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서비스 수요와 소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Demand and Fire Service For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9, 2013년, pp.4485 - 4491  

김진동 (호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신상열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본 연구는 효율적인 병원전 응급의료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광역자치단체의 구급서비스 수요와 소방력, 그리고 양자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특별시 광역시, 도 등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이송환자의 수/주민수, 구급차의 수/주민수, 구급대원의 수/주민수, 이송환자의 수/ 구급차의 수, 이송환자의 수/구급대원의 수와 같은 변수를 측정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4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특별시 광역시 지역(수도권 지역)과 도 지역(비수도권 지역)의 평균 이송환자 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특별시 광역시 지역(수도권 지역)과 도 지역(비수도권 지역)의 소방력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특별시 광역시 지역(수도권 지역)과 도 지역(비수도권 지역)의 구급차 1대당 이송환자수와 구급대원 1인의 이송 환자 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구급차 1대당 이송환자의 수는 전반기와 후반기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구급대원 1인당 이송환자 수는 전반기와 후반기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ergency medical service demands, fire service force of local governm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for developing effectiv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this, this study was measured the ratio of the number of patients transport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119구급대가 지역의 환경에 따른 구급서비스 수요와 소방력의 차이를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지역별로 구급서비스 수요와 소방력이 상이할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가설의 채택여부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의 환경에 따라 구급서비스 수요와 소방력, 구급차와 구급대원이 이송하는 환자수가 다를 것이라는 전제하에 지역별(특별시·광역시 지역과 도 지역, 수도권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 차이를 분석을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이송환자의 수는 지역별(시·도, 수도권·비수도권)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 연구가설 2 : 소방력은 지역별(시·도, 수도권·비수도권)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 연구가설 3-1 : 구급차 1대당 이송환자의 수는 지역별(시·도, 수도권·비수도권)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 연구가설 3-2 : 구급대원 1인당 이송환자의 수는 지역별(시·도, 수도권·비수도권)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 연구가설 4-1 : 전반기와 후반기의 구급차 1대당 이송환자의 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 연구가설 4-2 : 전반기와 후반기의 구급대원 1인당 이송환자의 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업무가 소방조직의 중요한 업무가 된 계기는 무엇인가? 소방공무원은 화재를 예방·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 ·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 구급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공무원이다[1]. 소방조직이 1983년 소방법을 개정하여 구급업무를 소방업무로 법제화하고 1984년부터 구급장비와 인력을 갖추어 구급업무의 기반을 마련한 이후로[2] 구급업무는 소방조직의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최근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 도시화, 시설의 고밀도와고층화로 대형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3], 새로운 위험 등이 발생하여 구급서비스의 수요도 변화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의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공무원인가? 소방공무원은 화재를 예방·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 ·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 구급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공무원이다[1]. 소방조직이 1983년 소방법을 개정하여 구급업무를 소방업무로 법제화하고 1984년부터 구급장비와 인력을 갖추어 구급업무의 기반을 마련한 이후로[2] 구급업무는 소방조직의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소방공무원의 현 상황은 어떠한가? 이러한 구급 업무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국제금융위기로 재난에 대한 투자의 위축과 한동안 대형재난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조정차원에서 인력과 기구의 많은 변화가 없었다[6]. 따라서 소방의 현실이 서비스임에도 급증하는 수요에 대해 생산적 대응이 부족하며 장비의 노후, 전문성의 부족 등으로 119 구급대원들도 힘든 상황이다[7].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적정한 소방력의 보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H. Kim, J. Y. Lee, D. O. Kim, H. J. Hyun, D. H. Byeon, S. G. Rho, J. H. Lee, "Study on Subjectivity of Fire Fighter"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0 pp. 4475-4483,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0.4475 

  2. K. M. Choi, "An analysis on the prehospital care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quads in gyeonggi area and improvement methods," Korean J Emerg Med Ser, 12(3), pp. 55-69, 2008. 

  3. M. Lee, "A study for general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s in disaster," Korean J Emerg Med Ser, 10(1), pp. 23-39, 2006. 

  4. S. Y. Park,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fire budg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3. 

  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 Servic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Statistical data, 2010. 

  6. Junganilbo, pp. 5, 2003.2.21. 

  7. W. J. Lee, K. M. Kim, J. H. Ch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go-states and the Burnout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y Ego-gram," Korean J Emerg Med Ser, 15(3), pp. 19-30, 2011. 

  8. J. J. Choi, "The study on the deployment of fire-service force in korea," Jeonnam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1. 

  9. H. S. Baek, "Determinants of the demand for public ambulance calls metropolitan area," Korean J Emerg Med Ser, 12(3), pp. 129-135, 2008. 

  10. J. M. Koh, G. W. Kim, Y. T. Chung, "A study on activation device of 119 emergency care," Korean J Emerg Med Ser, 11(1), pp. 27-40, 2007. 

  11. S. S. Park, J. S. Park,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satisfaction with transport services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and private transport agent in some area," Korean J Emerg Med Ser, 12(1), pp. 5-15, 2008. 

  12. K. S. Kim, "A study on Cognition about 119 Rescue? First Aid Team" Korean J Emerg Med Ser, 6(6), pp. 141-152, 2002. 

  13. B. R. M. Park, "A study on the Advancement Plan Emergency Medical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