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수와 기하의 연결에 관한 Descartes의 관점 재조명 연구
Re-Interpreting the Descartes's Perspectives on the Connection of Algebra and Geometry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4, 2016년, pp.715 - 730  

반은섭 (흥덕고등학교) ,  신재홍 (한국교원대학교) ,  류희찬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수와 기하의 영역을 연결하여 기존의 틀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고 선대의 수학자들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다룰 수 있었던 Descartes의 관점을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수와 기하의 수학적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해석기하학의 기본 원리와 전개 방식의 특징을 조명하였으며, 국내 외 교육과정 문서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해석기하학의 관점에서 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좌표평면에 표현된 도형들의 교점으로 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를 제시하면서 대수와 기하의 수학적 연결성에 관한 통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두 원뿔곡선의 교점을 활용한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을 탐색 단계, 해결 단계, 반성 단계의 일련의 과정으로 해석하고 이를 교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scartes's point of view on the mathematical connection of algebra and geometry which help comprehend the traditional frame with a new perspective in order to access to unsolved problems and provide useful pedagogical implications in school mathematics. To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로, 본 연구에서는 대수와 기하의 수학적 연결성을 기본적인 틀로 하고 있는 해석기하학의 관점에서 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이 갖는 의미를 고찰해보고, 특히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을 교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해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하나의 틀로 제시한 대수와 기하의 연결에 관한 해석기하학 관점의 논의는 수학적 연결성과 관련된 학교 수학의 다양한 교수학적 현상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 본고에서는, Descartes가 분류한 2종의 방정식에 해당하는 삼차방정식에 대한 기하학적 해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삼차방정식은 두 개의 원뿔곡선의 방정식을 연립한 형태로 해석할 수 있으며, 좌표평면에 표현된 원뿔곡선들의 교점을 활용하여 삼차방정식의 해를 기하학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므로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을 다루면서 Descartes가 해석기하학을 발전시키면서 주로 사용했던 원뿔곡선을 통하여 기하학적 해를 제시할 수 있다는 교수학적인 시사점이 있다.
  • 이와 같이 학교 수학에서 대수와 기하의 연결은 매우 중요한 교수학적 관점이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대수와 기하의 연결 고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수학사에 큰 공헌을 한 17세기의 프랑스의 수학자 Descartes의 관점을 재조명하고, 교수학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해석기하학의 기본 원리와 전개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국내·외 교육과정 문서 및 해석기하학을 다루고 있는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특히, 대수 곡선들의 교점으로 방정식의 해를 제시하는 해석기하학의 관점(Allaire & Bradley, 2001)을 바탕으로, 원뿔곡선을 활용하여 기하학적인 해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삼차방정식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하여 대수와 기하의 수학적 연결성에 관한 통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을 사용하였다.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가정하 고, 처음 주어진 선분들 중 하나인 선분 AB의 길이와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작도한 선분들 중 하나인 선분 BC의 길이를 각각 x, y라 놓았다4). 그리고 처음에 주어진 각 선분의 연장선과 선분 AB의 연장선이 만나서 생기는 교점 E, G와 선분 BC의 연장선이 만나 생기는 교점 R, T, S에 대하여, 각 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를 x와 y에 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석기하학이란 무엇인가? 해석기하학은 대수적 조작을 활용하는 기하학의 한 방법으로, 좌표의 개념을 도입하여 점을 실수의 순서쌍 (x, y)으로 대응시키고 모든 점들의 순서쌍으로 이루어진 곡선이 나타내는 방정식 f(x,y) = 0의 대수적, 해석적 성질을 통하여 그에 대응된 곡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것이다(우정호, 2007; Eves, 1995). 
해석기하학의 진정한 본질은 무엇에 있는가? 해석기하학의 진정한 본질은 기하학적인 대상을 그에 대응하는 대수적인 표상으로 바꾸어 해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해석기하학의 방법론은 대수적 기호 및 처리 과정이 발전되고 난 이후에 본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17세기 프랑스의 두 수학자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1650)와 페르마(Pierre de Fermat, 1601-1665)에 의하여 창시되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Eves, 1995).
Descartes와 Fermat의 해석기하학에 접근하는 방법과 표현한 기호는 어떻게 달랐는가? Descartes와 Fermat는 동시대에 비슷한 생각을 통하여 대수학과 기하학을 연결하였지만, 해석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접근하는 방법과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한 기호는 서로 달랐다. Fermat는 대수방정식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했을 경우에 어떤 곡선이 되는지에 더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비에트(Viète) 기호를 사용하여 미지수가 두 개인 방정식에 따른 곡선의 자취를 주로 연구하였다. 반면, Descartes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같이 알파벳 a, b, c를 매개변수나 상수로 사용하고, x, y, z를 이용하여 미지수를 다루었으며, 곡선을 따라 역학적으로 움직이는 기하학적인 자취를 활용하여 대수방정식을 연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Dennis, 1997, 2000; Eves, 1995; Neovius,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문봉(1992). 분석법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2(2), 81-93.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261호 [별책 8].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4. 권영인.서보억(2007). 고등학교 도형의 방정식 단원에서 논증기하의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1(3), 451-466. 

  5. 김성준(2007). 학교수학에 제시된 분석적 아이디어의 고찰. 교과교육학연구, 11(2), 499-515. 

  6. 도정철.손홍찬(2015). GSP를 사용한 기하수업에서 수준별 학생의 논증기하와 해석기하의 연결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4), 411-429. 

  7. 박정미.이중권(2013). 동일한 수학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능력 분석 연구: 방정식.부등식과 함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883-898. 

  8. 우정호(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증보판 2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윤인준.고상숙(201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43-671. 

  10. 이지현.홍갑주(2008). 교과지식으로서의 유클리드 기하와 벡터기하의 연결성. 학교수학, 10(4), 573-581. 

  11. 홍성관.박철호(2007). 동적기하가 원뿔곡선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6(3), 331-349. 

  12. Allaire, P. R., & Bradley, R. E. (2001). Geometric approaches to quadratic equations from other times and places. Mathematics Teacher, 94(4), 308-319. 

  13. Atiyah, M. (2001). Mathematics in the 20th Century: geometry versus algebra. Mathematics Today, 37(2), 46-53. 

  14. Bayazit, I., & Aksoy, Y. (2010). Connecting representations and mathematical ideas with GeoGebra. GeoGebra International Journal of Romania, 1(1), 93-106. 

  15. Berggren, J. L. (1986). Episodes in the mathematics of medieval Islam. New York: Springer-Verlag. 

  16. Boyer, C. B., & Merzbach, U. C. (1991). A history of mathematics (2nd ed). New York: McGraw-Hill. 

  17.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CCSSI).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U.S.A. 

  18. Cuoco, A., Goldenberg, E. P., & Mark, J. (1996). Habits of mind: An organizing principle for mathematics curricula.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5, 375-402. 

  19. Dennis, D. (1997). Rene Descartes' curve-drawing devices: Experiments in the relations between mechanical motion and symbolic language. Mathematics Magazine, 70(3). 163-174. 

  20. Dennis, D. (2000). The Role of Historical Studi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al Research. Published in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Assoc. 2000. Retrieved from http://quadrivium.info/mathhistory/History.pdf. 

  21. Descartes, R. (1954). The Geometry. Translated by D. E. Smith & M. L. Latham. New York, NY: Dover. (원저는 1637년에 출판). 

  22. Dikovic, L. (2009). Applications geogebra into teaching some topics of mathematics at the college level.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Systems, 6(2), 191-203. 

  23. Dindyal, J. (2004). Algebraic thinking in geometry at high school level: Students' use of variables and unknowns. In I. Putt, R. Faragher & M. McLean (Eds.),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hird millennium: Towards 2010 (Proceedings of the 27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Townsville) (pp. 183-190). Sydney: MERGA, Inc. 

  24. Dikovic, L. (2007). The need for an inclusive framework for students' thinking in school geometry.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4(1), 73-83. 

  25. Donevska-Todorova, A. (2011). Developing concept in linear algebra and analytic geometry by the integration of DGE and CAS. Proceedings of the 16th Asian Technology Conference in Mathematics (ATCM). 

  26. Ertekin, E. (2014). Is cabri 3D effective for the teaching of special planes in analytic geometr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 27-36. 

  27. Eves, H. (1995). 수학의 역사(이우영, 신항균 역). 서울: 경문사. (원저는 1953년에 출판). 

  28. Georgia Department of Education(GDE). (2014). Common Core Georgia Performance Standards Frameworks of Mathematics, CCGPS Coordinate Algebra Unit 6: Connecting Algebra and Geometry through Coordinates. U.S.A. 

  29. Grabiner, J. (1995). Descartes and problem-solving. Mathematics Magazine, 68(2), 83-97. 

  30. Hadamard, J. (1945).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Knuth, E. J. (2000). Understanding connections between equations and graphs. Mathematics Teacher, 93(1), 48-53. 

  32. Ljajko, E. (2013). Development of ideas in a geogebra: aided mathematics instruction. Mevlan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3(3), 1-7. 

  33. Mardia, K. V. (1999). Omar Khayyam, Rene Descartes and solutions to algebraic equations. Presented to Omar Khayyam Club, London. Retrieved from http://www1.maths.leeds.ac.uk/-sta6kvm/omar.pdf. 

  34. Maryland Department of Education(MDE). (2013). Maryland Common Core State Curriculum Unit Plan for Geometry. Geometry Unit 4: Connecting Algebra and Geometry through Coordinates. U.S.A. 

  35. Moschkovich, J., Schoenfeld, A. H., & Arcavi, A. (1993). Aspects of understanding: On multiple perspectives and representations of linear relations and connections among them. In T. A. Romberg, E. Fennema, & T. P. Carpenter (Eds.), Integrating research on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of functions (pp. 69-10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Mousoulides, N., & Gagatsis, A. (2004). Algebraic and geometric approach in function problem solving. Proceedings of the 28th PME Conference, vol 3, 385-392. 

  3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공역(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경문사. 

  38. Mousoulides, N., & Gagatsis, A.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39. Neovius, S. (2013). Rene Descartes' Foundations of Analytic Geometry and Classification of Curves. U.U.D.M. Project Report 2013:18. 

  40. Polya, G. (2005).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수학적 사고와 방법-(우정호 역). 서울: 경문사. (원저는 1956년에 출판). 

  41.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42. Timmer, M., & Verhoef, N. (2012). Increasing insightful thinking in analytic geometry using frequent visualization and a synthetic approach. Nieuw Archief voor Wiskunde, 5/13(3), 217-219. 

  43. Tossavainen, T. (2009). Who can solve 2x1? -An analysis of cognitive load related to learning linear equation solving.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6(3), 435-448. 

  44. Wagner, R. (2013). A historically and philosophically informed approach to mathematical metaphors.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27(2), 109-135. 

  45. Yerushalmy, M. (1999). Making exploration visible: On software design and school algebra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for Computers in Mathematical Learning, 4(2-3), 169-189. 

  46. Yerushalmy, M. (2005). Function of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s in interactive mathematical textbook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for Mathematical learning, 10(3), 217-249. 

  47. Yerushalmy, M., & Gilead, S. (1997). Solving equations in a technological environment. Mathematics Teacher, 90(2), 156-1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