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A Study o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3 no.3, 2009년, pp.335 - 354  

조윤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아주 치명적 불이익이 된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홈페이지 접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화면 읽기 프로그램과 같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 전맹이나 시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이용자들이다. 본 연구는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567개 일반 공공도서관 중 지역별 도서관수의 10%범주 내에서 62개를 평가 대상도서관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국가 표준 지침이 거의 준수되고 있지 않았고, 시각장애인에 의한 평가에도 접근성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 접근에 이중적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을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과 기술적 진보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importance of information, being unable to access this information becomes a huge disadvantag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ers who are using assistant equipment such as screen readers are the very class that is having trouble acc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공공도서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의 62개 일반 공공도서관의 웹 사이트를 선정하여 KADO-WAH에 의한 자동 평가, 시각장애인에 의한 평가, 연구자에 의한 수동 평가 등 다면 평가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 이러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과 기술적 진보성 측면에서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2005)에 기반 하여 자동화된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할 수 있는 자동평가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과제수행과 심층면담, 그리고 연구자의 수동평가 등 다면적 평가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웹 접근성의 수동 평가 항목은 평가자의 수준이나 인식 정도에 따라 그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요소들이 대부분이다. 정확한 평가와 점수로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연구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KADO-WAH 2.0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은 자동검사항목 보고서의 4개 항목은 모두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항목으로, 이들 항목의 준수율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항목을 80%이상 준수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달서구립도서관, 수원시 선경도서관, 제주특별자치도 한라도서관 등 3 곳이었다. 평가 분석 결과를 볼 때,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는 매우 심각하였다. 둘째, 화면읽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웹 콘텐츠를 이용하는 1급 시각장애인 5명을 통한 과제수행 결과, 키보드만으로 콘텐츠를 이용하기 어렵거나 대체텍스트의 미비, 프레임 제목이 제공되지 않는 등으로 과제 수행에 실패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심층면담 결과 시각장애인은 찾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웹사이트, 메뉴가 단순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쉽게 원하는 정보를 내비게이션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웹 사이트의 개선 사항으로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용 홈페이지의 구축보다는 일반이용자와 통합하여 사용하는 홈페이지에서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접근성을 높여 주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2009)은 장애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률』 (2009)은 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 또는 기능 상실이 장기간에 걸쳐 개인의 일상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장애가 있는 사람을 장애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장애인 복지법 시행령』 (2003)은 장애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장애인 복지법 시행령』 (2003)은 장애의 유형을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정신지체인, 발달장애인, 정신장애인, 신장장애인, 심장장애인, 호흡기장애인, 간 장애인, 안면장애인, 장루․요루장애인, 간질장애인 등 15개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순희. 2005. 서울시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237-258. 

  2.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07.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장애인디지털정보 서비스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87-108. 

  5. 도서관법 시행령. [일부개정 2008.6.5 대통령령 제20797호]. [online]. [cited 2009.8.3]. . 

  6. 도서관법. [일부개정 2006.12.20 법률 제8069호]. [online]. [cited 2009.8.3]. 

  7. 배경재, 곽승진. 2006.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73-290. 

  8. 백운태. 도서관과 시각장애인의 읽을 거리: 정기간행물 접근을 중심으로. "도서관문화", 48(11):77-82. 

  9.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10. 서은경, 김희정. 2008.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345-364. 

  11. 웹 접근성 연구소. 2009. KADO-WAH 2.0. [online]. [cited 2009.8.3]. 

  12. 이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69-91. 

  13.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 2009.8.23 법률 제9705호]. [online]. [cited 2009. 8. 3]. . 

  14.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2008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5. Fidgeon, Tim. 2006. Usability for older web users. [online]. [cited 2009.8.3]. . 

  16. ISO. 1997. Standards for Multimedia, Accessibility, and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Geneva:ISO. 

  17. Moss, Trenton. 2007. “Accessibility audit vs. accessibility testing.” [online]. [cited 2009.8.3]. . 

  18. Moss, Trenton. 2007. “The future of web accessibility.” [online]. [cited 2009.8.3]. 

  19. Nevile, L. and Kelly, B. 2008. “Web Accessibility 3.0: Learning From The Past, Planning For The Future.” ADDW08 conference held in York on 23-24th September 2008. [online]. [cited 2009.8.3]. . 

  20. Thatcher, Jim et al. 2002. Constructing Accessible Web Sites. Burmingham: Glasshaus. 

  21. UNESCO Constitution. [online]. [cited 2009.8.3]. . 

  22. W3C. 2009.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online]. [cited 200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