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읽기, 쓰기, 향유 체험을 중심으로 본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분석
An analysis of Adolescents' media literacy: How do they read, write, and enjo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8, 2013년, pp.3777 - 3785  

신나민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  안화실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 미디어는 21세기 정보화 사회 청소년들의 학습과 생활 전반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기능한다. 본 연구는 급격히 변모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미디어 수용 및 활용 경험을 중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미디어(메시지) 읽기, 쓰기, 향유 체험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서울, 경기 지역 10개교에서 수집된 12-18세 중고등학생 1,036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된다: 1) 청소년들의 일상적인 미디어 이용은 핸드폰 사용, TV 보기, 인터넷 사용, mp3 플레이어듣기,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하기, 라디오 듣기, 비디오/DVD 보기 순으로 나타났다; 2) 미디어 활용에서의 성차 분석 결과 남학생은 인터넷 매체에서 그리고 여학생은 핸드폰, SNS 매체에서 더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웹 정보의 비판적 읽기 및 수용에 관해서는 성차는 발견되지 않았고 중고생 간의 학교급별 차이는 유의미했다; 4) 온라인 컨텐츠 제작과 온라인을 통한 자기표현 및 사회적 참여 활동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미디어 향유체험의 하루 평균 시간은 주말 게임, 주중 게임, TV 보기, 인터넷 사용 순으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TV매체에 있어서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그리고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올드 미디어와 뉴미디어 간의 컨버전스 현상과 청소년의 성별, 연령별 미디어 활용 행태에 관한 통합적인 논의를 제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adolescents' media literacy in terms of reading, writing, and enjoying media or messages. For the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garnered from 1,036 students enrolled in 5 middle and 5 high schools,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the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청소년들이 어떤 미디어를 얼마나 읽고 쓰고 향유하는지 그 체험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이란 중, 고등학생을 지칭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미디어 활용 실태, 온라인 정보에 대한 비판적 수용 및 사회적 참여, 그리고 컨텐츠 제작과 향유 체험을 파악하고자 중고등학생 1,036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매체는 핸드폰이었고 인터넷보다 TV 보기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2. 웹 사이트의 정보 수용에 얼마나 비판적인가?
  • 4. 온라인을 통한 사회적 참여에 얼마나 적극적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유는 무엇인가? 향유(enjoyment)란 “능동적인 자세로 참여적 수행 과정을 통해서 텍스트를 주체적으로 즐기는 것”을 가리킨다[17]. 즉, 향유자는 미디어 읽기와 쓰기, 메시지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발적으로’ 미디어를 즐기기 때문에 ‘향유’ 개념은 개인의 미디어 활용 행태를 설명하는 중요한 구인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미디어읽기와 쓰기를 논할 때 어떤 변화를 고려하는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미디어읽기, 쓰기를 논할 때는 다음 두 가지 변화가 고려된다. 첫째는 텍스트 성격의 변화이다. 즉, 언어적 문식성(literacy)에 기반했던 텍스트의 의미가 다중 매체가 요구하는 다중 언어적 성격을 띠면서 문자 기반의 텍스트가 음향, 영상 등을 포함하는 ‘복합양식’(multimodal)으로 변모했다는 점이다[13,14]. 둘째는 메시지 생산자와 소비자의 권력관계 변화이다. 이는 기존의 작가-독자가 가졌던 수직적인 양상에서 대중이 생산과 소비 활동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수평적인 양상으로 권력이 이양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4,15].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어떤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가? 그 변화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점은 미디어 수용자관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20]. 초기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청소년을 미디어의저급한 문화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보호주의(protectionism)관점에 기반 했다면,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청소년에게 미디어를 비판적,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즐기며 내용을 창조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권력부양(empowerment)의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20]. 특히 후자의 관점은 구성주의 학습이론, 영상 리터러시 전문가, 미디어 예술 교육자 및 청소년 연구자들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 O'Neill, Media literacy and communication rights.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sette, June, Vol. 72, pp.323-338, 2010. 

  2.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Internet Media@Education, Seoul: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08. 

  3. D. Kellner & J. Share, Toward critical media literacy: Core concepts, debates, organizations, and policy. Discourse: Studies in the cultural politics of education: Routledge, Vol. 26, No. 3, pp.369-386, 2005. 

  4. F. Roger, Shift from media to literac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8, No. 1, pp.30-34, 2004. DOI: http://dx.doi.org/10.1177/0002764204267248 

  5. C. Scheibe, A deeper sense of literacy: Curriculumdriven approaches to media literacy in the K-12 classroom.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8, No. 1, pp.60-68, 2004. DOI: http://dx.doi.org/10.1177/0002764204267251 

  6. Yoo Young Man, e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A new competency in a digital era, Human Resource Development Journal, Vol.8, pp.83-107, 2001. 

  7. Ju, Yong Wan, Hwang, Yong Suok, Kim, Yang Eun Cho, Yeong Ki, The Analysis of Internet Literacy Effect through Education of Producing and Using Multimedia UCC),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3, No. 4, pp.27-39, 2010. 

  8. Baek, Sun Geun, Kim, Dong Il, Kim, Mi Ryang, Kim, Hye Sook, Park, So Hwa, Kim, Se Won, Kim, Mee Reem, Yu, Ye Lim, An Evaluation Study on the ICT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0, No. 1, pp. 175-198, 2009. 

  9. H. Martens, Evalua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Concepts, theorie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 2, No. 1, pp.1-22, 2010. 

  10. Kwon, Sung Ho,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Literacy Curriculum and Learning Resourc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3, No. 2, pp. 3-30, 1997. 

  11. T. Koltay, The media and the literacie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Media, Culture & Society, Vol. 33, No. 2, pp. 211-221, 2011. DOI: http://dx.doi.org/10.1177/0163443710393382 

  12. European Commission, A European approach to media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2007, http://eur-lex.europa.eu/LexUriServ/LexUriServ.do?uriC OM:2007:0833:FIN:EN:PDF (accessed March, 25, 2013) 

  13. Jeong, Hyeon Seon, Rethinking Media Literacy as Capabilities of Language, Culture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Korean Studies, Vol. 25, pp.71-101, 2006. 

  14. D. Gibbons,. Developing an ethics of youth media production using media literacy, identity, and modality.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 4, No. 3, pp.256-265, 2012. 

  15. Kim, Yang Un, Approach to literacy on media education-Concerning media language's concep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er, Vol. 27, pp.427-450, 2005. 

  16. P. Aufderheide, Media literacy: A report of the National Leadership Conference on Media Literacy. Aspen, CO: Aspen Institute. 1993. 

  17. Park, Ki-su Animation Narrative Structure and Strategies, Non Hyung, 2004. 

  18. Kim, Dae Hee, A Study on the Expansion of a Concept of Literacy - Focused on media literacy. The research of language and literature, Vol. 34, No. 1, pp.477-500, 2006. 

  19. D. Buckingham, Digital media literacies: Rethinking media education in the age of the Internet. Research in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Vol. 2, No. 1, pp.43-45, 2007. DOI: http://dx.doi.org/10.2304/rcie.2007.2.1.43 

  20. R. Hobbs, The state of media literacy: A response to Potte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55, No. 3, pp.419-430, 2011. DOI: http://dx.doi.org/10.1080/08838151.2011.597594 

  21. R. Hobbs, A review of school-based initiatives in medial literacy educatio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8, No. 1, pp.42-59, 2004. DOI: http://dx.doi.org/10.1177/0002764204267250 

  22. G. Jacobs, Fast times and digital literacy: Participation roles and portfolio construction within instant messaging.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Vol, 38, No. 2, pp.171-196, 2006. DOI: http://dx.doi.org/10.1207/s15548430jlr3802_3 

  23. S. C. Banerjee & K. Greene, Analysis versus production: Adolescent cognitive and attitudinal responses to antismoking interven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6, No. 4, pp.773-794,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460-2466.2006.00319.x 

  24. Han, Jung Sun & Oh, Jung Sook, A developmental research of Digital Literacy Index for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petencies: A framework for Digital Literacy, KERIS Issue Report,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6. 

  25. Min, Kyung Seok, Suh, Soon Shik, Vertical Scaling of ICT Literacy Tests for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5, No.3, pp.1-19, 2009. 

  26. Kim, Seon-Tae, Nam, Young Ho, A study on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of an elementary school pupi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2, No. 2, pp.151-161, 2008. 

  27. Ahn, Jung Im, Seo, Youn-Kyung, Kim, Sungmi, A Study on the Generation Gap in Media Literacy Awareness in Social Media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Broar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6, No. 6, pp.129-176, 2012. 

  28. Offcom, UK Children's media literacy, Research Document, Office of Communication, 2011. 

  29. Shin, Na Min, Lee, Jeong Hoon, Lim Mi Ryoeng, Students' use of mobile phones at school: Should it be allowed or no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6, No. 3, pp. 277-304, 2008. 

  30.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2 White paper of National Information, Ministry of Security and Pubic Administration, 2012. 

  31. Jenkins, H.,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32. ETS, 2006. ICT Literacy Assessment Preliminary Findings, Educational Testing Services, www.ets.org/ictliteracy (accessed June, 10, 2013). 

  33. Kim, Min Ha, Ahn, Mi Le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hecklist,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Vol. 9, No. 1, pp.159-192, 2003. 

  34.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Adolescents, Statistics Kore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