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제방법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추출물의 항염 및 미백활성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Extracts by Oriental Conversion Method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4, 2016년, pp.421 - 432  

성경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코스메틱 융.복합산업 지원 센터) ,  김미혜 (서라벌대학교 장례서비스경영과)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코스메틱 융.복합산업 지원 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한의약적 포제법을 적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제조하고 포제방법에 따른 항염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은 생(生), 1회 초법(炒法), 2회 초법(炒法), 3회 초법(炒法), 증법(蒸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를 이용하였다. 각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용매별 (80% 에탄올, 50%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추출물에 대한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85.5, 22.4, 37.0 및 19.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항산화 활성이 가장 큰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과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500{\mu}g/mL$ 농도에서 포제법을 적용한 3회 초법 및 증법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활성이 각각 62.9 및 55.9%를 나타냈다.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보다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38.0%), 1회 초법(41.0%), 2회 초법(69.8%), 3회 초법(70.1%), 증법(78.5%) 순으로 염증 매개물질인 $NO{\cdot}$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제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은 $500{\mu}g/mL$ 농도에서 ${\alpha}$-MSH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90.7%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항염이나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품 소재 개발에 포제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new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cosmetics application,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 brevitarsis) extracts, which were prepared by the various oriental conversion methods, as follows; fresh, roasted one time, ro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의보감을 바탕으로 유용 곤충자원인 흰점박이꽃무지를 한의학적 포제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소재가 화장품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적의 포제 방법 및 전처리 조건을 찾고 이로부터 조제된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제는 무엇인가? 포제(炮製)란 한약의 전통적 가공 기술을 통칭한 것으로써 약재를 조제(調製)하고 제성(製成)하는 것으로, 한약재 또는 절편에 따라 그 처리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포제의 목적은 부작용 감소, 용해성 촉진, 약성 변화, 효능 증가, 효능 조절 및 비약용 부분 제거, 순도 증진 및 저장의 편리 등이 알려져 있다[34].
과잉 생성된 ROS는 피부에 어떤 악영향을 주는가? 이들 ROS는 피부에 존재하는 효소적 항산화제 및 비효소적 항산화제에 의해 제거되지만 피부가 자외선에 계속 노출되면 피부에서는 과잉의 ROS가 생성된다. 이들 ROS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킴으로써 광노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염증반응을 일으켜서 피부 손상 및 피부 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다.
흰점박이꽃무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는 딱정벌레목 꽃무지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그 유충은 “굼벵이” 또는 제조(蠐螬)로 알려져 있다. 그 전체 길이는 약 17 ∼ 24 mm 정도의 식식성(植食性) 곤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및 유럽 등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8].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동의보감에서는 간암이나 간염, 백내장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간질환에 효능이 뛰어나 한방이나 민간요법에도 이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 Kawamata, H. Ochiai, N. Mantani, and K. Terasawa,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Juzen-taiho-to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ine, Am. J. Chin Med., 28(2), 217 (2000). 

  2. B. G. Lee, S. H. Kim, O. P. Zee, H. Y. Lee, J. W. Han, and H. W. Le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RAW 264.7 macrophages by two b-carboline alkaloids extracted from Melia azedarach, Eur. J. Pharmacol., 406(3), 301 (2000). 

  3. C. F. Nathan and J. B. Hibbs, Role of nitric oxide synthesis in macrophage antimicrobial activity, Curr. Opinion. Immunol., 3(1), 65 (1991). 

  4. B. H. Lee, D. S. Baik, S. U. Yun, J. M. Shin, J. H. Kim, S. Y. Yun, B. H. Kim, S. B. Kim, J. E. Shin, and I. H. Song, Peripheral nitric oxide activity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Korean J. Med., 73(3), 251 (2007). 

  5. M. M. Mu, D. Chakravortty, T. Sugiyama, N. Koide, K. Takahashi, L. Mori, T. Yoshida, and T. Yokochi, The inhibitory action of querceti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J. Endotoxin. Res., 7(6), 431 (2001). 

  6. K. Y. Stokes, D. Cooper, A. Tailor, and D. N. Granger, Hypercholesterolemia promotes inflammation and microvascular dysfunction: role of nitric oxide and superoxide, Free Radic. Biol. Med., 33(8), 1026 (2002). 

  7. J. H. Ryu, H. Ahn, J. Y. Kim, and Y. K. Kim,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s, Phytother. Res., 17(5), 485 (2003). 

  8. J. O. Park, J. O. Park, and C. G. Joo, A study 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Soc. Cosmet. Sci. Korea, 41(2), 151 (2015). 

  9. X. Jin, X. H. Zhang, and N. C. Zhao, Effects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Peucedanum praeruptorum Dunn on rabbit trachea smooth muscles, Zhongguo Zhong Yao Za Zhi, 19(6), 365 (1994). 

  10. Y. C. Huang, J. H. Guh, Z. J. Cheng, Y. L. Chang, T. L. Hwang, C. H. Liao, C. C. Tzeng, and C. M. Teng,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macrophages by 7HQ derivatives : involvement of $I{\kappa}B{\alpha}$ stabilization, Eur. J. Pharmacol., 418(1-2), 133 (2001). 

  11. B. A. Gilchrest and M. S. Eller, DNA photodamage stimulates melanogenesis and other photoprotective responses,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4(1), 35 (1999). 

  12. V. J. Hearing and M. Jimenez, Analysis of mammalian pigmentation at the molecular level, Pigment Cell Res., 2(2), 75 (1989). 

  13. V. J. Hearing and K. Tsukamoto,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14), 2902 (1991). 

  14. T. Kobayashi, W. D. Vieira, B. Potterf, C. Sakai, G. Imokawa, and V. J. Hearing, Modulation of melanogenic protein expression during the switch from eu-to pheomelanogenesis, J. Cell Sci., 108(6), 2301 (1995). 

  15. L. D. P. Uyen, D. H. Nguyen, and E. K. Kim, Mechanism of skin pigmentation, Biotechnol. Bioprocess Eng., 13(4), 383 (2008). 

  16. D. H. Nguyen, D. T. M. Nguyen, L. H. La, S. H. Yang, H. B. Lee, R. J. Kim, J. H. Shin, D. M. Kim, and E. K. Kim, Depigmenting effect of Cinnamomum cassia Presl in B16F10 melanoma cells, Korean J. Chem. Eng., 24(5), 827 (2007). 

  17. H. G. Kim and K. H. Kang, Bionomical characteristic of Protaetia brevitarsis, Korean J. Appl. Entomol., 44(2), 139 (2005). 

  18. H. G. Kim and K. H. Kang, Imago's flight and larvael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dia) and Allomyrina dichotoma (Coleoptera : Dynastinae), Korean J. Appl. Entomol., 45(2), 139 (2006). 

  19. R. Busca and R. Ballotti,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 Cell Res., 13(2), 60 (2000). 

  20. D. H. Cho, Y. M. Cho, and J. I. Lee, Fruitbody formation of Cordyceps militaris in Allomyrina dichotoma Linnaeus, Korean J. Plant Res., 16, 1 (2003). 

  21. H. G. Kim, K. H. Kang, and C. Y. Hwang, Effect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oviposition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Protaetia brevitars is and Allomyrina dichotoma, Korean J. Appl. Entomol., 44(4), 283 (2005). 

  22. H. Y. Park, S. S. Park, H. W. Oh, and J. I. Ki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reared in the laboratory, Korean J. Entomol., 24, 1 (1994). 

  23. H. C. Lee, S. G. Hwang, Y. K. Kang, H. O. Sohn, J. Y. Moon, H. B. Lim, B. H. Jeon, and D. W. Lee, Influence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on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and ethanol in rats, Korean J. Life Sci., 11, 405 (2001). 

  24. S. Y. Lee, H. J. Moon, S. Kurata, T. Kurama, S. Natori, and B. L. Lee, Purification and molecular cloning of cDNA for an inducible antibacterial protein of larvae of a coleopteran insect, Holotrichia diomphalia, J. Biochem., 115(1), 82 (1994). 

  25. S. Y. Lee, H. J. Moon, S. Kurata, S. Natori, and B. L. Lee, Purification and cDNA cloning of antifungal protein from the hemolymph of Holotrichia diomphalia larvae, Biol. Pharm. Bull., 18(8), 1049 (1995). 

  26. S. Y. Lee, H. J. Moon, S. Kawabata, S. Kurata, S. Natori, and B. L. Lee, A sapecin homologue of Holotrichia diomphalia: purification, sequencing and determination of disulfide pairs, Biol. Pharm. Bull., 18(3), 457 (1995). 

  27. S. Y. Hwang, Y. G. Lee, S. G. Hwang, H. B. Lim, Y. I. Kim, K. H. Jang, B. H. Jeon, D. W. Lee, and H. C. Lee, Subchronic toxicity of Protaetia brevitarsis in rats, Kor. J. Ori. Med. Physiol. Pathol., 15, 703 (2001). 

  28. H. C. Lee, S. Y. Hwang, S. G. Hwang, B. H. Jeon, and D. W. Lee, Acute oral toxicity of Protaetia brevitarsis homogenate in rats, Kor. J. Ori. Med. Physiol. Pathol., 15, 543 (2001). 

  29. W. J. Yoon, J. A. Lee, J. Y. Kim, S. B. Kim, and S. Y. Park,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omala albopilos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6), 670 (2007). 

  30. I. J. Kang, C. K. Chung, S. J. Kim, S. M. Nam, and S. H. Oh, Effects of Protaetia orientalis (Gory et Perchlon) larva on the lipid metabolism in carbon tetrachloride administered rats, Korean J. Electron Microsc., 31(1), 9 (2001). 

  31. Y. C. Yoo, B. H. Shin, J. H. Hong, J. Lee, H. Y. Chee, K. S. Song, and K. B. Lee, Isolation of fatty acids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rch. Pharm. Res., 30(3), 361 (2007). 

  32. H. J. Suh and S. C. Kang, Antioxidant activity of aqueous methanol extracts of Protaetia brevitarsis Lewis (Coleoptera: Scarabaedia) at different growth stages, Nat. Prod. Res., 26(6), 510 (2012). 

  33. E. S. Lee, Master's Thesis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 Gyeongbuk, Korea (2015). 

  34. J. S. Park, S. H. Park, I. S. Oh, Y. N. Chang, K. S. Bang, E. J. Byeon, and J. H. Lee, A comparative study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stems and leaves by processing methods, Korean J. Plant Res., 26(5), 539 (2013). 

  35. S. H. Xuan, A. R. Kim, Y. J. Jeong, N. H. Lee, and S. N. Park,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Moringa oleifera leaves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42(3), 217 (2016). 

  36. E. Y. Yun, Evaluation of pharmacological action and toxicity of insect resources for development as food and medicinal material, MAFRA, 8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