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듀이 교육목적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탐구
A Study of Intrinsic Values in Dewey's Educational Aim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5 no.5 = no.65, 2013년, pp.1088 - 1101  

권정선 (부산대학교) ,  허경섭 (영남대학교) ,  김회용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rinsic values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aim from the viewpoint of Dewey. The intrinsic values have been recognized as values independent of activities or the content that preexist before embodied into activitie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Dewey,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목적은 어떻게 구분하여 그 성격을 규정할 수 있는가? 이러한 견해들을 요약해보면, 교육목적은 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나 목적이 교육활동 안에 있느냐와 밖에 있느냐로 구분하여 그 성격을 규정할 수 있다. 가치나 목적이 교육활동 밖에 있을 경우 그 목적은 외재적 목적이며, 반대의 경우 그 목적은 내재적 목적이 된다.
교육의 목적을 규정하는 관점은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2-4). 첫째, 지식을 학습자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교육의 목적을 학습자의 머릿속에 보다 많은 양의 지식을 옮겨 주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이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전통적인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둘째, 지식은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지만 학습자가 인류의 지혜와 이해의 세계로 입문하는 수단이기에 가치가 있다는 견해로 주로 자유교육론자들의 주장과 같다. 이런 관점을 대표하는 학자로는 피터스나 허스트를 들 수 있다. 셋째, 교육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장 그 자체라는 견해이다.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의 의의는 무엇인가?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피터스에 의하면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성취할 가치가 있는 것에 관하여 명확한 인식을 가지게 하고 그것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Peters, 1966: 29). 물론 목적이 우리 인간의 행위와 활동을 규정하는 만큼 오늘날과 같이 다원화된 사회에서 목적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어떤 측면에서 보면 이데올로기적인 사안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rnstein, R. J.(1966). John Dewey,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2. Dearden, R. F.(1975). "Autonomy as an educational ideal", In Brown(ed), 3-18. 

  3.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4. Dewey, J.(1919).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New York: A Mentor Book. 

  5. Dewey, J.(1929). Experience and Nature(2nd),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 

  6. Dewey, J.(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arpricorn Books. 

  7. Dewey, J.(1939). Theory of Valuation, Chicago University Press. 

  8. Dewey, J.(1940). Time and Individuality, The Later Works of John Dewey, seventeen volumes. 98-114. 

  9. Fenstermacher, G. D. et al.(2009). Approaches to teaching,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Heo, Gyeong Seob(2008). A study of Dewey's view of educational aim, Youngnam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1. Heo, Gyeong Seob(2010). Exploring the intrinsic value of activity-based education, Philosophy of Education, 50, 235-256. 

  12. Hirst, P. H.(1965). Liberal Education and the Nature of Knowledge, R. D. Archambault(ed.), Philosophical Analysis and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3. Hirst, P. H.(1993).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 In R. Barrow and P. White(eds.). Beyond liberal education: essays in honor of P. H. Hirst. London: Routledge & Publishing Ltd. 

  14. Hong, Eun Suk(2007). Concept of education, Seoul: Kyo Yook Book. 

  15. Jo, Hwa Tae, Kang Young Hye et al. (2004). modern society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 Seoul: Kyo Yook Book. 

  16. Lanford, G.(1989). Teaching and the idea of a social practice, W. Carr(ed.), Quality in teaching : Arguments for a reflective profession, London: The Falmer Press, 21-34. 

  17. Lee, Don Hi(1993).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Experience, Seoul: Kyo Yook Book. 

  18. Lee, Don Hi(1999). Theory of Educational Justice(new edition), Seoul: Kyo Yook Book. 

  19. Lee, Hong U(2009). Concept of education , Seoul: Moonumsa. 

  20. MacIntyre, A.(1984).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2nd ed.), Notre Dam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1. Mok, Young Hae et al.(2010). Philosophy and history of education, Seoul: Kyo Yook Book. 

  22. Oakeshott, M.(1971). Education: The Engagement and Its Frustration, Dearden, R. F. Hirst, P. H. Peters, R. S.(eds). A critique of current eduational aims, London: RKP (1975), Choe Won Hyeong(Trans.)(2003), Theory of modern educational aim, Wonmisa, 31-86. 

  23. Park, Cheol Hong(1993). Reunderstanding of Dewey' s concept of growth - Meaning of potential possibility from Dewey's ontology, Philosophy of Education, 11, 297-325. 

  24. Park, Cheol Hong(1994a). Isn' t there any direction of growth?: Uncertainty of nature of life and direction of growth, Philosophy of Education, 12(1), 69-101. 

  25. Park, Cheol Hong(1994b). Reunderstanding of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 reflection and educational task on a study of Dewey, 

  26. Kang Young Hye et al.(1994), modern society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 Seoul: Kyo Yook Book, 271-327. 

  27. Park, Cheol Hong(1995). Knowledge as Instrument and the Meaning of Intrinsic Value The Nature of Educative Experience in terms of Deweys Concept of "An Experience", Philosophy of Education, 13, 81-109. 

  28. Peters, R. S.(1966). Ethics and Education, I Hong U & Jo Tae Yeong(Trans.)(2003), Seoul : Kyo Yook Book. 

  29. Song, Do Seon(2009).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Seoul: Moonumsa. 

  30. White, J.(1982). The Aims of Education Restate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31. White, J.(1990). Education and the Good Life: Beyond the National Curriculum, London: Kogan Page. 

  32. Yang, Eun Ju(1999). The principle of ' Educative Experience' from Dewey's metaphysics, Philosophy of Education, 22, 63-79. 

  33. Yu, Jae Bong(2002). A study of modern philosophy of education, Seoul: Kyo Yook Bo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