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Lower-ranking Officer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igher-ranking Officers for the Government Employee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5 no.4 = no.64, 2013년, pp.863 - 877  

이기용 (경북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rify the relation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igher-ranking officers and work satisfaction of lower-ranking officers for the government employee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The main conclusions were as the followings. First, looking into th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며, 더 나아가 향후 교육행정공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발전적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또한, 하급자의 직무만족의 하위영역은 여러 학자들마다 차이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을 구성하는 영역으로 직무, 인사, 교육·훈련, 보수, 근무환경, 인간관계 등을 설정하여 교육행정공원 하급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 다.
  • 본 연구는 교육행정공무원이 인식하는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일반적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교육행정공무원 26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양적 연구의 일환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절차 및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 하위영역으로 비전설정, 운영의 효율성, 조직 결속력, 인간존중, 성장지향성, 카리스마 지도성 등의 6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상급자의 변혁적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 하위영역으로 비전설정, 운영의 효율성, 조직 결속력, 인간존중, 성장지향성, 카리스마 지도성 등의 6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상급자의 변혁적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첫째, 교육행정공무원이 인식하는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은 어떠하며, 둘째, 교육행정공무원이 인식하는 하급자의 직무만족은 어떠하며, 셋째, 교육행정공무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과 하급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는 어떠한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행정공무원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교육행정공무원은 교육환경의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인적·물적·재정적·교육적 자원을 확보하여 교육의 성과를 이루도록 지원하고 봉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현대의 교육행정은 세계화 및 개방화에 따라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 환경 속에서 교육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수 있어야 한다.
21세기 급변하는 조직 환경 속에서 생동감 넘치는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매우 중요한가? 21세기 급변하는 조직 환경 속에서 생동감 넘치는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역 할 및 사회적 요구에 적응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 하다. 또한 개방화 및 정보화로 대변되는 지식기 반사회에서의 교육조직의 변화는 혁명이라 할 만큼 급속도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을 움직여 나가고 조직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을 구성하는 영역인 비전설정, 부서 운영의 효율성, 부서의 결속력, 인간존중, 성장지 향성, 카리스마 지도성 등을 잘 고려하여 보다 변화 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이유는? 변혁적 지도성은 미시적으로 개인 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며, 거시적으로는 사회적 체계를 변화시키고 조직의 힘을 동원하는 과정이다(Burns, 1978). 또한 변혁적 지도자는 추종자들의 의식, 가치관, 태도의 혁신을 촉구하고 하급자를 단순히 기본적인 욕구만을 가진 사람으로서가 아니라 전인으로 취급하며, 상위 수준의 욕구를 충족시 키는 데에 이르기까지 배려한다(Bass, 1985). 즉, 변혁적 지도성은 하급자에게 자신이 달성해야 할성과의 중요성을 보다 강하게 인식시키고 자신의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부서 또는 조직 전체의 이익을 위하여 일하고자 하는 의지를 심어주거나 하급자의 욕구수준을 상위욕구로 제고시키는 방법을 통해 하급자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 도록 하는 것이다(Bass, 1985). 이에 상급자의 변혁적 지도성을 구성하는 영역인 비전설정, 부서 운영의 효율성, 부서의 결속력, 인간존중, 성장지 향성, 카리스마 지도성 등을 잘 고려하여 보다 변화 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ss, B. M.(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ception, New York: The Free Press. 

  2. Bass, B. M.(1990). Bass and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3rd ed.). New York: Free Press. 

  3. Bass, B. M. & Avolio, B. J.(1990).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Manual for the Multifactor Questionnair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4. Burns, J. M.(1978). Leadership, New York: Harper & Row. 

  5. Campbell, J. P.(1970). Managerial behavior for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N. Y: McGraw Hill. 

  6. Choi, Yeon-In(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f the Teacher Grou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5(1), 1-24. 

  7. Conger, J. A., & Kanungo, R. N.(1987). Toward a behavior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 sett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637-647. 

  8. Jung, Woo-Jin(2009). The Effect of Principal Leadership, Teachers' Collaborative Culture, Empowerment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3), 289-310. 

  9. Kim, Dong-Choon & Song, Mi-Sun(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s as Perceived by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wood Education 10(2), 291-310. 

  10. Kim, Hee-Kyu(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Based on Holistic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Study 14(1), 19-41. 

  11. Kwak, Byung-HO(2009). Relation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aekwondo Gym's Director and Job Satisfaction of Taekwondo Master,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5, 185-194. 

  12. Lee, Suk-Yyung(1998). The Relation between Headmast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Management Effects, Dongguk University Master Thesisi. 

  13. Lee, Yeon-Seung & Park, Hyang-Weon(2004).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t the Early Childhood Setting in Busa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1(3), 141-165. 

  14. Locke, E.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15. Moon, Tai-Hyong(2009). Relation between Early Childwood Educator's Self-Determinatio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arly Childwood Educator'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8(3), 69-81. 

  16. Nam, Jung-Kul(2006).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Management, Seoul: Kyoyoobook. 

  17. Oh, Soon-Moon(2010).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Korea Teacher Education 27(3), 327-347. 

  18. Oh, Suck-Hong(2001). Organizational Theory, Seoul: Pakryoungsa. 

  19. Park, Kyun-Yeal(2009).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7(3), 205-228. 

  20. Park, Chong-Yul(2007).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oul: Hyungseul. 

  21. Podsakoff, P. R.(1990). Transformationals Leadership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 Hurst in Leader St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Leadership Quarteriy I. 

  22. Ro, Jong-Hee(1999).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Research, Seoul: Moonumsa. 

  23. Sergiovanni, T.(1988). The Leadership Needed for Quality Schooling for Tomorrow, ed. by Sergiovanni and Moore, Boston: Allyn and Bacon. 

  24. Shin, Young-Chlu & Koh, Jae-Cheon(2013).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n Chie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Primary Education 27(2), 133-159. 

  25. Sung, Tae-Jae(2009). Knowable Statistics Analysis, Seoul: Hakjis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