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수추출조건이 동결건조 오미자의 추출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lux Conditions on Extrac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eze Dried-Schisandra chinensi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5, 2013년, pp.550 - 556  

박은주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안재준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에탄올 농도(%), 추출온도($^{\circ}C$), 추출시간(h)을 달리한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에탄올 농도는 50%, 추출시간은 4시간 추출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에탄올 농도 50%, 추출시간 8시간, 추출온도 $100^{\circ}C$일 때 가장 높은 적정 산도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명도($L^*$)는 추출온도,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오미자의 주 색상인 적색도($a^*$)는 에탄올 농도, 추출온도,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조건별 실험 인자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 농도는 총 페놀ABTS 항산화능과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과 온도에 따른 총 페놀함량은 DPPH 및 ABTS 항산화능, 환원당 함량, 적색도, 적정산도에서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각 실험 항목 사이에서도 모두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미자의 최적 추출조건은 용매는 50% 에탄올, 추출시간 4-6시간, 추출온도는 $60-80^{\circ}C$의 조건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flux extraction properties of Schisandra chinensis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of ethanol concentration (0-99%), extraction time (2-8 h), and extraction temperature ($40-100^{\circ}C$). Different chemical properties, such as reducing sugars (RS), titratable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오미자를 이용한 효과적인 추출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온도 및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특성을 확인하고 기능성 추출소재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란 무엇인가? 오미자나무의 종실인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성 만성 목본식물로서 6-8월에 개화하여 9-10 월에 과실이 열리고 서리가 내린 후 채취하여 사용하며, 주로 우리나라 중북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다(1). 오미자는 수렴, 자양, 강장, 목마름 등의 약효를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생약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 오던 소재로 중추신경 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및 알콜 해독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미자의 기능성 성분은 무엇인가? 오미자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schisandrin, schisandran, γ-schisandrin, ethamigrenal, gomisin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오미자 종자의 gomisin 유도체들이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9). 또한 정유 성분으로서 citral, sesquicarene, α, β-chamigrene 등이 보고되었다(9).
동결 건조한 오미자로부터 용매의 농도에 따른 추출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50, 70, 99%)에 대해 60℃ 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환원당 함량을 비교한 결과, 환원당 함량이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은 50% 에탄올 추출물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99% 에탄올 추출물은 환원당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Table 1). 즉, 환원당 함량은 에탄올(50, 70%)추출물> 열수 추출물>에탄올(99%) 추출물 순으로 나타나, 에탄올이 물과 혼합할 경우 환원당 추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 역시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은 약간 감소하였지만, 99% 에탄올 추출물은 산도가 크게 감소하였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eong HS, Joo NM.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processing of omija-pyun(omija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429-438 (2003) 

  2. Nomura M, Nakachiyama M, Ohtaki Y, Sudo K, Aizawa T, Aburada M, Miyamoto KI.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ora fruits, inhibits development of preneoplastic lesions in rat liver by 3'-methyl-4-dimethylamino-azobenzene. Cancer Lett. 76: 11-18 (1994) 

  3. Ohtaki Y, Hida T, Hiramatsu K, Kanitani M, Ohshima T, Nomura M, Wakita H, Aburada M, Miyamoto KI. Deoxycholic acid as an endogenous risk factor for hepatocarcinogenesis and effects of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a fruits. Anticancer Res. 16: 751-755 (1996) 

  4. Nishiyama N, Chu PJ, Saito H. An herbal prescription, S-113m, consisting of biota, ginseng and Schizandra, improves learning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Biol. Pharm. Bull. 19: 388-393 (1996) 

  5. Long ZZ, Xie SS. Experimental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immunosuppresive effect of cortisone by wurenchun, an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 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Chem. Pharmacol. Bull. 27: 1383-1394 (1979) 

  6. Li XJ, Zhao BL, Liu GT, Xin WJ.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radicals by schizandrin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Free Radical Bio. Med. 9: 99-104 (1990) 

  7. Lee JS, Lee SW. Effect of water extracts in frui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alcohol metabolism. Korean J. Dietary Culture 5: 259-262 (1990) 

  8. Haglind C, Tengblad J. Effects of caffeine containing energy drinks. Scand. J. Nutr. 43: 169-175 (1994) 

  9. Ikrya Y, Kanatani H, Hakojaki M, Takuchi J, Mitsuhashi H.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Chem. Pharm. Bull. 36: 3974 (1988) 

  10. Yang HC, Lee JM, Song KB.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its stability. J. Korean Agr. Chem. Soc. 25: 35-43 (1982) 

  11. Lee JS, Lee SW.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 lipids, and nonb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7-179 (1989) 

  12. Lee WY, Choi SY, Lee BS, Park JS, Kim MJ, Oh SL.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3: 252-258 (2006) 

  13. Cho YJ, Ju l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203 (2007) 

  14. Kim SI, Sim KH, Ju SY, Han YS.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2: 41-47 (2009) 

  15. Marais JP, De Wit JL, Quicke GV.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lson-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Biochem. 15: 373-381 (1966) 

  16. Singleton VL, Rossi Jr.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1999) 

  19.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86) 

  20.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1955) 

  21. Origin. Origin tutorial manual. version 6.0. Microcal Software. Inc. Northampton, MA, USA. pp. 20-45 (1999) 

  22. Na GM, Han HS, Ye SH, Kim HK.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99-505 (2004) 

  23. Kim HK, Na GM, Ye SH, Han HS.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84-490 (2004) 

  24. Vanini LS, Hirara TA, Kwiatkowski A, Clemente E. Extraction and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the Benitaka grape cultivar (Vitis vinifera L.). Braz. J. Food Technol. 12: 213-219 (2009) 

  25.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Byrne DH.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2006) 

  26. Kim CJ, Suh HJ.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barb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ulture 20: 77-85 (2005) 

  27. Kwoen DJ, Youn SJ, Cho JG, Choi UK, Kang SC.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91-96 (2006) 

  28. Macheix JJ, Fleuriet A, Billot J. Fruit Phenolic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1-24 (1990) 

  29. Gil MI, Tomas-Barberan FA, Hess-Pierce B, Kader AA. Antioxidant capacities, phenolic compounds, carotenoids, and vitamin C contents of nectarine, peach, and plum cultivars from California. J. Agr. Food Chem. 50: 4976-4982 (2002) 

  30. Awika JM, Rooney LW, Wu X, Prior RL, Cisneros-Zevallos L. Screening methods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orghum bicolor) and sorghum products. J. Agr. Food Chem. 51: 6657-666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