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Measuring Too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3, 2021년, pp.138 - 147  

김민영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최순옥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하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을 위한 검증된 도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간호사의 간호환경 특성을 반영하면서 그 사용이 검증된 도구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한국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간호사 총 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고찰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하였으며, IMB(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모델을 적용하여 개념 틀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로서의 자아개념(2 문항), 병원생활관리(4 문항), 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5 문항),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관리(3 문항), 근무적응(2 문항)의 5가지 요인 16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모델 적합도는 346.23 (��<.001), PNFI는 .60, PCFI는 .63으로 허용 기준을 충족했으며 RMSEA는 .10이었다. GFI .88, CFI .85, IFI .85는 기준치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항목은 Cronbach의 �� .85로 안정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는 간호 실무 측면에서 간호사의 건강 증진 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것이며 간호사의 건강 증진 행동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ing tool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Korean nurses. This would address the lack of a proven tool that reflects the nature of the nurses' nursing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30 nurse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A literature 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된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개념과 간호사의 간호환경 특성을 반영하고, 또한 건강증진행위를 시작하고 지속하기 위한 건강 요인으로 건강에 대한지식 및 정보, 동기, 행위기술을 개념화하여 선행연구 [12, 13]에서 건강증진을 설명하기 위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정보-동기-행위기술모델인 IMB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한 이론적 개념에 부합하는 건강증진행위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9년 1월∼12월까지 간호사 총 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의 실질적 간호환경을 반영하고 그 특성과 내용을 바탕으로 한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을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확대하고 정착화하기 위해 우선시 되는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IMB 모델을 기반으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통합적으로 사정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춰 간호사에게 적합한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을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서 그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정되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을 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될 수 있다.

가설 설정

  • 지식은 행위관련 신념이나 태도의 변화를 유발하고 그 변화가 지식의 추구를 유발하며, 이러한 학습된 행동은 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행동변화를 유도하게 된다[16]. 따라서 간호사의 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는 간호사로서의 자아개념의 동기와 서로 상관성을 가지면서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관리와 병원생활관리의 행위기술에 서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 동기, 행위기술은 상호적 관계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근무적응을 위한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하는 경로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Y. Lee, B. I. Kim, K. S. Park, K. H. Yang, W. S. Jun,g E.N. Jung,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Soomoonsa. 2017, pp.487. 

  2. World health organization. Achieving health for all, [internet]. [cited 1998],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whr/1998/media_centre/executive_summary6/en/ (accessed Dec. 24, 2010) 

  3. K. S. Han, J. H. Kim, K. M. Lee, J. S. Park,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3, No.4, pp.430-437, 2004. 

  4. K. Y. Jung, H. J. Lee, Y. I. Lee, J. I. Kim, Y. G. Kim, "The effects of job stress for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6, No.2, pp.158-167, 2007. 

  5. J. H. Kim, M. Y. Hyun, S. Y. Kim,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8, No.2, pp.219-231, 2009. 

  6. H. K. Kim, T. Y. Lee, K. H. Kim,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hifting Nurses on the Health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1, No.3, pp.1126-1132,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3.1126 

  7. A. K. Kim,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ent tool of the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8, No.3, pp.540-549, 1998. DOI: http://dx.doi.org/10.4040/jkan.1998.28.3.540 

  8. N. Walker, Susan, R. Sechrist, Karen, J. Pender, Nola, Health promotion model-Instuments to measu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HLPL II], 1995. http://hdl.handle.net/2027.42/85349 

  9. Y. H. Choi, S. Y. Kim,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ent tool of the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7, No.3, 601-613, 1997. 

  10. M. Y. Chen, K. James, E. K. Wang, "Comparison of health-promoting behavior between Taiwanese and American adolescents: A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4, No.1, pp.59-69, 2007.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5.11.015 

  11. M. H. Kim, J. S. Lee,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the clinical nurse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 pp.209-218,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09 

  12. W. A. Fisher, D. Fisher, J. Harman, "The information-motivation behavioral skills model: A general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promoting health behavior", Social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healthand illness, pp.82-106, 2003. DOI: http://dx.doi.org/10.1002/9780470753552.ch4 

  13. C. Y. Osborn, L. E. Egede, "Validation of an Information-6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of diabetes self-care(IMB-DSC)"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9, pp.49-54, 2010. DOI: http://dx.doi.org/10.1016/j.pec.2009.07.016 

  14.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th ed. Los Angeles CA:Sage publications, 2012. 

  15. J. D. Fisher, W. A. Fisher, Changing AIDS-risk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Vol.111, No3, pp.455-474, 1992.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11.3.455 

  16. P. A. Kulbok, J. H. Baldwin, "From preventive health behavior to health promotion: advancing a positive construct of health", Advanced Nursing Science, Vol.1 No.4, pp.50-64,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12272-199206000-00007 

  17. R. K. Gable, M. B. Wolf,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2nd ed).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lisher, 1993. 

  18. S. N. Walker, D. M. Hill-Polerecky,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el: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s", Nursing Research, 36(2), 76-81, 1996. 

  19.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lain writing act compliance report, 2012. 

  20. Health and Social Policy.Research on health promotion policy in major OECD countries, 2006 

  21. H. S. Youn, Y. Y. Choi, K. H. Lee, "Evaluati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nurses working in Kyungnam Area",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6(3), 306-318, 2003. 

  22. A. Martens, J. Greenberg,J. B. Allen, "Self-esteem and autonomic physiology: Parallelsbetween self-esteem and cardiac vagal tone as buffers of threa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12, pp.370-389, 2008. DOI: http://dx.doi.org/10.1177/1088868308323224 

  23. J. H. Im, E. H. Lee, H. J. Hyun, J. H. Kil, J. S. Kim, Y. S. Park, "A study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1, No.2, pp.143-148, 2009. 

  24. A. F. Muhlenkamp, J. A. Sayle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ositive health practices", Nursing Research, Vol.35, No.6, pp.334-338, 1986.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07 

  25. K. J. June, E. S. Choi, M. J. Park, "Effect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mental health of office work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2, No.3, pp.228-239, 2013. 

  26. V. Malinauskiene, P. Leisyte, M., Romualdas, K. Kirtiklyte, "Associations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sychosocial conditions, lifestyle factors and health resources among hospital nurses in Lithuan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7, No.11, pp.2383-2393,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685.x 

  27. W. B. Walsh, N. E. Betz, Tests and asssessment(3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 1995. 

  28. D, Arthu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 No.6, pp.712-719, 1992.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2.tb01969.x 

  29. I. M. Rosenstock, V. J., Strecher, M. H. Becker, "Social learning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5, No.2, pp.175-183, 1998. 

  30. K. H. Suh, "Effects of gender, family alcohol use, and motivation for alcohol use on drinking behavior", Alcohol and Health Behavior Research, Vol.3, No.2, pp.205-213, 2002. 

  31. H. R. Ko, J. H. Kim,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 No.3, pp.13-423,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