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 도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ggestion and Evaluation of Planning Element in Smart Green Multi Complex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8, 2013년, pp.4039 - 4047  

박천보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국내외 기준을 토대로 평가함으로써 탄소배출 완화에 기초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관련개념을 고찰하고, 계획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기본전제로서 탄소완화 방안을 탄소흡수 및 탄소저감 등 두 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기존의 생태환경과 관련된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계획요소의 평가를 위해 영향성, 용이성, 경제성을 중심으로 스마트 그린 효과를 검토 한 후 계획요소별 적용 우선순위를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평가결과를 토대로 탄소완화방안에 기초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a development direction of planning element for smart green multi complexes through suggestion and evaluation focused on carbon mitigation and adaptation. For the researc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as a theoretical study and planning el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자 이론측면에서는 기후변화 및 탄소배출 저감과 관련된 국내의 주요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실행측면에서는 국토해양부와 환경부의 계획지침중 관련내용을 종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 완화에 기초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국내외 기준을 토대로 평가하였는데,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본 장에서는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계획요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동안 국내외에서 시행되어온 에너지 및 탄소저감과 관련된 제도에서 제시된 평가지표를 종합하였다. 또한 평가지표는 국토·도시 및 단지·건축적 지표로 구분하고 지표별로 도시계획, 단지건축 그리고 환경 자원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 본 절에서는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요소를 계획측면별로 세분하고 상기에서 제시한 영향성, 용이성, 경제성을 토대로 개별요소의 스마트 그린 효과를 평가하며, 탄소완화 방안에 기초하여 우선순위에 기초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기로 한다.
  • 한편 국토해양부는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종합적인 도시계획 방향을 제시한「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수립지침」을 제정·고시한 바 있다. 본 지침에서는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별로 저탄소 녹색정장 수립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도시계획 수립 시에 온실가스 배출현황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온실가스 감축요인을 분석하고, 토지 이용, 녹지, 환경보존, 교통물류, 광역시설, 신·재생 에너지계획 수립 시에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제시하도록 하였다[9].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국내외 기준을 토대로 평가함으로써 탄소배출 완화에 기초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제로도시란 무엇인가? 탄소제로도시란 과밀화된 도시의 생활에서 탄소발생을 Zero화하는 것이지만 이를 완전히 실현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만큼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탄소중립도시란 도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저감방안을 실현한 온실가스 배출 완화도시를 일컫는다. 또한 스마트 그린 도시 첨단의 탄소중립 지향형 도시의 의미로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 및 설계, 녹색교통계획, 순환형 도시에너지 공급체계 등 환경에너지 기술을 접목한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를 의미하고 있다[1].
녹색도시의 목표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탄소배출 저감과 관련된 도시개념으로 녹색도시(Green City), 탄소제로도시(Zero Emission City), 탄소중립도시(Carbon Neutral City), 혹은 스마트 그린 도시(Smart Green City)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녹색도시는 녹색환경이 결합된 저탄소 도시로서 녹지와 오픈스페이스의 확보 하에 직주근접 지향적 혼합토지이용을 추구하고 공공교통과 보행자교통을 중시하며, 도심 재활성화와 근린주구단위의 복합개발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에서 탄소흡수 방안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탄소흡수 방안은 도시하천, 주변 녹지, 도시공원, 호수 주변 등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대상이 되며, 단지녹화, 입체녹화, 그린네트워크, 바람길, 물순환 제어기술 등이 적용된다[3]. 그러나 탄소배출 저감의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투자와 관리가 요구되는 만큼 태양열, 풍력, 지열, 바이오 등을 활용한 대체에너지와 건축물의 단열 및 친환경 생태 조성기법 등이 병용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K. Kim, The Land and Housing Institute, "Low Carbon, Green Cit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Pilot Project", pp. 49-50, 2010 

  2. S. Rahmstorf and H. J. Schellnhuber, "Der Klimawandel", 2007 

  3. J. K. Kim, The Land and Housing Institute, "Low Carbon, Green Cit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Pilot Project", p. 6, 2010 

  4. J. J. Le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lanning Indicator for Carbon Neutral on the District Unit Pla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44 n.4, 2009 

  5. J. H. Kim, "A Site Plan for Low Carbon Green Residential Complex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Hyupsung University, 2010 

  6. H. S. Park, "A study on the Planning Indicators of Low Carbon New Town for Climate Chang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2010 

  7. K. M. Kim, "Urban Planning System and Climate Change : in terms of energy self-sufficiency", Graduate School of CNU, pp. 36-41, 2012. 

  8. The Land and Housing Institut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ow Carbon Green City Model", 2009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Low Carbon Green City Planning Criteria", 2010 

  1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 Study on Environmental Evaluation of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pp. 146-153, 2008 

  1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Sustainable New-town Planning Criteria", 2010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Low Carbon Green City Planning Criteria", 2011 

  13. KIAT(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2012 

  14.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Green City Index", Siemens AG, 2011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GBC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2012 

  16.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Building and Energy Rating System", 2013 

  17. W. S. Je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ow carbon Emission Housing Estate through SBtool", Graduate School of CNU, pp. 24-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