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릉 지역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 교차 상관성 분석
Cross Correlation Analysis of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Hours of Saylight, Average Wind Speed in Gangneung Area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7 no.5, 2013년, pp.347 - 352  

차호환 (강릉원주대학교 물리학과) ,  김재화 (강릉원주대학교 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강릉 지역에서 동일 기간에 기록된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 ${\rho}_{DCCA}$를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DCCA ${\rho}$)방법으로 구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사이 ${\rho}_{DCCA}$는 일(4~7일), 달(30일), 계절(90일), 년(360일)에서 0.57~0.48, 0.39, 0.34, 0.26,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사이 ${\rho}_{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20~-0.23, -0.22, -0.17, -0.13, 공간 감마선량률과 평균풍속 사이의 ${\rho}_{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10~-0.12, -0.11, -0.05, -0.05이다. 두 번째, ${\rho}_{DCCA}$를 통하여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은 교차 상관성이 있으며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에는 교차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ross correlation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Hours of daylight, Average wind speed using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rho}_{DCCA}$ and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DCCA ${\rho}$) method. Our data are measured simultaneo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CCA ρ 방법으로 두 시계열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 ρDCCA를 구할 수 있고, 이 ρDCCA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 하는 것이다.
  • DCCA ρ 방법을 강릉 지역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의 실제 데이터에 직접 적용하여 나온 값을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 다음으로 각 스케일 n이 시간에 해당하는 것을 이용하여 표 2와 같이 일(3~7일), 달(30일), 계절(90일), 년 (360일)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사이 ρ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
  • 본 논문에서는 강릉 지역에서 기록된 공간 감마선 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에 DCCA ρ 방법을 적용하여 교차 상관 지수를 구하였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한다.
  • 본 논문은 DCCA ρ 방법을 사용하여 두 시계열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를 구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우리는 DCCA ρ 방법을 강릉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측정된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의 실제 데이터에 적용을 하여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이 공간 감마선량률과 어느 정도의 교차 상관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 DCCA ρ 방법으로 두 시계열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 ρDCCA를 구할 수 있고, 이 ρDCCA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 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방법을 공간 감마선량률과 상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강수량과 상관성이 없다고 알려진 일조시간, 평균풍속에 적용하였다. 비나 눈이 온 뒤 측정값이 높게 나오는데 이것을 Wash-out이라고 한다.

대상 데이터

  • 78μR/h 이다.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은 기상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일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14]
  • DCCA ρ 방법의 대상은 동시에 기록되어야 한다. 따라서 분석 대상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강릉 지역에 위치한 지방 방사능 측정소와각 지방 기상청에서 관측한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의 일별 데이터이다. 공간 감마선량률은 지상으로부터 1~1.

데이터처리

  •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데이터를 DCCA ρ 방법에 대하여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딩하였고 그 결과값인 교차 상관 지수를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고 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계열 분석은 어느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는가? 시계열 분석은 물리학, 생리학, 지진학, 금융공학, 기상학 등의 분야에서 여러 통계적 분석법에 의해 지속적이며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들을 통하여 실제 데이터는 장거리 상관성과 교차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DCCA ρ 방법이란 무엇인가? 이 방법들을 사용하여 장거리 상관성과 교차 상관성을 분석 할 수 있다. DFA, DCCA의 두 식으로 정의되는 DCCA ρ 방법은 동시에 기록되고 장거리 상관성을 갖는 두 실제 데이터 사이 교차 상관 지수를 구하는 방법이며 이 지수를 통해 시계열 사이의 교차 상관성을 분석한다.[7,8]
시계열 분석 관련 연구들을 통하여 어떠한 사실이 밝혀졌는가? 시계열 분석은 물리학, 생리학, 지진학, 금융공학, 기상학 등의 분야에서 여러 통계적 분석법에 의해 지속적이며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들을 통하여 실제 데이터는 장거리 상관성과 교차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3] 현재까지 이러한 상관성들을 이용하여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하였으며, 최근에는 동시에 기록된 두 데이터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를 이용한 교차 상관성 연구가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Feder, Fractals, Plenum Press, New York, 1988. 

  2. M. F. Barnsley, Fractals everywhere, Academic Press, 1993. 

  3. A. Bunde and S. Havlin, Fractals in Science, Springer, Berlin, 1994. 

  4. B. Podobnik, Z.-Q. Jiang, W.-X. Zhou and H. E. Stanley, Statistical tests for power-law cross-correlated processes, Phys. Rev. E, Vol 84, No 066118, 2011. 

  5. B. Podobnik and H. E. Stanley, Detrended cross-correlation analysis : A new method for analyzing two nonstationary time series, Phys. Rev. Lett., Vol 100, No 084102, 2008. 

  6. D. Horvatic, H. E. Stanley and B. Podobnik, Detrended cross-correlation analysis for non-stationary time series with periodic trends, Europhys. Lett., Vol 94, No 18007, 2011. 

  7. G. F. Zebende,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quantifying level of cross-correlation, Physica A, Vol 390, No 614, 2011. 

  8. R.T. Vassoler and G.F. Zebende,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 Quantifying level of cross-correlation, Physica A, Vol 391, No 2438, 2012. 

  9. C.-K. Peng, S. V. Buldyrev, S. Havlin, M. Simons, H. E. Stanley and A. L. Goldberger, Mosaic organization of DNA nucleotides, Phys. Rev. E, vol 49, No 1685, 1994. 

  10. G. Lim, K. Kim, J.-K. P and K.-H. C, J. Dynamical Analyses of the Time Series for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Korean Phys. Soc., Vol 62, No 193, 2013. 

  11. Hohwan Cha, Jaehwa Kim, Time Series Analysis of Gamma exposure rates in Gangneu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7, No 1, 2013. 

  12. Minsun Yu, Jaeseung Lee, Inchul Im, Evaluation of Approximate Exposure to Low-dose Ionizing radiation from Medical Images using a computed Radiography (C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6, No 6, 2012. 

  13. Kyotae Kim, Sangsik Kang, Sicheul Noh, Bongjae Jung, Changhoon Cho, Yeji Heo, Jikoon Park, Absorbed Spectrum Comparison of Lead and Tungsten in Continuous X-ray Energ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6, No 6, 2012. 

  14. http://www.km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