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술영재교육 쟁점 분석을 통한 방향 모색 - A 예술고등학교의 사례에 기초하여 -
Demonstrating Critical Issues and Finding New Directions in Art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3, 2013년, pp.355 - 371  

강주희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이지연 (목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법적인 지원으로 탄력을 받기 시작하면서 현재 우리나라는 미술영재교육의 양적인 팽창이 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미술영재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재구성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영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현황에 대하여 기술한 후 미술적 소양과 흥미와 잠재력을 지닌 학생들이 모여 있는 A예술고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미술영재교육의 가치를 논의하고, 미술영재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설문을 통한 수요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재능 있는 학생을 위한 미술심화교육의 쟁점을 분석한 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쟁점을 심화 발전시켜 미술영재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미술영재교육의 방향은 개인의 자아실현과 국가 사회의 발전도모라는 두 가지 프레임을 가지고 시행되고 있으며, 이 둘의 관점의 차이를 이해하고 조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요자에게 개별화 시킬 수 있는 미술 영재교육의 실행타당성을 국가적 정책, 교사, 그리고 학부모의 입장을 수렴하여 장기적이며 질적으로 신중히 검토하여 학생의 개인적 자아성취와 국가차원이 미래인재양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질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미술영재교육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영재의 선발과정에서의 산술적 평가와 양적 팽창이 아닌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본질적 접근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many research focused learners as those who excel in mathematics or science,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s with potential or demonstrated talent in visual art has also been the meaningful research topic. Since these learners exhibit high performance capability in intellectual, creative and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술영재교육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해서 현재 교육기관에서 추가적으로 제공해 주었으면 하는 것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와 같이 좋은 습관, 지도력, 의지력 등을 계발할 수 있는 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2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전공 실기 외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25%로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요구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미술영재들의 교육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육을 받기 시작한 나이와 관련 교육을 받은 기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미술교육을 받기 시작한 나이를 묻는 질문에 아래 <표 1>과 같이 ‘14이상 16세 이하’라고 답한 학생이 총 77명(약 6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10세 이하(약 23%), 11세 이상 13세 이하(약 12%) 순으로 나타났다.
  • 본 논문에서는 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현황을 분석한 후 미술적 소양과 흥미와 잠재력을 지닌 학생들이 모여 있는 A예술 고등학교의 사례연구를 통해 미술영재교육의 가치를 논의하고, 미술영재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하려 한다. 본 사례연구는 설문을 통한 수요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재능있는 학생을 위한 미술 심화교육의 쟁점을 찾아본 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쟁점을 심화 발전시켜 미술영재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을 재구성하는 바이다.
  • 본 논문에서는 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현황을 분석한 후 미술적 소양과 흥미와 잠재력을 지닌 학생들이 모여 있는 A예술 고등학교의 사례연구를 통해 미술영재교육의 가치를 논의하고, 미술영재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하려 한다. 본 사례연구는 설문을 통한 수요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재능있는 학생을 위한 미술 심화교육의 쟁점을 찾아본 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쟁점을 심화 발전시켜 미술영재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을 재구성하는 바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예술분야의 경우, 영재학교는 설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미술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영재교육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특수목적 고등학교인 예술고등학교 사례에 기초하여 미술영재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가설 설정

  • 미술 영재교육은 전문적 미술가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뷰 자료 분석을 위한 코딩은 무엇으로 진행하였나? 인터뷰를 위한 기본 연구 접근으로 스테이크(Stake, 1995)의 쟁점 중심 사례연구법을 채택하였으며, 정확하고 구체적인 답뿐 아니라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떠오르는 중요한 쟁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스프레들리(Spradley, 1979)가 제안한 반구조적 인터뷰 기법을 활용하였다. 인터뷰 자료 분석을 위한 코딩은 스트라우스(Strauss, 1987)가 제안한 선택적 코딩으로 진행하였다. 즉 임의로 자료를 범주화를 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료들을 통합하여 범주화시킨 후, 각 카테고리들을 서로 수렴시켜서 검토한 후 그 체계에 따라서 자료들을 일목요연하게 코딩하였다.
로웬펠드와 브리테인이 정의한 미술영재성은? 로웬펠드와 브리테인(Lowenfeld & Brittain, 1987)은 영재들의 창의적인 사고능력과 표현에 보다 비중을 두고 미술영재성을 정의하였다. 그들은 미술영재의 특성을 다음 그림과 같이 상상과 표현의 유창성, 공간배치감각, 직관적 상상력, 표현의 직접성, 재료와 주제에 대한 고도의 자아동일화 등 다섯 가지로 정의하였다.
미술영재의 특징은? 다수의 미술교육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미술영재는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미술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과제수행에 대한 집중력과 의지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미술영재들의 작품 특성은 작품 완성도가 높고, 정교하며 주제와 재료의 사용이 탁월다고 정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주희 (2012). 시각예술성의 재개념화: 미술교육의 흐름에 비추어 본 시각예술영재성의 의미 변화 고찰.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 김정희,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학. 서울: 학지사. 

  3. 김혜선 (2004).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 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18(3). 81-102. 

  4. 류재만, 김정희, 전성수, 박지숙,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파주: 교육과학사. 

  5. 우주희 (2002). 미술영재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6. 한국교육개발원 (2010).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CR 2010-8. 

  7. 한국예술영재학회 (2006). 영재교육의 방법. 서울: 미진사. 

  8. Clark, G., & Zimmerman, E. (2004). Teaching talented and art students: Principles and practice. NY: Teachers College Press. 

  9. Hurwitz, A. (1983). The gifted and talented in art: A guide to program planning. Worcester: Davis Publications, Inc. 

  10. Lowenfeld, V., & Brittain, W. L. (1987). Creative and mental growth. NJ: Prentice Hall. 

  11. Milbrath, C. (1998). Patterns of artistic development in children: Comparative studies of talent.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Pariser, D. (1997). Graphic development in artistically exceptional children. In A. Kindler (Ed.). Child development in art (pp. 115-131). Reston, VA: NAEA. 

  13.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4. Sp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Y: Holt 

  15. Strauss, A.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Wilson, H. E. (2006). Differentiation in the art room. NAGC Conference material. retrieved from http://hopeewilson.com/attachments/File/NAGCDiffand ArtHandOut.pdf. 

  17. Winner, E. (1996). Gifted children: Myths and realities. NY: Basic Book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