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계상태식의 3차 다항식 근사를 통한 구조물 신뢰도 평가
Structure Reliability Analysis using 3rd Order Polynomials Approximation of a Limit State Equation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6 no.3, 2013년, pp.183 - 189  

이승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김성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김태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성을 확률변수로 가정하고 구조물의 파손기준을 한계상태식(Limit State Equation)으로 정의하였다. 한계상태식을 Fleishman의 3차 다항식으로 근사하고 이론적인 확률 모멘트(Moments)를 계산하였다. Fleishman은 표준정규 분포 확률변수에 대해서만 3차 다항식을 제시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베타, 감마, 균일 분포 등 다양한 확률 변수에 적용하였다. 확률 모멘트를 계산하기 위해서 누률(Cumulants)과 정규화된 한계상태식을 활용하였으며, 피어슨 시스템(Pearson System)을 통해 한계상태식의 확률분포를 근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uncertainties and failure criteria of structure are mathematically expressed by random variables and a limit state equation. A limit state equation is approximated by Fleishman's 3rd order polynomials and the theoretical moments of an approximated limit state equation are calcul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계상태식의 정확한 확률모멘트를 계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Fleishman은 표준정규분포로만 구성된 다항식을 고려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Fleishman의 다항식 모델을 확장하여 표준정규분포 이외의 확률변수로도 다항식을 구성하여 구조물 신뢰도 해석에 적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한계상태식을 교차항이 없는 다항식으로 정의할 수 있는 경우에 한 해, 한계상태식의 이론적인 확률모멘트를 계산하고 구조 신뢰도 해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Fleishman의 3차 다항식 모델을 활용하였다.
  • 이 장에서는 신뢰도 해석의 일반적인 방법을 소개한 후, 한계상태식의 다항식 근사 및 확률모멘트 계산방법과 간단한 예제에 대해 적용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해석 대상 구조물은 Yang(2003)이 신뢰도 해석에 인용한 예제를 변형한 것으로 10개의 Bar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점 2곳을 통하여 수직방향의 하중 40kN이 부과되었다. Bar의 길이는 대각선 방향의 Bar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9,000mm로 가정하였으며 Elastic Modulus는 70 GPa, Poisson Ratio는 0.3으로 가정하였다. Bar의 단면적(A1∼A10)은 정규분포 및 균일분포로 가정하였으며 Table 2과 같다.
  • Bar의 단면적(A1∼A10)은 정규분포 및 균일분포로 가정하였으며 Table 2과 같다.
  • 구조물 끝단의 수직 변위가 -37.5mm이하인 경우를 구조물 파손기준으로 가정하고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예를 들면 구조물의 끝단 변위가 -4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멘트법이란 무엇인가? 모멘트법은 한계상태식의 확률모멘트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확률분포로 근사하고 특정 한계상태식 값에 대한 확률을 구한다. 임의의 확률분포로 근사하기 위해서 주로 피어슨 시스템(Pearson System) 또는 존슨 시스템(Johnson System)이 사용된다.
신뢰도 지수방법이란 무엇인가? 신뢰도 지수방법은 한계상태식이 정규분포라는 가정 하에 한계상태식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비로 신뢰도 지수를 정의하고 표준정규분포에 대입하여 파손확률을 구한다. 한계상태식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비로 정의된 신뢰도 지수는 불변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그 후 표준정규분포 공간상에서 원점과 한계상태식의 최단 거리로 다시 정의되어 불변성 결여 문제가 해결되었다.
파손확률은 불확실성을 확률변수로 정의하고 해당 확률변수를 기반으로 파손기준을 정의한 한계상태식의 3가지 계산방법은 무엇인가? 파손확률은 불확실성을 확률변수로 정의하고 해당 확률변수를 기반으로 파손기준을 정의한 한계상태식(Limit Sate Equation)이 음의 값을 갖는 확률이며 크게 3가지의 계산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수많은 확률변수를 생성하여 파손확률을 계산하는 모의실험법으로 몬테칼로 시뮬레이션(Monte Calro Simulation)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은 다른 방법에 비해 정확하지만, 수치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신뢰도 지수법으로 표준정규분포 확률변수 공간에서 한계상태식과 원점과의 최단거리로 정의되는 신뢰도 지수(Reliability Index)를 통해 파손확률을 계산할 수 있는 것으로 신뢰도 지수를 계산하는 것은 최적화 문제를 푸는 것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한계상태식의 확률모멘트 정보를 기반으로 피어슨 시스템(Pearson System)에서 확률분포를 선택 및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인 한계상태식의 확률모멘트는 가우스 구적법(Gauss Quadrature)을 통해 계산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한계상태식 비선형이고 확률변수의 수가 많을 경우, 많은 계산량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확률변수 10개로 구성되고 3차정도 비선형성을 갖는 한계상태식 모멘트를 구하기 위해 5점 가우스 적분을 사용할 경우, 510번의 한계상태식 계산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i, H.S. (2005) Moment Based Reliability Analysis for Genernal Distributions using Multi-level DOE, Master's Thesis, KAIST, p.95. 

  2. Fleishman, A.I. (1978) A Method for Simulating Non-normal Distributions, Psychometrika, 43(4), pp.521-532. 

  3. Haldar, A., Mahadevan, S. (2000) Reliability Assessment Using Stoch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USA, p.328. 

  4. Headrick, T.C. (2002) Fast Fifth-order Polynomial Transforms for Generat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Nonnormal Distribution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0, pp.685-711. 

  5. Johnson, N.L., Kotz, S. (1970) Continuous Univariate Distribution-1, John Wiley & Sons, INC., USA, p.300. 

  6. Kim, S.H., Na, S.W. (1997) Response Surface Method using Vector Projected Sampling Points, Structural Safety, 19(1), pp.3-19. 

  7. Xu, H., Rahman, S. (2005) Decomposition Methods for Structural Reliability Analysis, Probabilistic Engineering Mechanics, 20, pp.239-250. 

  8. Yang, Y.S., Ruy, W.S., Kim, B.J. (2003) Co-evolutionary Structural Design Framework : Min(Volume Minimization)-Max(Critical Load) MDO Problem of Topology Design under Uncertainty,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6(3), pp.281-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