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웹접근성 향상을 위한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 of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8 no.10, 2013년, pp.1523 - 1528  

최선경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보접근권,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을 이루고 있는 웹접근성이, 시각장애인이 안마사 외에도 직업적 다양성을 개진해 나가는데 있어서 어떤 함의를 제시해 주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기제로서의 웹접근성 향상을 위한 입법상의 보완점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some implications affected from that right to information access, among them that make up the core Web accessibility stipulate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at excepted visually impaired masseur, in addition to the professional diversity in present. Through that sought p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등에 관한법률(이하 “장차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보접근권,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을 이루고 있는 웹접근성이 시각장애인이 안마사 외에도 직업적 다양성을 개진해 나가는데 있어서 어떤 함의를 제시해 주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등에 관한법률(이하 “장차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보접근권,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을 이루고 있는 웹접근성이 시각장애인이 안마사 외에도 직업적 다양성을 개진해 나가는데 있어서 어떤 함의를 제시해 주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직업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기제로서의 웹접근성 향상을 위한 입법상의 보완점을 시사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보고용이란? 이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유보고용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유보고용이란 일정한 직종을 지정하여 그 직종에 대해 특정 장애유형의 장애인을 우선적으로 고용하는 제도로서 시각장애인과 같은 중증장애인의 생존권과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보고용제도는 시각장애인 ‘안마업’ 뿐이며 다수의 시각장애인이 안마와 관련된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
웹 접근성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접근성이란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 내릴 수 있는데, 어떤 서비스나 시설로 가까이 갈 수 있고 또 이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웹 접근성이란 웹에서 접근이 허락된 어느 사이트든지 들어가 불편함 없이 이용하며 다양한 형태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edical Law. Vol. 9386 

  2. Byeong-hwa Kang, Hae-gyun Lee & Junghyun Kim, "A Study on the Actual State and Ability to Use Computer of visually Impaired Teacher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8, No. 2, pp. 77-111, 2012. 

  3. Sung-ju Kang & In-jae Hwang, "Screen Reader Program Interface for Blind Persons". Bull. Sci. Ed. Vol. 20, No. 1, pp. 55-69, 2005. 

  4. Dong-ki Kim,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R&D of Korea Social Welfare, Vol. 13, pp. 83-110, 2005. 

  5. Myung-soo Kim, "Affirmative Action and Co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Visually Disabilities",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Vol. 16, No. 1, pp. 35-70, 2005. 

  6. Mi-sun Kim, "The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on University Life: over the right to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8, No. 4, pp. 97-117, 2012. 

  7. Joo-hyeon Kim,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Designing Websites : focusing on visually impaired peopl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 6, No. 3, pp. 53-61, 2005. 

  8. Jae-ha Choi & Yang-taik Yoon, "A Recommended Guideline of Mobile Internet User Interface for Visually Handicappe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 Information, Vol. 9, No. 2, pp. 131-138, 2004. 

  9. Ho-yeon Kim, "A Survey of the Factors on Major Decision & Vocational Preparations of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9, No. 1, pp. 1-23, 2013. 

  10. K.S. Park, Kha-yeun Kim, Seong-hun Kim, Son-hee Yang & Pil-kyu Chae, "The Blind's Web Accessibility: A Comparative-Legal Analysis with a Focus on the U.S., the U.K., and Australia", Korea Law Review, Vol. 61, pp. 131-171, 2011. 

  11. Joo-hyun Park & Han-young Ryoo, "Emotion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y for Enhancing Web Accessibil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 11, No. 4, pp. 589-598, 2008. 

  12. Yeon-ki Son, "The disabled & Welfare Info-Communication", Korea Culture Information Service Agency, Report of Information Policy, 1997. 

  13. Yeong-u Son, "Development of Standardized Web Site for the Visual Disabled",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6, No. 3, pp. 19-26, 2003. 

  14. Seung-hun Song, Doo-soon Park & Min Hong, "Development of Contents to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1, No. 2, pp. 45-53, 2008. 

  15. Jae-yeol Ahn, "IT Vocational Training of Visually Impaired",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Vol. 13, No. 3, pp. 20-27, 2006. 

  16. Mi-jeong Lee, Young-mi Kim & He-kyung Park, "A Study on the Methods of the System Improvement for Securing Variety of Job Selection of the Blind Person",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pp. 9-13, 2009. 

  17. Jee-sook Lee & Yun-jin Oh, "An empirical study on vocational motivation, relationship skill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visually impaired,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8, No. 3, pp. 181-201, 2012. 

  18. Chung-hwan Lee, "A Study of Leisure Attitudes and Leisure Constraints among the Blind Students", Journal of Sports Culture & Science, Vol. 14, pp. 39-47, 2008. 

  19. Tae-hoon Lee, "A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of Wage and Regular Employment of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8, No. 1, pp. 43-58, 2012. 

  20. Hyun-seop Lim, " The Visually Impaired's Information Actual Use and Activation Plan", Master's degree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2. 

  21. Min-seok Choi, " Right to Information Access & Occupational freedom of Visually Impaired", Public Interest & Human Rights, Vol. 4, No. 1, pp. 397-413, 2007. 

  22. Song-min Kim, "A Development of the Business processing unit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7, No. 1, pp. 141-14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