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레가노 추출물이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1 no.5, 2008년, pp.352 - 356  

최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태진 (상지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레가노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Salmonella enteritdis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의 배양액에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m와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은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 $700 mg{\cdot}L^{-1}$ 농도에서 각각 60시간 및 36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오레가노가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L. ethanol 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ganum majorana L.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a paper disc method. The extract exhibited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in a con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oil의 항산화 및 항종양 활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항미생물(식중독균)에 관한 연구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오레가노 추출물 이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레가노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은 식중독 세균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Salmonella enteritidis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B.Y. 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Artem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 J Food Hygiene. 7: 157-160.(in Korean) 

  2. Alma, M.H., A. Mavi, A. Yildirim, M. Digrak and T. Hirata. 2003. Screening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from Origanum syriacumL. growing in turkey. Biol. Pharm. Bull. 26: 1725-1729 

  3. Bae, J.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Hedyotis dif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7-112.(in Korean) 

  4. Bae, J.H.,H. J. Jang and J. I. Jung. 2005.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o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89-394.(in Korean) 

  5. Brane, A.L.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u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ci. 52: 59-63 

  6. Conner, D.E. and L.R. Beuchat. 1984. Effect of essential oils fromplants on food spoilage yeasts. J.Food Sci. 49: 429-434 

  7. Deans, S.G and K. P. Svoboda. 1990.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Majoram(Origanum majorana L.) volatile oil. Flavour Fragrance J. 5: 187-190 

  8. Dorman, H.J.D and S. G. Deans. 2000. Antimicrobial agents from plants: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 volatile oils. J. Appl. Microbiol. 88: 308-316 

  9. Elgayyar, M., F.A. Draughon, D. A. Golden and J.R. Moun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plants against selected pathogenic and saprophyticmicroorganisms. J. Food Prot. 7: 1019-1024 

  10. Farrell, K.T. 1985. Spices, condiments and seasonings: Van Nostrand Reinhold Co. New York, p.165-168 

  11. Han, B.J., S. W. Lee and H. K. Shin. 1994. Effects of edibled herbs on the growth of in vitro intestianl microorganism. Korean J Nutr. 27: 819-823.(in Korean) 

  12. Han, J.S., D. H. Shin, S. E. Yun and M. S. Kim. 1994. Antimicrobial effects on Listeria monocytogenes by some edible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45-551.(in Korean) 

  13. Huang, D., B. Ou,M. Hampsch-Woodill, J. A. Flanagan and R. L. Prior.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 4437-4444 

  14. Jeong, M.R., J. D. Cha and Y. E. Lee.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Ficus carica L.)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 84-93.(in Korean) 

  15. Kong, Y.J., B.K. Park and D.H. Oh.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80-184.(in Korean) 

  16. Kweon,O.G., J.C. Son, S. C.Kim, S.K. Chung and S.W. Park. 1998.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moutan cortex extrac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81-285.(in Korean) 

  17. Lee,H.A., E.S. Nam and S.I. Park.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 Korean J. Food and Nutr. 16: 29-34.(in Korean) 

  18. Park, C.S. 1997. Effect of spice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Soc. Food Sci. 13: 330-337.(in Korean) 

  19. Park, C.S. 2000. Effect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on the survival of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Soc. Food Sci. 16: 40-46.(in Korean) 

  20. Sivropoulou, A., E. Papanikolaou, C. Nikolaou, S. Kokkini, T. Lanaras andM. Arsenakis.1996.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Origanum essential oils. J. Agric. Food Chem. 44: 1202-1205 

  21. Zgorka, G and K. Glowniak. 2001. Variation of free phenolic acids inmedicinal plants belonging to the Lamiaceae family. J. Pharm. biomed. Anal. 26: 7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