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위생에 대한 병원간호사의 지식과 신념
Knowledge and Beliefs about Hand Hygiene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3, 2013년, pp.198 - 207  

정선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hand hygien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nd belief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32 nurses working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0.0 pr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손위생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신념의 정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손위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과 신념 정도의 차이와 지식과 신념의 관계를 파악하여 손위생 증진 중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손위생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신념의 정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손위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과 신념 정도의 차이와 지식과 신념의 관계를 파악하여 손위생 증진 중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신념을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이상의 연구결과는 간호사의 의료 관련감염예방을 위한 손위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어떤 중재전략이 필요한지 시사한다. 상대적으로 경력이 낮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손위생을 이행함으로써 의료 관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전문직업성 강화와 연계시켜 행위신념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역할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규범신념을 강화하며 건조한 피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호사의 통제신념을 강화함으로써 손위생 이행률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관련감염은 어떤 문제를 야기시키는가?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중증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 스테로이드제, 항암제, 면역억제제, 방사선 치료 등 환자의 면역 저하를 초래하는 치료방법 적용과 인체 내 삽입기구의 사용 증가 및 항생제 내성균 확산으로 의료 관련감염이 증가하고 있다(Gardam, Lemieux, Reason, van Dijk, & Goel, 2009). 의료 관련감염은 환자의 회복 지연, 재원 일수의 증가, 항생제 내성 균주의 전파 등으로 의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환자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9a).
의료 관련감염이란? 의료 관련감염은 입원 뿐 아니라 외래진료 중환자, 보호자, 의료종사자 또는 방문객이 의료와 관련하여 이환된 감염을 의미한다(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1).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중증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 스테로이드제, 항암제, 면역억제제, 방사선 치료 등 환자의 면역 저하를 초래하는 치료방법 적용과 인체 내 삽입기구의 사용 증가 및 항생제 내성균 확산으로 의료 관련감염이 증가하고 있다(Gardam, Lemieux, Reason, van Dijk, & Goel, 2009).
의료 관련감염의 발생 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의료 관련감염의 발생 원인은 내인성 감염원과 외인성 감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미생물이 감염원으로 작용하여 비교적 예방이 어렵다 (Sarginson, Taylor, Reilly, Baines, & Van Saene, 2004). 이에 비해 외인성 감염은 다른 환자, 직원, 방문객과 같은 주변사람들이나 의료기구, 약품과 같이 환경이 감염원이 되므로 (Gilomen et al., 2011; Hernandez-Castro et al., 2011) 의료인이 주의하거나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 의료 관련감염의 30%는 예방이 가능한 외인성 감염으로 보고되므로(Haley, Quade, Freeman, & Bennett, 1980)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하는 감염예방행위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jzen, I. (2005).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2. Allegranzi, B., & Pittet, D. (2009). Role of hand hygiene in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preven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3, 305-315. http://dx.doi.org/10.1016/j.jhin.2009.04.019 

  3. Askarian, M., Memish, Z. A., & Khan, A. A. (2007).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among Iranian nurses, midwives and students regarding standard isolation precautions. Infection Control of Hospital Epidemiology, 28, 241-244. 

  4. Backman, C., Zoutman, D. E., & Marck, P. B. (2008).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hygiene interventions and the incidence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33-347. http://dx.doi.org/10.1016/j. ajic.2007.08.007 

  5. Doron, S. I., Kifuji, K., Hynes, B. T., Dunlop, D., Lemon, T., Hansjosten, K., et al. (2011). A multifaceted approach to education, observation, and feedback in a successful hand hygiene campaign. Joint Commission on Journal of Quality and Patient Safety, 37, 3-10. 

  6. Erasmus, V., Brauwer, W., van Beeck, E. F., Oenema, A., Daha, T. J., Richardus, J. H., et al. (2009).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reasons for poor hand hygiene among hospital workers: Lack of positive role models and of convincing evidence that hand hygiene prevents cross-infection. Infection Control of Hospital Epidemiology, 30, 415-419. http://dx.doi. org/10.1086/596773 

  7. Gardam, M. A., Lemieux, C., Reason, P., van Dijk, M., & Goel, V. (2009).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s patient safety indicators. Healthcare Papers, 9 (3), 8-24. 

  8. Gilomen, S., Ruef, C., Held, L., Cathomas, A., French, L. E., & Hafner, J. (2011). Successful control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utbreak at a university department of dermatology.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5, 441-446. http://dx.doi.org/ 10.1111/j.1468-3083.2010.03810.x 

  9. Gould, D. J., Hewitt-Taylor, J., Drey, N. S., Gammon, J., Chudleigh, J., & Weinberg, J. R. (2007). The Clean Your Hands Campaign: Critiquing policy and evidence bas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5, 95-101. 

  10. Haley, R. W., Quade, D., Freeman, H. E., & Bennett, J. V. (1980). The SENIC project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SENIC Project): Summary of study desig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1 , 472-485. 

  11. Her, S., Kim, I. S., & Kim, K. H. (2008).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 375-385. 

  12. Hernandez-Castro, R., Arroyo-Escalante, S., Carrillo-Casas, E. M., Moncada-Barron, D., Alvarez-Verona, E., Hernandez-Delgado, L., et al. (2011). Outbreak of candida parapsilosi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health care workers source.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9, 783-787. http://dx.doi. org/10.1007/s00431-009-1109-7 

  13. Kim, Y. H., Jeon, S. S., Jeong, I. S., Jang, C. H., Kim, J. H., & Her, J. A. (2003). The effect of handwashing improving program and MRSA carrier screening program on the MRSA infection rates in a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3, 686-692. 

  14.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1).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 Seoul: Hanmibook. 

  15. Kwon, G. J., Joo,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s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 , 182-192. 

  16. Park, S. Y., Shin, D. S., Lee, H. G., & Kim, H. S. (2008). Compliance with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related factor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153-160. 

  17. Picheansathian, W., Pearson, A., & Suchaxaya, P. (2008). The effectiveness of a promotion program 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nosocomial infection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 315-321.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8.00699.x 

  18. Pittet, D. (2004). The Lowbury lecture: Behaviour in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58, 1-13. 

  19. Rupp, M. E., Fitzgerald, T., Puumala, S., Anderson, J. R., Craig, R., Iwen, P. C., et al. (2008). Prospective, controlled, cross-over trial of alcohol-based hand gel in critical care units. Infec tion Control of Hospital Epidemiology, 29, 8-15. http://dx. doi.org/10.1086/524333 

  20. Sarginson, R. E., Taylor, N., Reilly, N., Baines, P. B., & Van Saene, H. K. (2004). Infection in prolonged pediatric critical illness: A prospective four-year study based on knowledge of the carrier state. Critical Care of Medicine, 32, 839-847. 

  21. Sax, H., Uckay, I., Richet, H., Allegranzi, B., & Pittet, D. (2007). Determinants of good adherence to hand hygiene among healthcare workers who have extensive exposure to hand hygiene campaigns. Infection Control Hospital Epidemiology, 28, 1267-1274. 

  22. Seo, J. Y. (2005). The impact of normative factors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ternalization process and social influence process. Research Psychology, 4, 91-122. 

  23. Wandel, D. D., Maes, L., Labeau, S., Vereecken, C., & Blot, S. (2010). Behavioral determinants of hand hygiene compliance in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 230-240. http://dx.doi.org/10.4037/ajcc2010892 

  24. Whitby, M., McLaws, M. L., & Ross, M. W. (2006). Why healthcare workers don't wash their hands: A behavioral explanation. Infection Control Hospital Epidemiology, 27 , 484-492.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a). WHO guidelines for hand hygiene in health care. Geneva, Switzerland: Author.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b). Hand hygiene knowledge questionnaire for health-care workers (revised August 2009) to assess knowledge on the essential aspects of hand hygiene. Retrieved August 1, 2010, from http://www.who. int/gpsc/5may/tools/evaluation_feedback/en/ 

  27. Yang, N. Y., & Choi, J. S. (2009). Influenza A (H1N1) regional hospital nurse's knowledg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1, 593-6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