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감초 경엽(莖葉)의 포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Stems and Leaves by Processing Method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5, 2013년, pp.539 - 547  

박정섭 (한국농업경영기술연구원) ,  박선희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오일수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장영남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방극수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변은주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이정호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제 방법에 따른 감초경엽의 성분변화 및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였다. 성분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GC-Mass의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서 공통으로 분석된 성분은 19.7분에서 cis-1,3-dimethyl-2-methylene-cyclohexane과 21.5에서 n-hexadecanoic acid이 모두 분석되었으며, 17.8분에서는 3-O-methyl-D-Fructose가 끓는 물에 데친 감초경엽에서 19.8분에서는 aminopyrazine이 4회 볶은 감초 잎과 줄기 추출물만 분석되지 않고 4가지 모두에서 분석되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3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EC_{50}$$2.66{\pm}0.09{\mu}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4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EC_{50}$$0.57{\pm}0.22{\mu}g$으로 가장 높았다. 환원력 측정에서는 3회 볶은 감초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함량 3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3.38{\pm}0.12g/100g$으로 가장 높았다. 항돌연변이원성 평가에 있어서 직접변이원인 1-NP에 대해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간접변이원인인 Trp-P-1, Trp-P-2, $AFB_1$, 2-AA에 대해서는 3번 볶은 감초경엽(GU-1)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of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in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stems and leaves (GU) by the various processing methods, as follows: fresh (GU-1), dried under the shade (GU-2), blanched (GU-3), roasted 3 times (GU-4), roasted 4 tim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 있어서 버려지고 있는 감초 지상부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한의학적 포제방법으로 처리한 후 다양한 변화를 관찰하여 최적 건조 및 전처리 조건을 찾고자하였다. 즉 감초지상부를 신선한 것(GU-1), 그늘에 음건한 것(GU-2), 데친 후 음건한 것(GU-3), 3회 볶은 후 음건한 것(GU-4), 4회 볶은 후 음건한 것(GU-5)으로 처리하여 GC/MS분석을 통한 성분변화 및 항산화활성(DPPH 및 ABTS 라디칼소거활성, 총폴리페놀 함량, 환원력측정), 항돌연변이원성(Ames test)을 비교·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제란 무엇인가? 포제(炮製)란 한약의 전통적 가공기술을 통칭한 것으로써 약재를 조제(調製)하고 제성(製成)하는 것이며, 한약재 또는 절편에 따라 그 처리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포제의 목적은 부작용감소, 용해성촉진, 약성변화, 효능증가, 효능조절, 잡질 및 비약용부분제거, 순도증진 및 저장의 편리 등이 있다.
감초의 해독, 진경 등 유용한 효능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은 무엇인가? , 2009). 이러한 효능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으로는 glycyrrhizin, glycycoumarin, liquiritin, isoliquiritin, liquirtigenin, isoliquirtigenin, licoricidin, apioside, apioliquiritin, glycyrrhetinic acid, glucose, saponin 등이 보고(Lee et al., 2010; Park et al.
포제의 목적은 무엇인가? 포제(炮製)란 한약의 전통적 가공기술을 통칭한 것으로써 약재를 조제(調製)하고 제성(製成)하는 것이며, 한약재 또는 절편에 따라 그 처리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포제의 목적은 부작용감소, 용해성촉진, 약성변화, 효능증가, 효능조절, 잡질 및 비약용부분제거, 순도증진 및 저장의 편리 등이 있다. 특히 감초는 한의약적으로 포제방법에 따라 약성이 변화되는데 생감초(生甘草)는 성미가 달고 독성이 없으며 화(火)를 다스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s, B.N. and D.M. Maro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 typhimurium mutagenicity test. Mut. Res. 113:173-215. 

  2. Biondi D.M., C. Rocco and G. Ruberto. 2005. Dihydrostilbene derivatives from Glycyrrhira glabra leaves. J. Nat. Prod. 68:1099-102. 

  3. Cheigh, H.S and C.Y. Lee. 1993.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246-252. 

  4. Chon, S.U., C.H. Bae and S.C. Lee. 2012.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s of m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at different plant parts. Korean J. Plant Res. 25:232-239. 

  5. Carriere, V, I. Waziers, Y.A. Courtois, J.P. Leroux and P.H. Beaune. 1992. Cytochrome P450 induction and mutagenicity of 2-aminoanthracene (2-AA) in rat liver and gut. Mut. Res. 268:11-20. 

  6. Dashwood, R., T. Negishi, H. Hayatsu, V. Breinholt, J. Hendricks and G. Bailey. 1998. Chemopreventive properties of chlorophylls towards aflatoxin B1: a review of the antimutagenicity and anticarcinogenicity data in rainbow trout. Mutat. Res. 399:245-53. 

  7. Eaton, D.L. and E.P. Gallagher. 1994. Mechanism of aflatoxin carcinogenesis. Annu. Rev. Pharmacol. Toxicol. 34:135-12. 

  8. Fukui, H., K. Goto and Tabata M. 1998. Two antimicrobial flavanones from the leaves of Glycyrrhiza glabra. Chem. Pharmacol. Bull. 36:4174-6. 

  9. Halvorsen, B.L., K. Holte, M.C.W. Myhrsted, I. Barikmo, E. Hvattum and S.F. Remberg. 2002. A systematic screening of total antioxidants in dietary plants. J. Nutr. 132:461-471. 

  10. Hayashi H, M. Yasuma, N. Hiraoka, Y. Ikeshiro, H. Yamamoto, E. Yesilada, E. Sezik, G. Honda and M. Tabata. 1996. Flavonoid variation in the leaves of Glycyrrhiza glabra. Phytochemistry 42:701-4. 

  11. Hwang, C.R., S.H. Oh, H.Y. Kim, S.H. Lee, I.G. Hwang, Y.S. Shin, J.S. Lee and H.S. Jeong.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98-803. 

  12. Kim, N.J., Y.H. Jin and N.D. Hong. 1995.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rude durge(IV)-Physico-chemical transformation of glycyrrhizin in Glycyrrhizae radix by processing. Kor. J. Pharmacogn. 26:31-39. 

  13. Kim, S.W., B.S. Tchai, S.C. Park and S.J. Kang. 1982. Antimutagenic activity of chlorophyll to direct- and indirect-acting mutagens and its contents on the vegetables. Korean J. Biochem. 14:1-7. 

  14. Lee, J.H., K.R. Ze, D.H. Kim, J.Y. Park, Y.H. Shim, J.H. Kim, S. Lim, J.S. Shin, I.S. Kim, J.Y. Kim, S.H. Seong, S.Y. Jang, D.S. Kim and R.S. Seong. 2009. Analysis of liquiritigenin, an aglycone of liquiritin in licor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Kor. J. Pharmacogn. 40:309-314. 

  15. Lee, J.R., M.J. Jo, S.M. Park, S.C. Kim and S.J. Park. 2010. Establishment of UPLC method for analysis of liquiritigenin and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icorice for enhancement of liquiritigenin content. Korean J.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18:145-154. 

  16. Lee, J.R., S.J. Park, Y.W. Kim, I.J. Choi, S.H. Byun. and S.C. Kim. 2011.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s of corydalis tuber and processed corydalis tuber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J.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4:17-26. 

  17. Lim, M.R. and S.M. Kang. 2009. Improvement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diet on the acne ski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750-760. 

  18. Na, I.S., M.J. Park, C.H. Noh, J.W. Min, M.H. Bang and D.C. Yang. 2008. Production of flavonoid aglycone from Korean Glycyrrhizae radix by biofermentation proces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569-574. 

  19. Okawa. M., J. Kinjo, T. Nohara and M. Ono. 2001.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obtained from some medicinal plants. Biol. Pharm. Bull. 24:1202-1205. 

  20. Park, C.S., D.H. Kim and M.L. Kim.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i fructus, astragalus membranac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Kor. J. Herbology 23:93-101. 

  21. Park, J.S., J.H. Lee and K,S. Bang. 2012.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mutagen activity of bulbil extracts of the Dioscorea japonica Decaisne and Dioscorea batatas Decaisne. Korean J. Plant Res. 25:200-208. 

  22. Pederson, T.C. and J.S. Siak. 1981. The role of nitroaromatic compounds in the direct-acting mutagenicity of diesel particle extracts. J. Appl Toxicol. 1:54-60. 

  23. Pulido, R., L. Bravo and F. Saura-Calixto. 2000. Antioxidative activity of dietary polyphenols as determined by a modifie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J. Agric. Food Chem. 38:3396-3402. 

  24. Rhim, T.J. and M.Y. Choi. 201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4:456-460. 

  25. Singer. B. and D. Grunberger. 1983. Molecular Biology of Mutagens and Carcinogens. Plenum Press, New York, USA. 

  26. Slinkard, K. and V.L. Singleton.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 28:49-55. 

  27. Siracusa, L., A. Saija, M. Cristani, F. Cimino, M. D'Arrigo, D. Trombetta, F. Rao and G. Ruberto. 2011. Phytocomplexes from liquorice (Glycyrrhiza glabra L.) leaves -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heir antioxidant, anti-genotox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Fitoterapia 82:546-556 

  28. Weng, Y., C. Fang, R.J. Turesky, M. Behr, L.S. Kaminsky and X. Ding. 2007. Determination of the role of target tissue metabolism in lung carcinogenesis using conditional cytochrome P450 reductase-null mice. Cancer Res. 67:7825-7832. 

  29. Weisburger, J.H. 1993. Heterocyclic amines in cooked foods: possible human carcinogens. Cancer Res. 53:2422-2424. 

  30. Yen, G.C., L.C. Tsai and J.D. Lii.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Maillard browning products obtained from amino acids and sugars. Chem. Toxicol. 30:1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