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탄소 도시계획의 단계별 평가지표 설정 및 적용 연구 -도시계획 수립, 설계 및 운영, 유지·관리 단계를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accordance with the Planning Stages of Low-Carbon City -in relevance with the stage of urban planning establishment, design and operation of urban structure, management and mainten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9, 2013년, pp.4560 - 4571  

오덕성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  성재욱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서정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전 세계적으로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도시가 저탄소 구조로 변화되어야하며 계획을 수립하는 초기 단계부터 도시구조의 설계 및 운영, 유지 관리단계로 이어지는 도시계획의 전 과정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저탄소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초기 단계에서 유지 관리의 전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평가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8개 부문, 30개의 세부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 내외의 선진사례의 적용 실태분석과 관련 전문가들의 설문을 통한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저탄소 도시계획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정책 및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지역적 특색에 맞는 계획의 도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설계 및 운영 단계에서는 이를 구체화 시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며, 유지 관리단계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관리방안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 global issue of climate change is growing and greenhouse gases occur in most cities. To solve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the city should be changed to low-carbon structure. Low-carbon city planning is a step-by-step plan from the initial establishment, from design and operation of urb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고야는 2050년까지 CO₂ 배출을 줄이기 위한 로드맵을 설정하고 저탄소 독립형 기술, 저탄소 기술 시스템 및 저탄소 지역 시스템의 혼합을 통해 이룩하고자 한다. 또한 이 로드맵의 나고야 지역 에너지 관련 기업체에 소개되었으며 그들의 평가를 받아 적합성과 효과를 평가받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계획 및 설계를 평가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초기 계획 단계에서 부터 설계·운영, 유지·관리 단계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통합적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도시계획이란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추구하며, 탄소배출을 원천적으로 줄이며, 배출된 탄소는 최대한 흡수하여 도시 자체가 저탄소 상태인 도시를 계획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계획 수립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설계 및 운영, 유지관리까지 전과정 걸쳐 적합한 저탄소 요소의 도입으로 체계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고 도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도시를 계획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 7)을 살펴보면, 기존 도시계획수립 지침의 부문인 도시공간구조, 수 환경, 에너지, 대기환경 등의 내용과 같은 물리적 도시구조설계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온실가스감축목표제시 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부터 목표설정과 온실가스감축계획 구체화를 실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저탄소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초기 단계에서 유지․관리의 전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사례분석의 내용을 토대로 계획단계의 평가지표별로 저탄소 도시계획의 적정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본적으로 ‘0점: 실행하지 않음, 1점: 계획이 있음, 2점: 구체적인 목표·전략을 설정함, 3점: 실행 중에 있음, 4점: 실행 후 유지, 관리까지 이루어지고 있음’의 5점 척도로 평가를 실시하되 항목별로 평가 척도 및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둘째, 탄소배출을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는 요소 도입을 통한 설계 및 운영방안을 계획하고 실시한다. 셋째, 도시의 지속적 운영 및 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시민 및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아산시는 자족적 거점도시로 아산시는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 유치와 그린비즈니스 클러스터를 구축,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및 인력 육성, 아산시 생태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도시 내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각 단계별로 저탄소 도시계획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표적인 저탄소 도시계획에 적용하여 국내 저탄소 도시계획의 단계별 접근방법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평가 결과(1차, 2차)를 바탕으로 저탄소 도시계획의 단계별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 저탄소 도시계획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소비효율 증대 필요성 등과 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 및 정책 강화가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에너지 소비효율 증대 필요성 등과 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 및 정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에너지소비가 집중된 도시단위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배출 저감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탄소 도시계획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에 에너지소비가 집중된 도시단위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배출 저감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책의 일환으로 국제사회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과 정책을 제시하는 개념으로 저탄소 도시계획을 내세우고 있다.
에너지 소비효율 증대 필요성 등과 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 및 정책 강화가 요구됨에 따라 마련되는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에너지 소비효율 증대 필요성 등과 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 및 정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에너지소비가 집중된 도시단위의 에너지 절약 및 탄소배출 저감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책의 일환으로 국제사회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과 정책을 제시하는 개념으로 저탄소 도시계획을 내세우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uidelines for low-carbon green city planni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9. 

  2. Philine Gaffron, Ecocity, European Commission, 2005. 

  3. Takashi Onishi and Hikaru Kobayashi, Low carbon cities, pp. 148-151, Gakugei Shuppan-Sha, 2011. 

  4. K.I. Wang, S.C. Yoo, Urban Planning Guidance for Low Carbon, Green City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29, No.87, pp.65-88, 2009. 

  5. S.Y. Kim, Low & Zero Carbon Energy Town, Seminar of Urban/Architecture progress direction for Low carbon green growth era,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09. 

  6. J.K. Kim, et al. Development of a "Low Carbon, Green Cit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Pilot Project, Land & Housing Institute, 2011 

  7. J.J. Lee, S.H.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lanning Indicator for Carbon Neutral on the District Unit Plan,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44, No.4, pp119-131, 2009 

  8. B.S. Byeon, Analysis on foreign case and strategy of Energy-efficient Low-carbon City, Seminar of Energy-efficient Low-carbon Cit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9 

  9. I.S. Yeo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Model for Planning System of Low-Carbon Green City on Climate Chang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 Doctor's Thesis, 2011. 

  10. J.C. Park, J.Y. Kim, Urban Planning Measurements in Pursuit of a Low-carbon Green City,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2, No.1, pp.17-52, 2010. 

  11. K.I. Wang, A study on policy and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y of Low-carbon green city, Seminar of Urban/Architecture progress direction for Low carbon green growth era,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09. 

  12. Beatley, Green Urbanism, Island Press, 2000 

  13. Freiburg green city, City of Freiburg im Breisgau, 2009 

  14. The 2050 Nagoya Strategy for Low-carbon City, City of Nagoya, 2009 

  15. A Plan on the Strategies for Green City Daejeon, Daejeon Metropolitan City, 2009 

  16. Low carbon green city plan of Asan city, Asan c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