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지역별 재배 현황 및 원맥 특성 평가 II. 농가 수집 원맥 특성 평가
Current Regional Cultural Situation and Evaluation of Gr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II. Grain Characteristics Collected in Domestic Wheat Cultivar Grown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8 no.3, 2013년, pp.239 - 252  

김경훈 (국립식량과학원) ,  강천식 (국립식량과학원) ,  서용원 (고려대학교) ,  우선희 (충북대학교) ,  허무룡 (경상대학교) ,  추병길 (전북대학교) ,  이춘기 (국립식량과학원) ,  박광근 (국립식량과학원) ,  박철수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밀을 재배하는 전국 175농가를 대상으로 2년 동안 농업형질과 원맥 특성을 조사 한 결과, 간장, 수장, 경수와 이형주율은 년차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비량이 많았던 남부지역에서 재배된 밀의 간장이 중북부 지역 보다 길었으며, 추비시기는 간장에 영향이 없었지만, 3월 중순 이후에 늦게 추비를 준 농가의 수장은 다른 농가에 비하여 길었으나 경수는 감소하였다. 추비 횟수는 농업형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형질과 마찬가지로 원맥 특성도 연차간 변이가 있었으며, 남부지역에서 재배된 밀은 중북부지역에서 재배된 밀에 비하여 천립중이 높았으며, 리터중은 낮았으며, 전라북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낮은 회분 함량과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냈으며, 전라남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비시기가 리터중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천립중과 회분 및 단백질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추비 횟수도 원맥 특성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비량에 따라 간장이 증가하고, 천립중과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수장과 회분함량은 시비량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은 천립중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회분 함량은 천립중 및 리터중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간장이 증가할수록 천립중은 증가하고 리터중은 감소하였으며, 수장은 천립중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시비량이 간장 및 원맥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품종별 용도에 맞는 밀 품종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적정 시비기술에 대한 농가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국산 밀의 생산성 증진과 품질 향상 및 균일성 확보를 위해서는 용도별 가공적성에 적합한 품종에 대한 집단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철저한 생산 관리와 체계적인 수확 후 관리 구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grain properties of Korean wheat of 175 farmers in nationwide for two years, 2010/2011 and 2011/2012, were evaluated to support basic data for improving grain quality of Korean wheat and enhancing Korean wheat consumption. Agronomic characteristics, including culm leng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산 밀 생산 단체가 주축으로 생산ᆞ유통을 주체적으로 관리하고자 전국적인 국내산 밀 자조금 단체인 (사)국산밀산업협회가 2010년 출범하였지만, 개별 생산 농가의 생산 관리 실태, 수확 후 관리 및 건조ᆞ저장 조건에 대한 자료와 원맥 품질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실험실과 연구소 포장 단위 시험에서 밀의 수확 시기별 수분 함량 및 품질 특성에 대한 조사가 수행 중에 있지만 농가 실증 수준에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이나 평가는 이루어지지 못하여 국내산 밀의 품질 향상 및 대량 소비를 위한 품질 균일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산 밀 대표 조직이 활성화 되어 국내산 밀의 품질 경쟁력 확보를 통한 소비확대를 위한 생산 농가의 원맥 품질 평가를 통한 개별 농가의 영농지도 자료 수집 및 D/B화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01, Fig. 4(c)), 단백질 함량과는 상관이 없었다. 기비량이 증가할수록 간장이 길어졌는데(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산 밀 브랜드인 참들락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광주광역시 88개 농가를 대상으로 생산 및 품질 관리를 통하여 생산된 원맥 및 밀가루 품질은 일반 농가산 밀에 비하여 회분함량이 낮고 적정 단백질 함량과 밝은 색택을 유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산 관리한 국내산 밀 브랜드인 “참들락”의 경우 수입산 중력분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은 약간 높았지만 회분 함량이 낮고 밀가루와 국수 색택이 밝 았으며, 국수의 식감이 부드러워 수입산과 대등한 품질을 나타냄으로써 “참들락”은 품질 관리를 통한 국내산 밀 품질향상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Kang et al., 2008a; 2008b).
국산밀 소비를 저해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7%로 매우 낮다(MIFAFF, 2011). 국산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산밀 재배면적 확대 뿐 만 아니라 소비 활성화가 중요한데 국산밀 소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1) 국산밀을 이용한 많은 가공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실수요자 위주의 소규모 거래로 소비 확대에 한계가 있으며, 2) 수입산 밀에 비하여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용도별 특성에 맞는 고품질의 다양한 원맥 생산 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고, 3) 생산 시설 및 기반 시설이 미흡하여 대량 소비처에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되지 않고 있으며, 4) 수확 후 품질 관리를 위한 저장 가공시설이 부족하다(Kim, 2011).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국산밀의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1)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와 시장에서 환영 받고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신제품 개발이 필요하며, 2) 안정적인 국산밀 재배 면적 확대를 위한 광역 지역별 생산 관리 체계의 일원화를 통한 균일한 원맥의 연간 공급 체계를 갖추어야 하고, 3)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정부 보급종 확대와 가공적성에 맞는 다양한 품종 육성과 재해저항성 증진에 대한 연구 강화가 필요하며, 4) 유통기능 강화와 경영체 지원이 필요한데이를 위한 건조 저장 시설을 확충하고, 국산밀 수매 자금 지원 및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한 농기계 임대 사업 지원이 필요하다(Kim, 2011).
국산밀 소비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국산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산밀 재배면적 확대 뿐 만 아니라 소비 활성화가 중요한데 국산밀 소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1) 국산밀을 이용한 많은 가공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실수요자 위주의 소규모 거래로 소비 확대에 한계가 있으며, 2) 수입산 밀에 비하여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용도별 특성에 맞는 고품질의 다양한 원맥 생산 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고, 3) 생산 시설 및 기반 시설이 미흡하여 대량 소비처에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되지 않고 있으며, 4) 수확 후 품질 관리를 위한 저장 가공시설이 부족하다(Kim, 2011).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국산밀의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1)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와 시장에서 환영 받고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신제품 개발이 필요하며, 2) 안정적인 국산밀 재배 면적 확대를 위한 광역 지역별 생산 관리 체계의 일원화를 통한 균일한 원맥의 연간 공급 체계를 갖추어야 하고, 3)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정부 보급종 확대와 가공적성에 맞는 다양한 품종 육성과 재해저항성 증진에 대한 연구 강화가 필요하며, 4) 유통기능 강화와 경영체 지원이 필요한데이를 위한 건조 저장 시설을 확충하고, 국산밀 수매 자금 지원 및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한 농기계 임대 사업 지원이 필요하다(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 : St. Paul (ed) 9th edn. AACC. 

  2. Ahn, T-J. 2010. Baekseol, will take the lead in Korean wheat business. In : Symposium of establishment of post-harvest system for improvement of Korean wheat qual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20-25. 

  3. Blumenthal, C., F. Bekes, P. W. Gras, E. W. R. Barslow, and C. W. Wrigley. 1995. Identification of wheat genotypes tolerant to the effects of heat stress on grain quality. Cereal Chem. 72 : 539-544. 

  4. Blumenthal, C., I. L. Batey, C. W. Wrigley, and E. W. R. Barslow. 1990a. Involvement of a novel peptide in the heat shock response of Australian wheats. Aust. J. Plant Phyiol. 17 : 441-449. 

  5. Blumenthal, C., I. L. Batey, C. W. Wrigley, and E. W. R. Barslow. 1990b. Gliadin genes contain heat-shock elements: Possible relevance to heat-induced changes in grain quality. J. Cereal Sci. 11 : 185-187. 

  6. Chang, H. G., C. S. Kim, D. M. Hah, and H. S. Shin. 1986. Effect of genetic-environmental interaction on quality of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 31-37. 

  7. Ciaffi, M., B. Margiotta, G. Colaprico, E. De Stafanis, D. Sgrulletta, and D. Lafiandra. 1995. Effect of high temperatures during grain filling on the amount of insoluble proteins in durum wheat. J. Genet. Breed. 49 : 285-296. 

  8. Dupont, F. M. and S. B. Altenbach. 2003. Molecular and biochemical impa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grain development and protein synthesis. J. Cereal Sci. 38 : 133-146. 

  9. Ha, Y. W., H. S. Song, C. K. Lee, and C. H. Cho. 1990. Protein of major germplasms for high-protein wheat breeding. Korean J. Crop Sci. 35 : 393-402. 

  10. Halverson, J. and L. Zeleny. 1988. Criteria of wheat quality. pp. 15-45 : in Y. Pomeranz ed. Wheat :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11. Johnson, J. A., M. N. A. Khan, and C. R. S. Sanchez. 1972. Wheat cultivars, environment and breadmaking quality. Cereal Sci. Today 17 : 323-326. 

  12. Kang, C-S., H-S. Kim, Y-G. Cheong, J-G. Kim, K-H. Park, and C. S. Park. 2008a.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commercial flour produced Korean wheat and imported wheat. Korean J. Food Preserve. 15 : 687-693. 

  13. Kang, C-S., C. S. Park, J-C. Park, H-S. Kim, Y-G. Cheong, K-H. Kim, K-J. Kim, K-H. Park, and J-G. Kim. 2010a.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I. Flour characteristics. Korean J. Breed. Sci. 42 : 61-74. 

  14. Kang, C-S., C. S. Park, J-C. Park, H-S. Kim, Y-G. Cheong, K-H. Kim, K-J. Kim, K-H. Park, and J-G. Kim. 2010b.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II. End-use properties. Korean J. Breed. Sci. 42 : 75-86. 

  15. Kang, C-S., K-S. Park, J-C. Park, Y-G. Cheong, J-G. Kim, and C.S Park. 2008b. Flour and end- use quality of "Charmdlerak" wheat, A Korean wheat. Korean J. Food Preserve. 15 : 219-224. 

  16. Kang, M-S., C-K. Lee, D-S. Park, B-C. Ku, K-G. Park, J-M. Ko, J-N. Hyun, J-C. Kim, J-H. Nam, D-Y. Suh, S-J. Kim, Y-S. Yun, J-J. Hwang, and J-G. Kim. 2006. A new white wheat cultivar, "Jokyoung" for bread making. Korean J. Breed. 38 : 139-140. 

  17. Kim, S. 2011. Domestic wheat industry development plan. In : Forums for fostering industrial farming complex. Jeonju, Korea, pp. 35-40. 

  18. Kim, T-G. 2012. Japanese water industry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s. In : Korean wheat industry symposium. Korean wheat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15. 

  19. Lee, C-K. 2010. Post-harvest manage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omestic wheat. In : Symposium of establishment of post-harvest system for improvement of Korean wheat qual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6-10. 

  20. Lee, C-K., J-H. Nam, M-S. Kang, B-C. Ku, J-C. Kim, K-G. Park, M-W. Park, and Y-H. Kim. 2002. Current wheat quality criteria and inspection systems of major wheat producing countries. Korean J. Crop Sci. 47(S) : 63-94. 

  21. Lee, C-K., H-H. Park, M-S. Kang, K-G. Park, B-C. Koo, H-Y. Heo, J-C. Kim, J-H. Nam, M-W. Park. Y-G. Kim, and J-B. Kwon. 2004. A new high quality and early maturing wheat cultivar, "Jopummil". Korean J. Breed. 36 : 55-56. 

  2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1. Major Statistic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p. 32-101. 

  23. Park, C.S., H-Y. Heo, M-S. Kang, C-K. Lee, K-G. Park, J-C. Park, H-S. Kim, H-S. Kim, J-J. Hwang, Y-G. Cheong, and J-G. Kim. 2008b. A new white wheat variety, "Jeok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scab. Korean J. Breed. Sci. 40 : 308-313. 

  24. Park, C.S., H-Y. Heo, M-S. Kang, C-K. Lee, K-G. Park, J-C. Park, H-S. Kim, H-S. Kim, J-J. Hwang, Y-G. Cheong, and J-G. Kim. 2008a. A new white wheat variety, "Baeg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Korean J. Breed. Sci. 40 : 26-30. 

  25. Park, C.S., H-S. Kim, D-H. Kim, J-N. Hyun, and C-S. Kang. 2012. Environmental impacts of Korean and CIMMYT wheat lines on protein characteristics and bread making quality. Korean J. Crop Sci. 57 : 1-11.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3. Agricultural Research Standard. pp. 271-309. 

  27. Ryu, I. S., H. K.Shin, C. H. Cho, and S. H. Bae. 1977.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quality. Korean J. Crop Sci. 22 : 59-64. 

  28. SAS. 2000. SAS User's Guide. The Institute: Cary, NC. 

  29. Seo, H-S. 2010. Proposal to extend the domestic wheat production. In : Symposium of establishment of post-harvest system for improvement of Korean wheat qual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1-5. 

  30. Song, H. S. and H. S. Lee. 1993. Selection efficiency for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in progenies of hybridized wheat. Korean J. Crop Sci. 38 : 8-14. 

  31. Song, H. S., J-H. Nam, H-H. Park, H-Y. Heo, and M-W. Park. 1997. A new high milling, early maturing and white grain with good bread quality wheat variety "Keumkangmil". Korean J. Breed. Sci. 29 : 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