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서비스 지역별 출동특성 및 출동거리와 현장도착시간과의 관계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119 Ambulance Dispatch, the Distance and Response Time to the Scen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482 - 492  

이경열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문준동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최은숙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구급차 동승실습으로 구축된 구급활동일지를 바탕으로 응급환자의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간의 출동거리와 현장도착시간 간에 의미있는 영향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대학 4학년 학생 총 31명이 서울, 대전, 충남 및 세종지역의 소방서에서 4주간의 실습으로 얻어진 총 1133개의 구급활동일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평가 중 맥박, 호흡수, 산호포화도는 모든 지역에서 80%이상을 실시하고 있었다. 중증도 분류에 있어서는 대전이 응급으로 표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는 모든 지역에서 단순한 기본적인 처치가 대부분이었다. 신고부터 현장까지 도착하는 시간은 서울이 평균 5분 40초(${\pm}$2분 25초)로 가장 빨랐고, 충남세종은 10분 이상 걸리는 경우도 35.7%에서 나타났다. 주된 신고 이유는 서울과 대전에서는 질병이었고, 충남은 손상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실습지역에 따라 실습내용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실습기준에 대한 표준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빠른 시간내에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을 수 있는 119 안전센터의 배치나 구급차 배치를 고민하고, 지역별 구급의 질 적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119 ambulance dispatc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and response time to the scene.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conducted 119 running sheets with 1,321 patients who had been transferred to the hospital by 119 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구급차동승실습 중에 작성한 구급활동일지를 분석하여 구급활동의 내용을 알아보고,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 그리고 충남세종의 지역별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학생들의 실습 전 준비 및 실습지 선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라 출동거리와 현장도착시간 간에 의미있는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여 지역별 신속한 출동체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대학 4학년 학생들이 2013년 6월24일부터 7월19일까지 4주간 구급차 동승실습을 하면서 작성한 구급활동일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는 병원 전 처치에 대한 현장 경험을 위해 교과과정 중에 구급차동승실습을 수행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구급차동승실습을 할 때 출동이 있을 때마다 구급활동실습 기록지를 작성하게 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지역별 실습활동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실습지 결정 및 지역별 신속한 출동체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구급차동승실습 중에 작성한 구급활동일지를 분석하여 구급활동의 내용을 알아보고,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 그리고 충남세종의 지역별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학생들의 실습 전 준비 및 실습지 선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라 출동거리와 현장도착시간 간에 의미있는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여 지역별 신속한 출동체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 구급대원은 어떻게 분류되며, 각각 어떤 일을 맡는가? 적절한 병원전처치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할수 있기 때문에 병원전처치는 신속 및 정확해야 하고 전문처치가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병원전 처치를 주로 담당하는 소방의 구급대원은 크게 구급교육을 이수한자, 2급 응급구조사, 그리고 1급 응급구조사로 구분되나, 이중 구급교육을 이수한 자는 주로 구급차의 운전요원으로 활동하게 되고, 2급 응급구조사는 기본응급처치만을 할 수 있으며, 전문응급처치를 담당하는 것은 1급 응급구조사이다.
국내 대학에서 실시하는 구급활동 실습은 어떤 허점이 존재하는가? 그러나 실제적으로 구급차동승실습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구급활동에 참여하고 어떠한 응급처치들을 관찰 또는 수행했었는지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미국의 경우 구급차동승실습이 실제 처치건수 등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3],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응급처치 건수가 기준이 아니라 대부분 일정한 기간을 중심으로 약 2-5주간 실시하고 있어 실습 후 어떤 학생들은 실습지역에 따라서 많은 출동건수로 인하여 다양한 환자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어느 경우는 하루에 한 두건의 출동경험이 있거나 출동을 했지만 비응급환자를 이송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은 무엇인가? 모든 응급환자들이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기 위해서는 숙련된 1급 응급구조사가 모든 구급대에 배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교육하는 것은 대학의 몫이라할 수 있다.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현재 41개 대학이 있으며, 병원 전 처치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구급차동승실습을 필수 이수과목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즉 학내에서 학습한 이론과 술기들을 병원전 현장에서 환자에게 직접 관찰하고 경험함으로써 현장능력을 키워나가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소방방재청, 2013년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 2013. 

  2. 최은숙,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구급차동승실습지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01-113, 2013. 

  3. 이정일, 한국과 미국의 4년제 응급구조학과와 Paramedic 교육과정 비교,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남, 2011. 

  4. 김순심, "한국의 응급구조과 교육과정,"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7-59, 2009. 

  5. 엄태환, "일부 구급대의 응급처치활동 분석- 구급활동일지를 중심으로,"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9권, 제1호, pp.101-109, 2005. 

  6. 최길순, 김윤경,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한 구급활동일지,"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63-174, 2007. 

  7. 유순규, 엄태환, "신고 시간대에 따른 출동거리와 현장도착 시간 간의 상관 관계,"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4권, 제3호, pp.5-11, 2010. 

  8. M. I. V. Roman, A. G. de Miguel, P. C. Garrido, J. C. Medina, A. J. Carlos, G. Diaz, and E. C. Torres, "Epidemiologic Intervention Framework of a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9, No.3, pp.344-354, 2005. 

  9. R. A. Silverman, S. Galea, S. Blaney, J. Freese, D. J. Prezant, R. Park, R Pahk, D. Garon, S. Yoon, J Epstein, and N. J. Richmond, "The vertical response time': barriers to ambulance response in an urban area,"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14, No.9, pp.772-778, 2007. 

  10. K. Peleg and J. S. Plisk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imulation model of EMS: reducing ambulance response time,"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22, No.3, pp.164-170, 2004. 

  11. 조유리, 이경열, "119 구급대원의 노인응급처치 현황 및 노인에 대한 지식,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9-35, 2014. 

  12. 송은혜, 이경열, "119 구급대원의 영유아에 대한 응급처치 현황 및 응급처치 지식과 수행 자신감 비교,"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9-33, 2015. 

  13. 최은숙,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구급차동승실습지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01-11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