).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67, 89-97.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4), 1149-1160. 

  7. Gilmour, J., & Williams, L. (2012). Type D personality is associated with maladaptive health-related behavior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 (4), 471-478. 

  8. Jung, Y. M. (2011). Life stress,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3), 1279-1291. 

  9. Kim, S. J., & Hur,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D personalit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an, 25 (3), 35-48. 

  10. Lee, J. H. (1995).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The Yeungnam University Medical Journal, 12 (2), 292-305. 

  11. Lim, H. E., Lee, M. S., Ko, Y. H., Park, Y. M., Joe, S. H., Kim, Y. K., et al. (2011).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6 (1), 116-123. 

  12.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 397-422. 

  13. Michal, M., Wiltink, J., Grande, G., Beutel, M. E., & Brahler, E. (2011). Type D personality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jor psychosocial stressors and increased health care utiliza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4 (1), 396-403. 

  14. Mols, F., & Denollet, J. (2010). Type D persona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 status, mechanisms of disease, and work-related problem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8, 9. from http://www.hqlo.com/content/8/1/9 

  15. Mols, F., Martens, E. J., & Denollet, J. (2010). Type D person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mpaired health status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Heart, 96 (1), 30-35. 

  16. Mommersteeg, P. M., Denollet, J., & Martens, E. J. (2012). Type D personality,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health outcom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0, 35-42. 

  17. Naslindh-Ylispangar, A., Sihvonen, M., Sarna, S., & Kekki, P. (2008). Health status, symptoms and health counselling among middle-aged men: Comparison of men at low and high risk.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2 (4), 529-535.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2008). Mental disorders of the employee insured in Korea. Seoul: Author. 

  19. Park, H., & Jung, H. S. (2012). Health behaviors by job stress level in large-sized company with male and female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6), 852-862. 

  20. Park, Y. R. (2010). Type-D personal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5), 2567-2578. 

  21. Pelle, A. J., Schiffer, A. A., Smith, O. R., Widdershoven, J. W., & Denollet, K. (2009). Inadequate consultation behavior mod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D personality and impaired health status in chronic heart failure.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42 (1), 65-71. 

  22. Son, H. M. (2008). Verification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ype D scale-14.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5 (3), 312-320. 

  23. Spindler, H., Kruse, C., Zwisler, A. D., & Pedersen, S. S. (2009). Increased anxiety and depression in Danish cardiac patients with a type D personality: Cross-validation of the type D scale (DS14).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6, 98-107. 

  24. Suh, Y. O. (1994).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rdiness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2 (1), 119-130. 

  25. van Bon-Martens, M. J. H., Denollet, J., Kiemeney, L. A. L. M., Droomers, M., de Beer, M. J. A., de Goor, L. A. M., et al. (2012). Health inequalities in the Netherlands: A cross- sectional study of the role of type D (distressed) personality. Bio- MedicalCentral Public Health, 12 (46), 1-10. 

  26. Walker, S. N., Sechrist, K. S.,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76-81. 

  27. Williams, L., O'Connor, R. C., Howard, S., Hughes, B. M., Johnston, D. W., Hay, J. L., et al. (2008). Type D personality mechanisms of effect: The role of health-related behavior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4, 63-69. 

  28. Willis, B. L., Gao, A., Leonard, D., Defina, L. F., & Berry, J. D. (2012). Midlife fitness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conditions in later lif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7, 1-8. 

  29. Zhao, N.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tres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rough job characteris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30. Zung,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