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국산밀 재배 현황 및 원맥 특성 평가. I. 국산밀 재배 농가의 지역별 재배 현황 조사
Current Regional Cultural Situation and Evaluation of Gr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I. Survey of Production Practices in Korean Wheat Cultivar Growers by Reg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9 no.1, 2014년, pp.1 - 15  

강천식 (국립식량과학원) ,  김경훈 (국립식량과학원) ,  서용원 (고려대학교) ,  우선희 (충북대학교) ,  허무룡 (경상대학교) ,  추병길 (전북대학교) ,  현종내 (국립식량과학원) ,  김기종 (국립식량과학원) ,  박철수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밀을 재배하는 전국 175농가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재배 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평균 재배 경력과 재배면적은 7.7년과 2.4~3.3 ha였으며, 재배 품종은 금강밀이 주로 재배되었고 조경밀과 백중밀이 남부지역에서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파종은 대부분 농가에서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에 휴립광산파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비는 2종 복합비료를 이용하여 평균 29.7 kg/10a이상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추비는 2월 하순~3월 상순에 질소비료를 1회 시용하는 농가가 주를 이루었는데, 농가 현장에서 표준시비량에 비해 과량의 비료가 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적정 시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재배 밀의 출수는 기상 영향으로 2011년은 5월 상순, 2012년은 4월 하순에 이루어졌으며, 밀 수확은 대부분 농가에서 6월 중순에 이루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면적 확대와 밀 재배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하여, 수발아붉은곰팡이병 저항성 증진과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는 재해저항성 증진 품종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보급종 생산 및 확대가 필요하며, 지역별 밀 재배 농가의 규모화에 대한 지원과 재배 관리 체계 확립과 현장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ltivation situation of Korean wheat of 175 farmers in nationwide for two years, 2010/2011 and 2011/2012, was analyzed to obtain basic data for extension cultivated area and enhancing the self-sufficiency ratio of Korean wheat. Compared to the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the normal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실제 재배 농가에 대한 재배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전국 175농가를 대상으로 2년 동안 국산밀을 재배한 농가를 대상으로 재배 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 · 분석하여, 개별 농가의 영농 지도 자료로 활용하고, 국산밀 자급률 제고를 위한 재배 확대와 국산밀 품질 향상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별 밀 재배 농가의 규모화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국산밀 재배면적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근거는? 참여농가의 국산밀 파종법을 분석한 결과(Table 5), 휴립광산파로 파종한 농가가 전체 농가의 82.3%로 144 농가가 파종을 하였으며, 휴립 세조파는 충청북도 옥천군의 전체 13농가와 충청남도 서천군 7 농가가 파종을 하였으며, 경상남도 사천시 농가는 2011년에는 7농가가, 2012년에는 8농가가 휴립 세조파로 파종하였다. 강원도 원주시, 경기도 파주시와 전라남도 구례군과 영암군은 한 농가씩 휴립 세조파로 파종을 하였다.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와 전라북도 농가는 모두 휴립광산파로 파종을 하였다. 년차별로는 2011년과 2012년에 휴립 광산파 파종이 각각 144농가와 145농가, 휴립 세조파 파종 종가가 각각 31농가와 30농가로 차이가 없었다. 트랙터부착 줄뿌림 파종기를 이용한 세조파 (20×5cm)는 휴립 광산파 (150×120cm)에 비하여 생육 상태가 균등하기 때문에 34%이상 증수 효과가 있고 노동력 절감이 40% 정도 가능하지만(RDA, 2011), 실제 농가에서는 파종의 편이성 때문에 휴립광산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트랙터 부착 동시 작업기를 활용한 휴립세조파의 경우 파종량이 180~200 kg/10a로 휴립광산파(150 kg/10a) 보다 파종량은 다소 늘어났지만 수량은 5~22% 증수하고, 작업시간이 8.7시간/ha으로 관행 재배(17시간/ha)에 49% 노동력이 절감된다(Kim et al., 2012a).
2010년 기준 국산 밀 재배 면적은? 7%로 매우 낮아 국내에서 소비되는 밀은 미국, 캐나다와 호주 등에서 연간 226만 톤이 식용으로 수입되고 있다(MIFAFF, 2011). 2010년 기준으로, 국산 밀 재배 면적은 13천 ha이며, 생산량은 39천 톤이다. 지역별로는 전남(5.
2010년 기준 국산 밀 생산량은? 7%로 매우 낮아 국내에서 소비되는 밀은 미국, 캐나다와 호주 등에서 연간 226만 톤이 식용으로 수입되고 있다(MIFAFF, 2011). 2010년 기준으로, 국산 밀 재배 면적은 13천 ha이며, 생산량은 39천 톤이다. 지역별로는 전남(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wang, Y. S. 2012. Agriculture/agricultural policy trends and improvement of food self-sufficiency rate. In : Korean wheat industry symposium. Korean wheat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20-35. 

  2. Kang, M. S., C. K. Lee, D. S. Park, B. C. Ku, K. G. Park, J. M. Ko, J. N. Hyun, J. C. Kim, J. H. Nam, D. Y. Suh, S. J. Kim, Y. S. Yun, J. J. Hwang, and J. G. Kim. 2006. A new white wheat cultivar, "Jokyoung" for bread making. Korean J. Breed. 38:139-140. 

  3. Kim, H. S., Y. G. Cheong, K. W. Lee, K. H. Kim, H. H. Park, and K. J. Kim. 2012a. Optimum amount seed using simultaneous working machinery for saving cost and labor. In : Agricultural technology dissemin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4. Kim, H. S., H. H. Park, Y. J. Kim, Y. G. Cheong, and K. J. Kim. 2012c. Optimum amount of eco-friendly fertilizer in wheat cultivation. In : Agricultural technology dissemin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5. Kim, K. J. 2012. Development of Korean wheat cultivars. In : Korean wheat industry symposium. Korean wheat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35-40. 

  6. Kim, T. G. 2012. Japanese water industry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s. In : Korean wheat industry symposium. Korean wheat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15. 

  7. Kim, Y. J., H. S. Kim, H. H. Park, C. S. Kang, Y. G. Cheong, K. W. Lee, and K. J. Kim. 2012b. Optimum harvest time of Korean wheat cultivars, cvs. Keumkang and Jokyung, southern resion. In : Agricultural technology dissemin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8. Korean Seed & Variety Service (KSVS). 2012. 2012 government supply kinds of crops of rice varieties characteristics table. 

  9. Lee, C. K., Y. Y. Lee, C. S. Kang, H. S. Kim, Y. G. Cheong, S. C. Heo, and W. H. Kim. 2011. Variation in quality of wheat flour with different harvest time in Korean wheat, cv. Keumkang. In : Agricultural technology dissemin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0. Lee, C. K., H. H. Park, M. S. Kang, K. G. Park, B. C. Koo, H. Y. Heo, J. C. Kim, J. H. Nam, M. W. Park, Y. G. Kim, and J. B. Kwon. 2004. A new high quality and early maturing wheat cultivar, "Jopummil". Korean J. Breed. 36:55-56. 

  11. Lee, K. W., H. S. Kim, and Y. G. Cheong. 2011. Management performance analysis for improving wheat grower's. In : Agricultural technology dissemin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1. Major Statistic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p. 32-101. 

  13. Park, C. S., H. Y. Heo, M. S. Kang, C. K. Lee, K. G. Park, J. C. Park, H. S. Kim, H. S. Kim, J. J. Hwang, Y. G. Cheong, and J. G. Kim. 2008b. A new white wheat variety, "Jeok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scab. Korean J. Breed. Sci. 40:308-313. 

  14. Park, C. S., H. Y. Heo, M. S. Kang, C. K. Lee, K. G. Park, J. C. Park, H. S. Kim, H. S. Kim, J. J. Hwang, Y. G. Cheong, and J. G. Kim. 2008a. A new white wheat variety, "Baegjoong" with high yield, good noodle quality an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Korean J. Breed. Sci. 40 : 26-30.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1. Wheat Cultivation. Agricultural Research Standard. p. 105-195. 

  16. Seong, M. H. 2012. International grain prices rise and the short-term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KREI Agrucultural Policy Focus 33 : 1-33. 

  17. Song, H. S., J. H. Nam, H. H. Park, H. Y. Heo, and M. W. Park. 1997. A new high milling, early maturing and white grain with good bread quality wheat variety "Keumkangmil". Korean J. Breed. Sci. 29: 5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