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복합산업단지 계획요소 도출 및 적용 사례분석
An Analysis of Planning elements and Case study of Sustainable Mixed-use Industrial Park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8, 2013년, pp.4058 - 4067  

성재욱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오덕성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20세기 산업화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산업과 주거가 분리 개발되면서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고, 새로운 산업 성장에 따라 산업단지의 복합화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복합산업단지의 조성을 위하여 이론 고찰을 통하여 복합산업단지의 개념을 파악하고 선행연구와 전문가FGI를 통해 계획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국내 외 사례의 적용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측면별 시사점을 도출하고 계획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국내 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urse of the 20th century, a separation of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issued several urban problems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lso new industry growth needed mixed-use industrial park. Also, necessity to make up sustainable industrial complex is emphasized. This paper attempts 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복합산업단지에 적용 가능한 계획요소를 도시계획적 측면과 산업단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계획요소를 선정하며 이를 통해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복합산업단지 조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 부분이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복합산업단지의 계획요소 및 사례의 적용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고찰을 통해 복합 산업단지의 개념을 파악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관점에서의 도시계획측면과 산업단지 측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FGI를 통해 수정·보완된 내용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측면을 산업·경제적, 사회·문화, 물리 · 환경으로 구분하여 12개의 기본항목과 32개의 계획요소로 최종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합산업단지를 “자족성 확보를 위하여 산업과 주거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기능이 상호 유기적인 교류와 연계를 이루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일체적으로 계획되어 조성되는 단지”로 정의 내리고자 한다.
  • 복합산업단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산업단지 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첫 번째 부류의 연구와 지속가능한 산업단지 조성과 관점에서의 친환경산업단지, 생태산업단지, 녹색산업단지 등의 연구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토하여 선행연구와 차별성의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복합산업단를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후 이러한 계획요소를 적용하여 분석이 가능한 국내 · 외 사례를 선정하고 계획 측면별 분석을 통하여 기술·정책 · 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결론으로 국내의 지속가능한 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시사점 및 계획방향과 연구의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산업단지의 계획요소 및 사례의 적용현황을 분석하는 연구에서 검토한 해외사례는 무엇이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해외사례의 경우 모든 부분에서 체계적인 유지 ·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사례는 산업 · 경제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복합산업단지 조성이 지역산업과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물리·환경적 측면에서 해외사례는 에너지 및 자원순환체계 등 기술적인 부분에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지고 실천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개발계획 및 지구단위계획에서의 소극적인 계획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는 현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기후변화에 대응 하기 위해서 물리·환경적인 측면에서의 기술적인 도입과 실천방안이 필요하며 지자체와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조성시기와 관련되어서 가장 일찍이 조성된 해외 사례인 림(Riem)경우 19년이라는 장기적인 플랜을 가지고 지속가능성 측면의 균형을 통해 계획 단계별로 충분한 평가에 의해 개발이 진행되어 온 결과, 현재 가장 대표적인 저탄소 사례로서 인정받은 부분은 사업성과 경제성 위주로 계획된 국내 사례가 반드시 고려해야한다고 판단된다.
도시기능을 복합화하는 추세가 대두된 이유는? 20세기에 들어 산업화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산업지구와 주거지역이 분리 개발되면서 도시기능의 분절을 가져와 출퇴근과 교통문제가 생기고 도시개발의 효과도 미흡하게 되어 주거와 상업의 복합, 주거와 산업의 복합 등 도시기능을 복합화하는 추세가 대두되었다. 그리고 산업단지는 주거, 산업, 학술, 연구 등의 복합화로 이루어진 첨단과학단지, 연구과학단지, 테크노폴리스, 텔레포트, 인텔리젼트 시티 등 첨단기술과 연계된 적극적인 복합화, 혼합화가 구현되고 있다[1].
도시 형태 중 복합화란? ‘복합화’라는 형태는 19세기이전의 유럽 도시들에 나타나는 토지이용방식의 특성으로, 업무시설에 주거지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도시 형태이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서구 근대주체사상인 이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국제주의 양식의출현하였으며 이 중심에 있던 르꼬르뷔제는 주거와 업무를 철저히 분리하여 도시를 계획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Oh Deog-Seong,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and the Planning Character in Mixed-use Developed District", Chungnam University Press, pp.80, 2006 

  2. World Commission on employment,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3. Chung Chang Ho, "A Study on Urban Characterisitc According to Cluster of Analysis Self-sufficiency in Seoul Metropolitan Area", Kyungwon University, 2006 

  4. Yonsei smart space Institute, "An employment and regional economy ripple effect of Mixed-use industrial park", 2013 

  5. Seo Tae Seong, "Activation plan research of Multiple complex",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1997 

  6. Kang Byung Soo, "Industrial Conditions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Urban Industrial Park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Research Review of Regional Development, 2001 

  7. Lee Byung Man,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complex industrial park", Gachon University, 2004 

  8. Seo Man Seok "A study on promoting multi-functional industial parks", Chung-ang University, 2007 

  9. Kim Heungsoon, Kang Jungwoon, Building Eco-industrial Parks in Korea -A Review on the Pilot Eco-industrial Park Project in Gyeongnam Province, 2004.12 

  10. Ban Yong Un, "Environment-friendly EIP construction plan", Industrial Location, 2008 Winter 

  11. Jo Hye Young, "Strengthen the industrial park's green competitiveness", Industrial Location, 2009 Autumn 

  12. Kim Jong Kon, Oh Deog Seong, "Analysis on the Sustainability and Design Strategies of German Ecological Housing Estates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07 

  13. Won Jai Mu, "Toward green city planning", Press Landscape, 2010 

  14. Lee Kyu In, Rhee Jang Ook, "A Study for the Promote Strategy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 Focussing on the Cases of the Experts and Residents at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0 

  15. Philine Gaffron, Ge Husimans, Franz Skala, "Ecocity", DG Rearch, 2005 

  16. Lee Jae Joon, Choi Jeong Seok, Lee Sang Moon, Park Chang Sek, "A Study on Driv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Eco-Industrial Park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03 

  17. Pellenbarg P.H, "Sustainable Business site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Environment Planning and Management 45 

  18. "Assessment of Messestadt Riem-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Munich", City of Munich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2002 

  19. Abu Dhabi Future Energy Company, Masdar City Project Development Overview, Feb.09(a) 

  20. Abu Dhabi Future Energy Company, Building the World's Most Sustainable City, Sep.10(b) 

  21. Abu Dhabi Future Energy Company, Transforming Oil Wealth into Renewable Energy Leadership(c) 

  22. MIRAE E&D, "Asan Technovalley project for an urban design district", Asan Technovalley, 2008 

  23. Oh Deog-Seong, "Kim Kyung-Bae and Jeong Sook-Young, Designing Eco-Industrial Park By Restructuring Conventional Industrial Estate Development Plan: A Case Study of Daedeok Technovalley(DTV)",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HabitatInternation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